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려전기 문산계(文散階)의 실제 운영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와 특진(特進)을 중심으로- = Actual Operation of Munsangye during Early Goryeo: Focusing on Gaebueuidongsamsa and Teukj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473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는 고려전기 최고 등급의 문산계였던 특진과 개부의동삼사가 수여되는 경우, 이를 띠었던 관직, 수여 대상을 고찰한 것이다.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를 띤 관직은 문하시중, 중서령, 상서...

      연구는 고려전기 최고 등급의 문산계였던 특진과 개부의동삼사가 수여되는 경우, 이를 띠었던 관직, 수여 대상을 고찰한 것이다.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를 띤 관직은 문하시중, 중서령, 상서령, 문하시랑평장사, 중서시랑평장사, 참지정사로서, 재신직이었다. 두 문산계를 수여받은 사람들은 예외는 있지만 종실과 재신이었다. 종실로서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를 받았던 사람들은 王子, 王子의 아들, 王子의 손자였다. 왕자는 공 또는 후로 책봉될 때, 사공이나 사도로 임명될 경우에는 특진에, 중서령 또는 상서령으로 임명될 경우에는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왕자의 아들과 손자는 공주와 결혼하여 伯으로 봉해질 때 특진에 임명되었으며, 후로 승급하면서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따라서 종실로서 특진과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된 것은 왕자와 부마였다. 재신은 子이상으로 봉작될 경우 특진에 임명되었으며, 공신으로 책봉될 경우 개부의동삼사에 제수되었다. 재신의 문산계는 금자광록대부였다. 금자광록대부와 달리 재신이 특진, 개부의동삼사로 편제된 것은 같은 재신이라고 해도 봉작이 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공적이 뛰어난 사람과 그렇지 않는 사람을 같은 위계질서, 즉 같은 등급의 문산계로 편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공신에 책봉될 정도의 공로를 세운 재신과 그렇지 않은 재신을 구분하기 위해서 개부의동삼사가 수여되었으며, 봉작될 정도의 공을 세운 재신과 그렇지 않은 재신을 구분하기 위해 특진이 수여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봉작 및 공신으로 책봉될 때 관직이 함께 수여되거나 관직을 가진 사람에게 수여되었다. 관직에 대응하는 것이 문산계였다. 그러므로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는 관직에 상응하는 문산계도 지급되었다. 봉작 및 공신 책봉은 공로에 대한 반대급부로 시행되었기 때문에,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 수여되는 특진과 개부의동삼사는 勳階적인 성격을 지닐 수밖에 없었다. 또한 봉작 및 공신 책봉 시에 종실에게도 관직이 수여되었기 때문에 종실도 문산계에 편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official post and social status of persons who were appointed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the highest civil positions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official posts of those who got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

      This study focuses on the official post and social status of persons who were appointed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the highest civil positions during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official posts of those who got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the chief offices, including Munhasijung, Jungseoryeong, Sangseoryeong, Muhasirangpyeongjangsa, Jungseosirangpyeongjangsa and Chamjijeongsa. Even though there were some exceptions, the two positions were usually given to the royal family and chief ministers. Among the royal family members who got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princes, their sons and their grandsons. When a prince was invested with a duck or marquis, he would either be given the position of Teukjin and eventually appointed Sagong or Sado, or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o become Jungseoryeong or Sangseoryeong. When a son or grandson of a prince got married to a princess, he was appointed count and was given the position of Teukjin. Afterwards, when promoted, he was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hus, the royal members who received the positions of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were princes and husbands of princesses. When a chief minister was invested with the title of viscount or higher, he was given Teukjin; when he was chosen as a meritorious vassal, he was given the position of Gaebueuidongsamsa. The civil office of the chief minister was Geumjagwangnokdaebu. Because an official with merit and one without merit, or a person with a noble title and one without it, could not share the same rank within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Gaebueuidongsamsa was given to a chief minister with merit to distinguish him from those without merit, and Teukjin was given to a chief minister deserving a noble title to distinguish him from other ministers. This explains why a minister would be appointed Teukjin or Gaebueuidongsamsa in addition to Geumjagwangnokdaebu. During the Goryeo age, merit or a title of nobility was given to an official; if a person did not previously have an official post, he would be given one in addition to the merit or title of nobility. The official post corresponded to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Therefore, when merit or a title of nobility was given to a person, a civil office corresponding to the rank was given to him, too. As the title of nobility and merit were offered as a reward for accomplishments, Teukjin and Gaebueuidongsamsa awarded with the title and merit should have an honorable character. Furthermore, as the official post was given to royal members when the title of nobility and merit were awarded to them, the royal family was also included in the civil hierarchical syste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