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of ESD Policy Decision-Making Considering Region-Based Learner's Interes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0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했으며 지표 개발, 설문조사, 현장조사, 면담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A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 56명과 학생 340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 대상으로는 지표의 유용성, 학생 대상으로는 흥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와 A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 6명과 장학사 1명을 대상으로 교육정책 결정 및 교육계획 수립 과정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t-검증과 분산분석(ANOVA)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조사는 녹음과 전사를, 현장조사는 영상기록을 통해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을 아파트 밀집형, 농촌형, 도심형의 세 지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역에 따라 학습자 교육환경과 ESD 주제에 대한 흥미가 차이가 있었다. 아파트 밀집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과 흥미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농촌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이 비교적 양호했으며 학습자 주변 환경에 녹지가 많았다. 전반적인 흥미수준은 양호했으나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도심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이 나머지 지역보다 열악했으며 지식영역을 제외한 흥미의 전영역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시교육청과 단위 학교는 학습자의 흥미와 교육환경을 반영할 교육정책과정과 거버넌스 체계를 가지지 못했다. 이는 협의 체계인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미비와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보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방안은 거버넌스 체계, 정책 결정 과정,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보로서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의 특징을 반영하는 구성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는 교육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좀 더 현실에 적합한 교육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결국,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거시적 측면과 개인의 학습이라는 개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했으며 지표 개발, 설문...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실시했으며 지표 개발, 설문조사, 현장조사, 면담 등의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A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 56명과 학생 340명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교사 대상으로는 지표의 유용성, 학생 대상으로는 흥미와 교육환경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지역에 대한 현장조사와 A 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교사 6명과 장학사 1명을 대상으로 교육정책 결정 및 교육계획 수립 과정에 대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의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는 t-검증과 분산분석(ANOVA)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면담조사는 녹음과 전사를, 현장조사는 영상기록을 통해 의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군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을 아파트 밀집형, 농촌형, 도심형의 세 지역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역에 따라 학습자 교육환경과 ESD 주제에 대한 흥미가 차이가 있었다. 아파트 밀집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과 흥미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농촌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이 비교적 양호했으며 학습자 주변 환경에 녹지가 많았다. 전반적인 흥미수준은 양호했으나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도심형 지역의 경우 교육환경이 나머지 지역보다 열악했으며 지식영역을 제외한 흥미의 전영역이 가장 낮았다. 둘째, 시교육청과 단위 학교는 학습자의 흥미와 교육환경을 반영할 교육정책과정과 거버넌스 체계를 가지지 못했다. 이는 협의 체계인 거버넌스 체계 구축의 미비와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보의 부족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정책 결정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 방안은 거버넌스 체계, 정책 결정 과정,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정보로서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와 교육환경의 특징을 반영하는 구성요소를 가진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지역에 따른 학습자 흥미는 교육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지속가능발전교육 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좀 더 현실에 적합한 교육정책을 수립해야 한다. 결국,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지속가능발전이라는 거시적 측면과 개인의 학습이라는 개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8
      • 4. 연구의 제한점 9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8
      • 4. 연구의 제한점 9
      • Ⅱ. 이론적 배경 10
      • 1. 학습자 이해의 관점 10
      • 2. 흥미의 의미 13
      • 3.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교육환경 26
      • 4. 교육정책과 교육정책 결정 39
      • Ⅲ. 연구방법 65
      • 1. 연구절차 65
      • 2. 연구대상 67
      • 3. 연구방법 71
      • 4. 연구도구 개발 78
      • 5. 조사결과 분석방법 92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93
      • 1. 지역에 따른 학습자 교육환경 및 흥미 분석 93
      • 2. 학습자 교육환경 및 흥미 관점에서의 정책 결정 과정 분석 154
      • 3.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육정책 결정 방안 173
      •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210
      • 1. 요 약 210
      • 2. 결 론 212
      • 3. 제 언 213
      • 참고문헌 215
      • ABSTRACT 229
      • 부록 231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UNCED, "Ageda 21", 1992

      2 남궁근, "정책학", 2010

      3 정정길, "정책결정론", 1988

      4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2002

      5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Ⅰ", 196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1992

      7 Hungerford, "The General Teaching Model", 2005

      8 김 용,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5

      9 조용기,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교육철학, 1998

      10 Bergin, "Influence on classroom interest", 1999

      1 UNCED, "Ageda 21", 1992

      2 남궁근, "정책학", 2010

      3 정정길, "정책결정론", 1988

      4 김동식, "프래그머티즘", 2002

      5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Ⅰ", 1960

      6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1992

      7 Hungerford, "The General Teaching Model", 2005

      8 김 용,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05

      9 조용기, "구성주의 교육의 구성",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교육철학, 1998

      10 Bergin, "Influence on classroom interest", 1999

      11 부산광역시교육청, "학교교육계획 도움 자료", 2009

      12 김정렬, 안병철, "정책결정모형의 얼개짜기", 한국정부학회 (구 대구경북행정학회), "한국행정논집, 2002

      13 S.Hide, K.Renninger, Krapp, "Interest, Learning, and Development", "Interest, 1992

      14 권영락(Young-Rak Kwon), 황만익(Man-Ik Hwang), "장소감의 환경교육적 의의", 韓國環境敎育學會, "환경교육, 2005

      15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1 지속가능발전교육 개황", 2011

      16 류주현, "거주지별 교육환경의 차별화", 한국 지리·환경 교육학회, 2006

      17 Dewey, 조용기,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흥미와 노력, 1913

      18 Stoker,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1998

      19 조성한, "거버넌스에 대한 새로운 이해", 고시계사, "국가정책연구, 2006

      20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1992

      21 Dewey, 박철홍, "experience and education,경험과 교육", "experience and education, 1938

      22 조규락, "구성주의 기반의 학습이론 탐구",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03

      23 진미숙, 정해일, "인문학적 관점의 교육환경 탐색", 2009

      24 Dewey, "Interest in relation to training of the will", Interest in relation to training of the Will, 1896

      25 Hidi, Renninger, "The four-phase model of interest development", 2006

      26 정영근, 전대욱, 정회성, "지방단위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 정책?평가연구원, 2005

      27 정영근, 이준,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 구원, 2003

      28 신현석(Shin, Hyun-Seok), "교육거버넌스 갈등의 쟁점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010

      29 홍동옥, 박수정, 모숙례, "교육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AHP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011

      30 이두곤(Du Gon Lee), "탐구 중심 환경교육의 개념과 의미", 韓國環境敎育學會, "환경교육, 2006

      31 심상명, 임연기, "21세기 학교경영혁신모형 개발 연구", 21세기 학교경영혁신모형 개발 연구, 1999

      32 이홍우, Dewey, "민주주의와 교육. Democracy and Education", 1916

      33 Schiefele, "T opic interest and levels of text comprehension", Topic interest and levels of text comprehension, 1992

      34 박호근, "정책결정모형의 이론화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안암교육학연구, 2001

      35 임호일, Hammermeister, "한스 게오르그 가다머.Hans-Georg Gadamer", 1999

      36 이두휴, "도시와 농촌간 교육양극화 실태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011

      37 최은영, "지역특성별 학교 간 교육환경의 격차", 2007

      38 진미정, "가족 구조에 따른 아동생활 시간 비교", 2008

      39 황혜정, "아동의 정서 행동 문제의 일관성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 아동의 정서?행동 문제의 일관성 연구, 1996

      40 김경근,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와 결정요인", 2005

      41 강인애,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대립에서 대화로", 한국교육공학연구회,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대립에서 대화로, 1997

      42 교육과학기술부, "고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육과정 해설서", 2010

      43 홍창남(Hong Chang-nam), "교육전문직의 역할 재구조화 방향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교육행정학연구, 2010

      44 황은주(Hwang Eun-Ju), "도시 공간의 교육환경 격차에 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008

      45 함인희, "사회구조적 변화와 가족의 적응 및 저항",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사회연구, 2003

      46 한경미, "취업 주부의 생활시간 사용과 시간 갈등", 1991

      47 Stables, "Environmental literacy: functional, cultural, critical", "Environmental literacy: functional, 1998

      48 남영숙,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영향평가론", 2010

      49 김형주, 최인재, 임지연, "한국청소년 발달지표 조사Ⅲ: 총괄보고서", 2008

      5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09 독일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회의 선언", 2009

      51 예철해(Ye Cheol-Hae), "듀이의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구성 원리",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5

      52 장남기, 이선경, "자기 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교육, 1993

      53 박순호, "초등학생일생생활 활동의 시·공간적 특성", 초등학생일생생활 활동의 시?공간적 특성, 2002

      54 Volk, Hungerford,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1990

      55 McKeown, "Educationa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olkit: version 2", 2002

      56 김윤섭, "교육정책 결정모형설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龍仁大學校 人文社會科學硏究所, "인문사회논총, 2003

      57 윤양수, 최영국, 이용우,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선정에 관한 연구", 2003

      58 Meece, Pintruch, Schunk, "Mor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orivation in Education: theory, 2008

      59 강인자, 김해연, "제주도 초등학생의 생활시간 사용 및 만족도", 2005

      60 진옥화, "환경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 측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61 UNESCO, "Framework for the UNDESD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2006

      62 김재한 ( Jai Han Kim ), "우리나라 대도시의 지속가능발전성 비교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63 임형백, "청소년의 환경 책무성 행동과 관련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청소년의 환경책무성 행동과 관련 변인 연구, 2002

      64 이효현, "Whitehead의 ‘학습자의 현재 경험’의 특성 고찰", 2011

      65 양미경, "교육과정의 성격에 대한 구성주의 관점의 시사",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 구, 2002

      66 이철우, "일상 생활활동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경북대학교, "사회 과학, 1997

      67 남영숙, "학교 생태감사의 이론적 고찰과 도입방안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환경영향평가, 2004

      68 이훈정, 이훈정, "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지역중심 환경수업 전략",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69 Dorman, "Association between classroom environment and academic efficacy", 2001

      70 오만석(Oh Mahn Seug), "한국 학생들의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韓國比較敎育學會, "비교교육연구, 2010

      71 김주영 ( Ju Young Kim ), 이대균 ( Dae Kyun Lee ), 장영순 ( Young Soon Jang ), "유아 담당 장학사의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희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구 중앙유아교육학회), "유아 담당 장학사의 어려움과 보람, 2009

      72 하승희, "H. G. Gadamer에 있어서의 ‘이해’와 그 교육적 의미", 2000

      73 장원규, "지역교육청의 장학사 문화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2008

      74 김은희(Kim Eun Hee), 이상원(Lee Sang Won),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환경소양 관련 변인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10

      75 정태범, "학교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육계획 수립과 운영", 2004

      76 소연희 ( Yeon Hee So ), 김성일 ( Sung Il Kim ), 윤미선 ( Mi Sun Yoon ),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진단 및 처방", 한국심리학회, "한국 학생의 학업에 대한 흥미: 실태, 2008

      77 NAAE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Guideline for Excellence", 2005

      78 Hidi, Anderson, "Situational interest and its impact on reading andexpository writing", Situational interest and its impact on reading and expository writing, 1992

      79 이명석(李明奭), "거버넌스의 개념화: 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2002

      80 Garner, Raudenbush, "Neighborhood effects on educational attainment: A multilevel analysis", 1991

      81 노화준, "정책평가론 : 프로그램성과와 정책혁신의 효과 평가", 法文社, 정책평가론: 프로그램성과와 정책혁신의 효과 평가, 2008

      82 Wals, Hesselink, "ESDebate: Internet discussion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0

      83 박선미, "Habermas 비판이론 관점의 지방교육정책 결정 모형 탐색", 전남대학교 대학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1

      84 Roth,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 in the 1990s",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1992

      85 성열관(Sung Youl-Kwan), 김경근(Kim Kyung-keun), 김정숙(Kim, Jung-sook), "학력 부진 아동의 특징 및 발생 원인에 대한 면담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007

      86 Hidi, "Interest, reading, and learn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Interest, 2001

      87 Pierre, "Models of urban governance: The institutional dimension of urban politics", 1999

      88 강상규, 이선경, "유네스코 지속가능발전교육 세계회의의 성과와 시사점",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

      89 Gayford, "Environmental literacy: Towards a sharedunderstanding for science teachers", 2002

      90 Voss, Schauble, "Is interest educationally interestin? An interest-relate model of learning", 1992

      91 Uzzell, R?thyel, "Transformative environmental education: a collective rehearsal for reality", 2009

      92 우종현, "도시공공서비스 측면에서의 대구시 고등학교 분포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한 국지역지리학회, 2002

      93 최영분, "지속가능성 교육으로서 초등학교 환경교육 체계화 연구", 단국대학교, "환경교육, 2005

      94 이미식 ( Mi Sik Lee ), 전필여 ( Phi Yeo Jun ), "학생의 생활시간 활용 및 도덕과 교육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08

      95 장소영, 남영숙, 지승현,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16개 시도교육청 교육정책 분석", 2007

      96 지승현, 남영숙,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방향탐색", 2007

      97 강기수(Kang, Gi-Su), "가정교육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98 임영신, 송영일, 김호석, 김이진, "환경평가와 지속가능발전지표 연계운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환경정책, 2007

      99 박하나(Ha-Na Park), 남영숙(Young-Sook Nam), "학교 환경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학교의제 21 개발 연구", 韓國環境敎育學會, "환경교육, 2005

      100 장호창, 남영숙,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과정의 학습자 특성 반영 유형 조사",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년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논문집, 2009

      101 이선경,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2005

      102 APA Task Force on Psychology in Education,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principles: Guidelines for school redesign and reform", 1993

      103 이은아, 신동희, 고희령, 주혜은, "중학생의 환경소양 평가 및 환경소양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한국환경교육학회, "환경교육, 2004

      104 Palmer, "Evironmental Educational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Evironmental Educational in the 21st Century: Theory, 1998

      105 UNESCO,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The first two years", 2007

      106 임현정, "학습부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과 학교의 교육맥락적 요인 탐색", 2009

      107 서우석, "청소년 여가 활동에 사회경제적 환경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7

      108 Lin, Lien, "New evidence on the link between housing environment and children's educational attainments", 2008

      109 박수억, "낮은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교효과", 한국교육사회학회, "교육사회학연구, 2011

      110 Bishop, Stables, "Weak and strong concep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impli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001

      111 박민자(Min-Ja Park), 손문금(Moon-Geum Son),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가족과 문화, 2007

      112 이효연, "Dewey의 경험과 Whietehead의 리듬의 특성 고찰: 통합성고 그것의 교육적 의미", 2010

      113 이상오 ( Sang O Lee ), "“학생”에 대한 Gadamer의 존재론적 이해 -인식론적 접근의 한계를 넘어서-", 한독교육학회, 2010

      114 조성화, "환경교사의 교수내용지식(ePCK)에 관한 연구; 환경교사 면담 내용에 기초하여", 2010

      115 김종욱, 정새롬,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실천 과정에서의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논문집, 2009

      116 변점출,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23개시·군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23개시?군을 대상으로, 2009

      117 McBeth, Volk, "The national environmental literacy project: A baseline study of middle grade student in the United states", 2010

      118 Mayer, Mogensen, Breiting, "Quality creteria for ESD-schools: Guideline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

      119 UNESCO, "Framework for a DESD Communication Strategy in support of the UN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7

      120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DESE, 2005-2014): 지속가능발전교육 맥락과 구조의 검토(2009)",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DESE, 2009

      121 신인섭, "우리나라 교육정책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법학전문대학원 도입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교육정책 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법학전문대학원도입 정책 사례를 중심으로, 2006

      122 UNESCO,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bla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2004

      123 성수자, "지방교육 거버넌스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교육자치와 지방자치의 연계성 확보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2011

      124 박준형,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J. Habermas의 절차적 민주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의 교육정책 형성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J, 2006

      125 구인회,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족구조와 가족소득, 2003

      126 박봉수, 박봉수, "지방교육거버넌스의 구조와 과정에 관한 연구 :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간 교육협력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127 김근수, "지역사회의 교육거버넌스 구축 방안: 대전지역 고등학교 교육문제에 대한 인식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2007

      128 Hsu, "The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nd associated environmental literacy variables in Taiwanese college students",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