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구 장애인 운동의 역사 = History of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23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Korea from 1977 to 2020’s, and tried to figure out who was the subject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by period, and what the paradigm shift was like when analyzing accor...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Korea from 1977 to 2020’s, and tried to figure out who was the subject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by period, and what the paradigm shift was like when analyzing according to Priestly’s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can be divided into the period from 1977 to 1992 as the beginning of rights movement composed mainly of young-physically disabled people, the period from 1993 to 1999 as the period of the movement to improve the facilities composed by disability organization, the period from 2000 to 2012 as the period of movement for civil rights by people severe disabilities, the period from 2013 to 2016 as the emergence of the self-advocacy movement b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eriod after 2016 as closure of institutions, deinstitutionalization, and movement of dealing with infectious diseas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have improved from petitions to include some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tandards and systems set by non-disabled people to a movement of social integration to obtain civil righ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ive as members of society, without being discriminated, excluded, segregated or rejected as equal citizens with non-disabled people.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participant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have diversified from polio, physically disabled people to people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using electric wheelchairs, women with disabilitie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have expanded to parent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ird,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has developed in solidarity and cooperation with other social movements, not only by those with disabilities.
      Fourth, when I analyze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according to Priestly’s multiple paradigm of disabil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has been a paradigm shift from ‘individual materialism’ and ‘individual idealism’ to ‘social creationism’ and ‘social constructionism’. However, the paradigm shift was not a monolithic one, and it can be seen that ‘individual materialism’ and ‘individual idealism’ co-exist in the 2000’s and beyond,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times and the needs of the movement’s subjects.
      Fifth, in the history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it can be seen that the ‘social constructionism’ position,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in disability, education for eliminating discriminating culture, awareness-rising projects, and cultural activities,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can be made;
      First, the research would be made more lively by interviewing the participants’ thoughts and feelings about the changes in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Daegu.
      Second, more in-depth analysis would be made by researching human rights abuse and corruption that occurred in institutions in Daegu, other than Daegu municipal institution, House of Hope, and the movement of institution closure and deinstitutionalization, and the process of deinstitutionalized people with disabilities becoming involved in disability rights movement.
      Third, a more three-dimensional analysis would be made by examining how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in the central region and the movements Daegu intersected and changed, and how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changed in the response to the changes in disability policies and syst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구 장애인 운동 역사 연구를 통해 1977년부터 2020년대까지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변천을 살펴보고, 시기별 장애인 운동의 주체는 누구였는지, Priestly의 장애 다중 패러다임에 ...

      본 연구는 대구 장애인 운동 역사 연구를 통해 1977년부터 2020년대까지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변천을 살펴보고, 시기별 장애인 운동의 주체는 누구였는지, Priestly의 장애 다중 패러다임에 따라 분석할 때 패러다임에서의 변화 양상은 어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은 1977년부터 1992년까지를 청년・지체장애인 중심의 권리 운동의 시작 시기, 1993년부터 1999년까지를 장애인단체 중심의 편의시설 개선 운동의 시기, 2000년부터 2012년까지를 중증장애인 중심의 시민권 쟁취 운동의 시기, 2013년부터 2016년까지를 발달장애인 중심의 자기옹호 운동의 출현 시기, 2016년 이후를 탈시설 장애인 중심의 시설폐쇄・탈시설 운동과 감염병 대응 운동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은 비장애인들이 정한 기준과 제도에 일부 장애인들이 포함되려는 청원운동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등한 시민으로서 차별‧배제‧분리‧거부당하지 않고, 장애인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시민권을 획득하기 위한 사회통합 운동으로 발전하여왔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주체는 소아마비 중심의 신체장애인에서 시작하여 전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중증의 신체장애인, 여성장애인, 발달장애인으로 다양해졌으며, 장애인 부모, 비장애인 등과 함께 운동을 전개하며 확대‧발전하여왔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은 장애인들만의 운동이 아니라, 다른 사회운동 세력과 연대‧협력하며 발전하여왔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은 Priestly의 장애 다중 패러다임에 따라 분석하였을 때 ‘개별적 유물론’ 입장과 ‘개별적 관념론’ 입장에서 ‘사회적 창조주의’ 입장과 ‘사회적 구성주의’ 입장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해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패러다임의 변화가 단선적으로 변화한 것은 아니며, 시대적 상황과 운동 주체가 필요로 하는 요구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도 ‘개별적 유물론’ 입장과 ‘개별적 관념론’ 입장이 함께 공존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역사에서 장애에 대한 차이 인정, 차별문화 소거를 위한 교육, 인식개선 사업, 문화 활동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구성주의’ 입장의 활동이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해보면,
      첫째,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변천 과정과 장애인 운동 주체들이 당시 운동 과정에서 했던 생각과 느낀 점을 인터뷰하여 운동에 참여한 당사자의 입장을 더욱 생동감 있게 연구에 담았으면 한다.
      둘째, 대구시립희망원 외 대구지역 장애인 거주시설에서 일어난 인권유린 및 비리사건에 대한 대응, 시설폐쇄‧탈시설 운동과 탈시설 장애인들이 장애인 운동에 참여하게 된 과정을 더 깊이 있게 분석하였으면 한다.
      셋째, 중앙지역의 장애인 운동과 대구지역의 장애인 운동이 상호 교차하며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장애인 정책과 제도의 변화에 따라 대구지역 장애인 운동의 변화 양상은 어떠하였는지 더욱 입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면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
      • Ⅱ. 선행연구 검토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
      • Ⅱ. 선행연구 검토 5
      • 1. 장애인 운동의 정의 5
      • 2. 장애인 운동의 시기 구분 8
      • 3. 장애인 운동의 주체 구분 10
      • 4. 장애인 운동 분석의 틀 12
      • Ⅲ. 연구 방법 15
      • 1. 연구 자료와 범위 15
      • 2. 자료 수집 16
      • 3. 분석의 틀 16
      • Ⅳ. 대구 장애인 운동의 시기별 변천, 주체, 패러다임의 분석 19
      • 1. 청년・지체 장애인 중심의 권리 운동의 시작(1977~1992년) 19
      • 2. 장애인단체 중심의 편의시설 개선 운동(1993~1999년) 27
      • 3. 중증장애인 중심의 시민권 운동(2000~2012년) 33
      • 4. 발달장애인 중심의 자기옹호 운동 출현(2013~2016년) 50
      • 5. 탈시설 장애인 중심의 시설폐쇄・탈시설 운동과 감염병 대응 운동 (2016년 이후) 55
      • Ⅴ. 결론 및 제언 67
      • 1. 연구결과 요약 67
      • 2. 연구의 함의 72
      • 3. 연구의 한계점과 제언 74
      • 참고문헌 76
      • 영문초록 8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