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조선족 시에 나타난 '고향'의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016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

      본 연구는 1949년부터 1992년까지 발표된 중국 조선족 시작품을 대상으로 시대변화 속에 구현된 ‘고향’의 모습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국 사회주의체제 하에서의 차별과 억압, 동화와 적응의 과정을 겪으며 창작된 조선족 시에 드러난 ‘고향’의 의미는 중층적 의미망을 형성한다. 먼저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초부터 문화대혁명이 끝나기까지 ‘고향’의 의미는 중국이라는 국가체제에 속한 소수민족으로서 생존을 위한 변화와 수용, 동화와 적응의 표상으로 양식화되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개혁 개방기 이후의 작품에서 보이는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 기억의 복원과 향토, 음식, 풍물 등으로 상징되는 풍속의 재현을 통해 집단적 동질감과 정체성을 확인하고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들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의 변화된 모습과 의미는 한민족이라는 동일한 민족적혈통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중국 내 소수민족의 하나로 존재하는 중국 조선족의 특수한 상황과 집단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조선족 문화와 정체성은 중국과 조선이라는 두 개의 문화와 정체성이 융합되어 형성된 특수한 문화 공동체로서 바라봄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들의 작품에 드러난 ‘고향’의 모습은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이 내재된 공동체적 공간으로 자리하며 구체화되고 활성화된 기억의 저장소로서 의미를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Kim, Eun-young This study examin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published between 1949 and 1992, which manifested within the change of time. Meanings of 'home', shown in Korean Chin...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Kim, Eun-young This study examin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in Korean Chinese poetry published between 1949 and 1992, which manifested within the change of time. Meanings of 'home', shown in Korean Chinese poetry, created under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by Chinese socialism regime and experiencing assimilation and adjustment, form multi-layered net of meanings. First, 'home' in the period between the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China and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represented a symbol of change, assimilation and adjustment to survive as a minority within China. 'Home' shown in works since the open policy after the Cultural Revolution in 1976 tried to confirm and realize the sense of homogeneity and identity through revival of customs symbolized by restoration of historic memories, folk culture, food, and features. Changed images and meanings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share the same Korean element and blood line and yet depend on unique circumstances of Korean Chinese and community existed as one of the minorities in China. Therefore, Korean Chinese culture and identity should be considered as a unique cultural community formed by a mix of two cultures and identities; Chinese and Korean. In addition, image of 'home' shown in these works represents a space of the community with historic and cultural uniqueness, and a space to store realized and activated mem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동화와 적응의 매개체
      • 3. 기억의 재현과 복원
      • 4. 문화적 구성물로서 정체성 추구
      • 국문개요
      • 1. 머리말
      • 2. 동화와 적응의 매개체
      • 3. 기억의 재현과 복원
      • 4. 문화적 구성물로서 정체성 추구
      • 5. 맺음말
      •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국학자료원 2003

      2 오양호, "한국문학과 간도" 문예출판사 1988

      3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4 고부응, "초민족 시대의 민족 정체성" 문학과지성사 2002

      5 권기호, "중국 주재 조선족 시인들의 시 유형 연구-조국이미지를 중심으로" 1988

      6 김태국, "중국 조선족 역사 上限線 문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6집 : 194-195, 1998

      7 김순례, "중국 조선족 시문학사 개관" 국학자료원 2003

      8 김승찬,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학교출판부 1997

      9 권 철, "중국 조선족 문학 연구현황" 13 : -289, 1997

      10 김준오, "중국 사회주의 문화정책과 중국 조선족 시가전통의 변모 양상" 16 : 1995

      1 김종회, "한민족 문화권의 문학" 국학자료원 2003

      2 오양호, "한국문학과 간도" 문예출판사 1988

      3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4 고부응, "초민족 시대의 민족 정체성" 문학과지성사 2002

      5 권기호, "중국 주재 조선족 시인들의 시 유형 연구-조국이미지를 중심으로" 1988

      6 김태국, "중국 조선족 역사 上限線 문제" 전주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6집 : 194-195, 1998

      7 김순례, "중국 조선족 시문학사 개관" 국학자료원 2003

      8 김승찬, "중국 조선족 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학교출판부 1997

      9 권 철, "중국 조선족 문학 연구현황" 13 : -289, 1997

      10 김준오, "중국 사회주의 문화정책과 중국 조선족 시가전통의 변모 양상" 16 : 1995

      11 김시준, "중국 당대문학사" 소명출판 2005

      12 최용린 외, "조선족문학선문집" 연변대학 중문학부 조선어강좌 1979

      13 이광규, "재중한인 : 인류학적 접근" 일조각 1997

      14 김응준 외, "장백에 울리는 노래" 연변인민출판사 1972

      15 임계순, "우리에게 다가온 조선족은 누구인가"

      16 소재영 외, "연변지역 조선족 문학연구" 숭실대학교 출판부 1992

      17 김상철, "연변과 조선족" 백산서당 2003

      18 이명재, "억압과 망각 그리고 디아스포라" 한국문화사 2004

      19 임효원, "어머니 품이여" 연변인민출판사 1979

      20 고길섶, "소수문화들의 정치학" 문화과학사 1998

      21 윤영천, "서정적 진실과 시의 힘" 창작과비평사 2002

      22 리상각, "리상각 시선집" 민족출판사 1993

      23 김광억, "동북아 문화공동체 구상의 의의와 추진방향" 통일연구원 -13, 2004

      24 김응렬, "동북 3성 조선족의 가족 구조 중국 조선족 사회 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2

      25 오상순, "다매체시대의 한국 문학II" 국학자료원 2002

      26 김 철, "김철 시선집" 민족출판사 1989

      27 김성휘, "김성휘 시선집" 민족출판사 2003

      28 리 욱, "고향의 사람들" 민족출판사 1957

      29 윤영천, "韓國의 流民詩" 실천문학사 198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1 0.80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