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방언 조사를 위한 지역 언어문화 기반, 어떻게 조성할 것인가 -(사)경남방언연구보존회 결성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98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wadays various regional dialects have been disappearing faster than we can imagine. At this point what we can do best is to devise some measures stopping or delaying their disappearance. But this is in no way easy task. Even though devising the proper measures, we can not but investigate and record dialects preparing for the worst.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consider some methods to foster the local basis of language and culture for dialectal research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e author experienced forming the corporation of Allied Association for Kyungnam Dialect in 2012, which was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nd studying and preserving Kyungnam dialects. Therefore, he made efforts to hit the target with this line of experience. In chapter 2, the author introduced the corporation of Allied Association for Kyungnam Dialect and made some brief comments on the related works. In chapter 3, he gave a detailed account of two preliminary dialectal investigations. What was mainly dealt with here are mak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dialect investigations, and their evaluation. The 4th chapter was allotted to the author’s viewpoint to foster the local basis of language and culture for the investigation of dialects. What he emphasized in this chapter with combined conclusion are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for orthodox scholars and civil researcher to organize group for collaborating together in investigation and study of dialects. Second,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should give financial support. Third, it is very important that members of organized groups promote friendship. Fourth, the space, especially cyber-space including internet, for members to share their data with one another, is required.
      번역하기

      Nowadays various regional dialects have been disappearing faster than we can imagine. At this point what we can do best is to devise some measures stopping or delaying their disappearance. But this is in no way easy task. Even though devising the prop...

      Nowadays various regional dialects have been disappearing faster than we can imagine. At this point what we can do best is to devise some measures stopping or delaying their disappearance. But this is in no way easy task. Even though devising the proper measures, we can not but investigate and record dialects preparing for the worst. This paper has been written to consider some methods to foster the local basis of language and culture for dialectal research with these circumstances in mind. The author experienced forming the corporation of Allied Association for Kyungnam Dialect in 2012, which was organiz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and studying and preserving Kyungnam dialects. Therefore, he made efforts to hit the target with this line of experience. In chapter 2, the author introduced the corporation of Allied Association for Kyungnam Dialect and made some brief comments on the related works. In chapter 3, he gave a detailed account of two preliminary dialectal investigations. What was mainly dealt with here are making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dialect investigations, and their evaluation. The 4th chapter was allotted to the author’s viewpoint to foster the local basis of language and culture for the investigation of dialects. What he emphasized in this chapter with combined conclusion are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it is necessary for orthodox scholars and civil researcher to organize group for collaborating together in investigation and study of dialects. Second,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should give financial support. Third, it is very important that members of organized groups promote friendship. Fourth, the space, especially cyber-space including internet, for members to share their data with one another, is requir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인만, "합천 지방의 말 ― 사투리 ―" 합천문화원 2012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Ⅸ 제주도 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Ⅷ 경상남도 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Ⅶ 경상북도 편"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Ⅵ 전라남도 편"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Ⅴ 전라북도 편"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Ⅳ 충청남도 편"

      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Ⅲ 충청북도 편"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Ⅱ 강원도 편"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Ⅰ 경기도 편"

      1 송인만, "합천 지방의 말 ― 사투리 ―" 합천문화원 2012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Ⅸ 제주도 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Ⅷ 경상남도 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Ⅶ 경상북도 편"

      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Ⅵ 전라남도 편"

      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Ⅴ 전라북도 편"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Ⅳ 충청남도 편"

      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Ⅲ 충청북도 편"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Ⅱ 강원도 편"

      1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 방언 자료집 Ⅰ 경기도 편"

      11 김회룡, "하동의 토속어" 하동문화원 2006

      12 김영태, "창원 지역어 연구" 경남대학교출판부 1985

      13 장일영, "진주 지역 방언집" 금호출판사 2002

      14 조규태, "진주 사투리" 문화고을 2010

      15 신기상, "울산방언 사전"

      16 조홍제, "울산 방언" 제일 2000

      17 김정대, "언어지리학적 관점으로 본 경남방언의 특성"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2) : 67-106, 2000

      18 정재도, "삶의 힘발이 솟구쳐 앞날 밝힐 횃불 ― 『대한언론』(2014. 7월호)을 보고 ―" 한글학회 (504) : 9-10, 2014

      19 부산사투리보존협회, "부산사투리 사전" 도서출판 삼아 2003

      20 김성재, "방언 속에 내 고향이 있었네" 박이정 2011

      21 김정대, "마산시사" 마산시사편찬위원회 1401-1461, 1997

      22 김필순, "동래 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경남대 대학원 2000

      23 김종도, "남해 사투리 사전" 남해신문사 2005

      24 윤명희, "경상도 우리 탯말: 어머니와 고향이 가르쳐 준 영혼의 말" 소금나무 2006

      25 이근열, "경남방언의 음운론" 세종출판사 1997

      26 김인기, "강릉방언 대사전" 도서출판 동심방 2014

      27 김정대, "‘이 시대’ 방언 조사 연구의 이론과 실제" 우리말학회 (37) : 5-44, 2014

      28 국립국어원, "2010년도 경남 지역어 조사 보고서(어휘ㆍ음운ㆍ문법)"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