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이 천태교관을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법화경』과 천태교관과의 관계는 불가분리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지의가 여러 대승경전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51026
2015
Korean
천태교판 ; 원융 ; 교상 ; 원교 ; 오시 ; 삼종교상 ; 화의사교 ; 화법사교 ; T’ien-t’ai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天台敎判) ; Complete Interfusion (圓融) ; Method of Conversion (敎相) ; Complete Doctrine (圓敎) ; Five Periods (五時) ; Threefold Methods of Conversion (三種敎相) ; Fourfold Methods of Conversion (化儀四敎) ; Fourfold Doctrines of Conversion (化法四敎)
220
KCI등재
학술저널
165-192(28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법화경』이 천태교관을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법화경』과 천태교관과의 관계는 불가분리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지의가 여러 대승경전의...
『법화경』이 천태교관을 구성하는 데에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은 무시할 수 없는 사실이므로 『법화경』과 천태교관과의 관계는 불가분리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지의가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다양하게 활용한 것을 보면, 천태교관과 『법화경』과의 관계는 다소 애매해진다. 절대적으로 평등하게 바라보는 경전관을 반영하는 천태교관의 토대는 당시 강남과 강북에서 각각 『열반경』과 『화엄경』에 몰두한 교계의 풍토와는 아주 다른 것이다.
사실 『법화경』이 천태의 교관체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그리 크지 않다. 여러 대승경전의 원융원리를 골고루 나눠 쓴 지의의 공평한 분배력이 제대로 발휘된 까닭이다. 전불교를 질서세우면서 모든 경전을 개현(開顯)하는 사상을 구현한 것은 지의의 획기적인 탈종파적 발상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하였으리라고 생각된다. 특히 경전을 외형적인 부류로만 구분하는 부판(剖判)이 아니라 경전 내부의 교상을 분류하고 해석하는 교판(敎判)적 이해를 통해 가능한 것 같다. 천태교판은 법화뿐만 아니라 모든 대승경전에 원교의 교상이 담겨 있다고 보는 아주 새로운 방식의 교판설이다. 법화를 비롯한 여러 경전의 사상과 체계로 오시(五時)를 비롯하여 삼종교상 및 화의사교와 화법사교를 구성함으로써 종래에 경전을 부류로만 판단하여 우열논쟁에 빠져있던 교계에 경종을 울린 것은 천태 교판론의 승리로 보인다.
지의는 법화삼매의 증득을 통해 『법화경』의 경의(經意)를 정확하게 읽었고 그것을 삼대부(三大部)로 구현하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그런 개현사상은 법화우월이 아니라 오히려 ‘탈법화’를 선언하게 되었고 그것으로써 그는 그때까지 누구도 해낼 수 없었던 통불교(通佛敎)를 구현해 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안타깝게 후대에 들어서면 지의의 본의와는 멀어지게 되어 경전 내부를 판석하는 교상을 이해하지 못하고 부판으로만 치달아 결국 경전의 우열만을 따지는 법화제호(法華醍?)로 전락하게 된 것은 안타깝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it is undeniable that the Lotus Sutra (法華經)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天台敎觀),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one may consider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m became somewh...
As it is undeniable that the Lotus Sutra (法華經)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天台敎觀), they cannot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However, one may consider that the relation between them became somewhat ambiguous after Chih-i(智?) actively used the principle of Complete Interfusion (圓融). The perspective of regarding every Sutra as equal that forms the basis of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Buddhism in the regions south and north of the Yangtze River in China, where much importance is placed on the Nirvana Sutra (涅槃經) and the Hua-yen Sutra (華嚴經).
In fact, the influence of the Lotus Sutra on the T’ien-t’ai Method of Practice is not quite as great as one might think, mainly due to the fact that Chih-i showed fairness by equally distributing different Principles of Interfusion from several Mahayana Sutras in his works. Had it not been for the radical, boundary-breaking idea of the T’ien-t’ai,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establish the existing order of Buddhism and embody the idea that revolutionizes all the Sutras. This was done by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the Methods of Conversion in the Sutras, not by simply categorizing the Sutras as Buddhist resources. The T’ien-t’ai Classification of Buddha’s teachings (天台敎判) is a whole new way of classification that represents not only the Lotus Sutra but all the other Mahayana Sutras (大乘經典) as containing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of the Complete Doctrine (圓敎). By using ideas and systems from the Lotus and other Sutras, the T’ien-t’ai established their ideas, including the Five Periods (五時), the Threefold Method of Conversion (三種敎相), the Fourfold Method of Conversion (化儀四敎), and the Fourfold Doctrine of Conversion (化法四敎). Hence, it seems like a great achievement for the T’ien-t’ai Theory of Classification to raise the alarm for Buddhists that time, who mistakenly regarded the Sutras as types of Buddhist teachings and were preoccupied with discussing their merits and demerits.
By mastering the samahdi of the Lotus Sutra (法華三昧), Chih-i accurately understood the meaning of the Lotus Sutra and devoted himself to embodying them in the Three Scriptures (三大部). This idea of enlightenment declared a separation from the Lotus Sutra rather than insisting on its superiority. Thanks to this, Chih-i became the very first person to manifest the Shared Buddhism (通佛敎). Nevertheless, it is a shame that after so many generations Buddhism has drifted away from what Chih-i intended, and now has no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Conversion (敎相), which classifies the inner teachings of the Sutra, instead putting too much emphasis on discussing the merits and demerits of Sutras, to the point of falling into the Fifth Flavor(醍?)-Centr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池昌圭, "초기 天台敎判의 성립 특색" 天台佛敎文化硏究院 175-214, 1999
2 지창규, "천태학노트" 법화학림 2009
3 지창규, "천태지의와 화엄경 - 華嚴別圓說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69 : 133-160, 2014
4 지창규, "천태지의와 『유마경』 - 湛然의 천태구성설 및 법화제호설과 관련하여 -" 불교문화연구원 (69) : 35-59, 2014
5 池昌圭, "천태사상론" 법화학림 2008
6 李永子, "천태불교학" 해조음 2008
7 田村芳朗 梅原猛, "천태법화의 사상" 민족사 1992
8 池昌圭, "수행법 연구" 조계종출판사 611-657, 2005
9 李起雲, "법화삼매 행법 원문 ․ 번역, 법화삼매의 전승과 수행" 성불사 2002
10 지창규, "대승 경론의 四諦 해석 - 천태 사제론과 관련하여 -" 불교문화연구원 (49) : 111-142, 2008
1 池昌圭, "초기 天台敎判의 성립 특색" 天台佛敎文化硏究院 175-214, 1999
2 지창규, "천태학노트" 법화학림 2009
3 지창규, "천태지의와 화엄경 - 華嚴別圓說을 중심으로 -" 한국불교학회 69 : 133-160, 2014
4 지창규, "천태지의와 『유마경』 - 湛然의 천태구성설 및 법화제호설과 관련하여 -" 불교문화연구원 (69) : 35-59, 2014
5 池昌圭, "천태사상론" 법화학림 2008
6 李永子, "천태불교학" 해조음 2008
7 田村芳朗 梅原猛, "천태법화의 사상" 민족사 1992
8 池昌圭, "수행법 연구" 조계종출판사 611-657, 2005
9 李起雲, "법화삼매 행법 원문 ․ 번역, 법화삼매의 전승과 수행" 성불사 2002
10 지창규, "대승 경론의 四諦 해석 - 천태 사제론과 관련하여 -" 불교문화연구원 (49) : 111-142, 2008
11 趙明基, "高麗大覺國師와 天台思想" 경서원 1991
12 池昌圭, "韓國佛敎學結集大會論集 第2輯(上卷)" 韓國佛敎學結集大會組織委員會 636-657, 2004
13 李永子, "韓國 天台思想의 展開" 민족사 1993
14 池昌圭, "諦觀의 5時8敎 再考" 韓國佛敎學會 18 : 485-510, 1993
15 池昌圭, "荊溪湛然의 교판사상" 韓國佛敎學會 26 : 113-137, 2000
16 福田堯潁, "續 天台學槪論" 文一出版 1959
17 佐藤哲英, "續 天台大師の硏究" 百華苑 1981
18 智顗, "維摩經玄疏 6권"
19 智顗, "維摩經文疏 28권"
20 "玉岡蒙潤 集,四敎儀集註 3권"
21 鹽田義遜, "法華經の硏究" 日本圖書 1978
22 坂本幸男, "法華經の思想と文化" 平樂寺書店 1968
23 中村瑞隆, "法華經の思想と基盤" 平樂寺書店 1980
24 坂本幸男, "法華經の中國的展開" 平樂寺書店 1972
25 池昌圭, "法華玄義의 開顯과 觀心" 한국불교학회 (47) : 125-163, 2007
26 지창규, "法華玄義의 實相觀 - 體玄義의 十乘觀法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56) : 7-41, 2010
27 지창규, "法華玄義의 三種敎觀論" 한국선학회 (16) : 91-140, 2007
28 智顗, "法華玄義 10권"
29 智顗, "法華文句 10권"
30 丸山孝雄, "法華敎學硏究序說" 平樂寺書店 1978
31 鹽田義遜, "法華敎學史の硏究" 日本圖書 1978
32 橫超慧日, "法華思想の硏究" 平樂寺書店 1975
33 橫超慧日, "法華思想" 平樂寺書店 1980
34 智顗, "次第禪門 10권"
35 島地大, "敎理と史論" 中山書院 1931
36 智顗, "摩訶止觀 10권"
37 智顗, "小止觀 1권"
38 鳩摩羅什, "妙法蓮華經 7卷"
39 지창규, "天台의 四種四諦 硏究- 法華玄義와 天台四敎儀를 비교하여" 불교문화연구원 (46) : 7-34, 2007
40 이기운, "天台의 四一과 元?의 四法" 불교학연구회 11 (11): 5-29, 2005
41 지창규, "天台의 十二因緣論" 한국불교학회 (51) : 31-60, 2008
42 島地大, "天台敎學史" 中山書院 1978
43 池昌圭, "天台敎判硏究序說" 東國大學校佛敎大學院 6 : 121-143, 1999
44 安藤俊雄, "天台性具思想論" 法藏館 1953
45 池昌圭, "天台思想과 東洋文化, 大蓮李永子博士華甲紀念論叢" 불지사 171-187, 1997
46 李起雲, "天台思想과 東洋文化, 大蓮李永子博士華甲紀念論叢" 불지사 1997
47 安藤俊雄, "天台思想史" 法藏館 1959
48 新田雅章, "天台思想入門" 第三文明社 1977
49 鎌田茂雄, "天台思想入門" 講談社 1984
50 新田雅章, "天台實相論硏究" 平樂寺 1969
51 李起雲, "天台學硏究 6 : 天台大師의 再照明" 天台佛敎文化硏究院 247-276, 2004
52 池昌圭, "天台學硏究 6 : 天台大師의 再照明" 大韓佛敎天台宗天台佛敎文化硏究院 201-246, 2004
53 池昌圭, "天台學硏究 4 :大覺國師 義天과 東아시아 佛敎" 天台佛敎文化硏究院 501-533, 2003
54 李起雲, "天台學硏究 4 : 大覺國師 義天과 東아시아 佛敎" 天台佛敎文化硏究院 421-451, 2003
55 池昌圭, "天台學硏究 3 : 21世紀 文明과 天台思想" 大韓佛敎天台宗天台佛敎文化硏究院 431-466, 2001
56 福田堯潁, "天台學槪論" 三省堂 1954
57 安藤俊雄, "天台學" 平樂寺 1969
58 지창규, "天台大師의 敎判論" 한국불교학회 (40) : 33-56, 2005
59 佐藤哲英, "天台大師の硏究" 百華苑 1961
60 京戶慈光, "天台大師の生涯" 第三文明社 1975
61 池昌圭, "天台四敎儀의 開會論" 天台佛敎文化硏究院 1 : 269-291, 1998
62 지창규, "天台四敎儀와 法華玄義" 불교문화연구원 (63) : 85-108, 2012
63 지창규, "天台四敎儀 集解·備釋·集註의 法華解釋" 한국불교학회 37 (37): 1-30, 2004
64 諦觀法師, "天台四敎儀 1권"
65 新田雅章, "天台哲學入門" 第三文明社 1977
66 二宮守人, "天台の敎義と信仰" 國書刊行會 1977
67 지창규, "天台 지의의 경문해석─ 法華文句의 四種釋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48) : 55-82, 2008
68 池昌圭, "天台 止觀修行의 원리와 실제" 大韓佛敎天台宗總務院 105-129, 2002
69 池昌圭, "天台 五時敎判의 思想體系" 天台佛敎文化硏究院 2 : 361-389, 2000
70 지창규, "天台 三大 敎判書의 法華解釋" 불교문화연구원 (41) : 69-86, 2004
71 灌頂, "大般涅槃經疏 33권"
72 灌頂, "大般涅槃經玄義 2권"
73 智顗, "四敎義 12권"
74 神智從義, "四敎儀集解 3권"
75 元粹, "四敎儀備釋 2권"
76 日比宣正, "唐代天台學硏究" 山喜房佛書林 1975
77 日比宣正, "唐代天台學序說" 山喜房佛書林 1966
78 池昌圭, "唐代 明曠의 천태교관 :八敎大意를 중심으로" 韓國佛敎學會 27 : 189-218, 2000
79 智顗, "六妙法門 1권"
80 鹽入良道 金剛秀友, "佛敎內部における對論 佛敎思想史 4" 平樂寺書店 1981
81 池昌圭, "五時八敎와 三種敎相" 韓國佛敎學會 19 : 373-411, 1994
82 智顗, "三觀義 2권"
83 池昌圭, "『韓國佛敎學』 結集大會論集 제1집(上卷)" 한국불교학결집대회조직위원회 749-756, 2002
84 지창규, "『天台四敎儀』의 敎判論 -『天台四敎儀』는 화엄종 입장에서 서술되었다는 설에 대하여 -" 한국불교학회 (36) : 51-88,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5 | 1.31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