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본상, "한국 국회의원의 다차원 정책공간 분석: 이념으로서의 W-NOMINATE 추정치 검증" 한국정당학회 15 (15): 5-35, 2016
2 이내영,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 제16-18대 국회 본회의 기명투표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10 (10): 25-56, 2015
3 가상준, "한국 국회는 양극화되고 있는가?" 한국의정연구회 9 (9): 247-272, 2014
4 김준석, "지역구 표심, 정당기율, 그리고레임덕의회 하의 의원투표: 2012년 「국회선진화법」의 표결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8 (48): 225-247, 2014
5 박윤희, "제20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 및 후보자의 이념성향과 정책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2 (22): 117-158, 2016
6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7 이한수, "제19대 국회 평가:국회선진화법과 입법 활동"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5-38, 2014
8 박찬표, "제18대 국회의 국회법 개정과정에 대한 분석: ‘다수결 원리’와 ‘소수권리’간의 타협은 어떻게 가능했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71, 2012
9 김승태, "정치균열과 정책정당 – 19대 국회 표결기록에 나타난 W-NOMINATE 군집분석을 통하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83-114, 2017
10 조진만, "의회의 집합적 의사결정과 신뢰: 한국 국회의 현실과 선택"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93-118, 2009
1 구본상, "한국 국회의원의 다차원 정책공간 분석: 이념으로서의 W-NOMINATE 추정치 검증" 한국정당학회 15 (15): 5-35, 2016
2 이내영, "한국 국회에서의 정당 양극화: 제16-18대 국회 본회의 기명투표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의정연구회 10 (10): 25-56, 2015
3 가상준, "한국 국회는 양극화되고 있는가?" 한국의정연구회 9 (9): 247-272, 2014
4 김준석, "지역구 표심, 정당기율, 그리고레임덕의회 하의 의원투표: 2012년 「국회선진화법」의 표결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8 (48): 225-247, 2014
5 박윤희, "제20대 국회의원선거 당선자 및 후보자의 이념성향과 정책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2 (22): 117-158, 2016
6 강원택, "제19대 국회의원의 이념 성향과 정책 태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5-38, 2012
7 이한수, "제19대 국회 평가:국회선진화법과 입법 활동"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 (20): 5-38, 2014
8 박찬표, "제18대 국회의 국회법 개정과정에 대한 분석: ‘다수결 원리’와 ‘소수권리’간의 타협은 어떻게 가능했나?"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39-71, 2012
9 김승태, "정치균열과 정책정당 – 19대 국회 표결기록에 나타난 W-NOMINATE 군집분석을 통하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3 (23): 83-114, 2017
10 조진만, "의회의 집합적 의사결정과 신뢰: 한국 국회의 현실과 선택"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93-118, 2009
11 김민전, "원내 의석분포, 대통령의 권력, 그리고 국회법개정의 방향: 민주화 이후 국회를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24 (24): 61-93, 2008
12 전진영, "국회선진화법은 국회를 선진화시켰는가?" 현대정치연구소 8 (8): 99-125, 2015
13 윤종빈, "국회 입법교착의 역학 : 국회선진화법 입법과정 및 입법동인(動因) 분석" 21세기정치학회 23 (23): 99-120, 2013
14 서복경, "국회 위원회제도의 기원에 관한 연구: 제헌국회 및 2대국회를 중심으로" 한국의정연구회 5 (5): 51-80, 2010
15 손병권, "갈등의 현실과 합의에 대한 소망: 국회 운영 및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17대 국회의원들의 인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7 (17): 87-109, 2008
16 박명호, "“국회 선진화법”의 쟁점과 성공조건" 한국의정연구회 9 (9): 5-26, 2014
17 Adler, E. Scott, "Why Congressional Reforms Fail: Reelection and the House of Committee System"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18 Clinton, Joshua, "The Statistical Analysis of Roll Call Data" 98 (98): 355-370, 2004
19 Mayer, Kenneth, "The Dysfunctional Congress? The Individual Roots of an Institutional Dilemma" Westview Press 1999
20 Koo, Bon Sang, "Testing Legislative Shirking in a New Setting: The Case of Lame Duck Sessions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21 Poole, Keith, "Scaling Roll Call Votes with wnominate in R" 42 (42): 1-21, 2011
22 Hix, Simon, "Party behaviour in the parliamentary arena: The case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15 (15): 667-694, 2009
23 Jun, Hae-Won, "Electoral systems, political career paths and legislative behavior: Evidence from South Korea’s mixed-member system" 11 (11): 153-171, 2010
24 구본상, "Does a Rule Change that Weakens Majority Control Really Increase Bipartisanship in the Legislature? Evidence from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한국학술연구원 49 (49): 161-185, 2018
25 Mayhew, David R., "Congress: The Electoral Connection" Yale University Press 1974
26 Poole, Keith, "Congress: A Political-Economic History of Roll Call Voting"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7 Poole, Keith, "A Spatial Model for Legislative Roll Call Analysis" 29 (29): 357-384, 1985
28 김상신, "2012년 국회법 개정의 효과 연구" 한국경제학회 64 (64): 137-172, 2016
29 장덕진, "17대 국회 법안표결의 정치경제학-146개 쟁점법안에 대한 NOMINATE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46 (46): 1-2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