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Kendo Instructor's Leadership Type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Play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2211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부산지역의 2010년 현재 대한검도회 정식 등록된 중 ․ 고등학교 팀...

      본 연구는 검도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대구, 부산지역의 2010년 현재 대한검도회 정식 등록된 중 ․ 고등학교 팀들과 팀에 소속된 선수들을 대상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200명을 표집 하였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 누락된 2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98명의 설문지를 실제 연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리더십유형, 만족도는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에 따른 리더십유형에서 과업주의, 혁신주의, 지지주의, 민주주의는 고등학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주의에서만 중학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혁신주의, 지지주의, 민주주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리더십유형에서 과업주의, 혁신주의는 남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지주의, 참여주의, 민주주의는 여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리더십유형에서 과업주의는 중3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주의는 고1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지주의는 고3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주의는 중3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주의는 고1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수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선수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에서 과업주의는 3년~4년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혁신주의는 2년 이하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지주의는 3년~4년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참여주의는 3년~4년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주의는 3년~4년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지지주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에서 과업주의, 혁신주의, 지지주의, 참여주의, 집단에서는 1회~2회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민주주의 집단에서는 3회 이상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교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교에 따른 만족도에서 운동만족, 심리만족 모두 중학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른 만족도에서 운동만족, 심리만족 남자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른 만족도에서 운동만족은 중3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만족 모두 중1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수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선수경력에 따른 만족도에서 운동만족은 2년 이하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만족은 5년~6년 집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는 운동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입상경력에 따른 만족도에서 운동만족, 심리만족은 1회~2회 집단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리더십유형,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과업주의는 혁신주의, 지지주의, 참여주의, 민주주의, 운동만족,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혁신주의는 지지주의, 참여주의, 민주주의, 운동만족,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지지주의는 참여주의, 민주주의, 운동만족,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참여주의는 민주주의, 운동만족,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민주주의는 운동만족,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며, 운동만족은 심리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운동만족에서 과업주의, 혁신주의, 민주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²)가 .405로 나타나 운동만족, 리더십유형을 설명하는 정도가 전체변량의 40.5%임을 알 수 있다.
      심리만족에서 과업주의, 지지주의, 민주주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결정계수(R²)가 .388로 나타나 심리만족, 리더십유형을 설명하는 정도가 전체변량의 38.8%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iddle and highschool teams and the players officially registered in KKA(Korea Kumdo Association) in Daegu, Busan area as of 2010 have been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subjects. 200 subjects have been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middle and highschool teams and the players officially registered in KKA(Korea Kumdo Association) in Daegu, Busan area as of 2010 have been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the subjects. 200 subjects have been selected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except those 2 questionnaires which are proved to be dishonestly responded or be omitted, total 198 questionnaires are selected as effective sample and be used in relevant research.
      To verify this research agenda, the data about the leadership type and the satisfaction level are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s. hereupon, below conclusion is drawn.
      The leadership type sorting by schools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adership type sorting by schools, high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oriented principle, progressivism, support-oriented principal and the democracy. only in participativism part, the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Sorting by sex, progressivism, support-oriented principal and the democracy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Sorting by sex, male group shows the highest performance-oriented principle and progressivism level and female group shows the highest support-oriented principal, participativism and the democracy level.
      Sorting by grades, leadership type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Sorting by grades, 3rd year in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oriented principle level and 1st year in high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progressivism. 3rd year in high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support-oriented principal. 3rd year in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participativism and 1st year in high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democracy.
      Sorting by career of players, leadership type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Sorting by career of players, players who have more than 3~4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oriented principle. and the players who have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progressivism. Players who have more than 3~4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support-oriented principal. players who have more than 3~4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participativism. and players who have more than 3~4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democracy.
      Sorting by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leadership typ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Sorting by the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players who have won the prize 1~2 tim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performance oriented principle, progressivism, support-oriented principal and participativism. and players who won the prize more than 3tim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democracy.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schools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schools,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both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sex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sex, the male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both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grades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grades, 3rd year in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sports satisfaction. and 1st year in middle school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career of players shows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career of players, the players who have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sports satisfaction. and players who have 5~6 years of experienc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only in sports satisfaction part. in the satisfaction level sorting by experience of winning a prize, players who have won the prize 1~2 times shows the highest level of both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interrelation of leadership type and satisfaction level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performance oriented principle, progressivism, support-oriented principal, participativism, democracy,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he progressivism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support-oriented principal, participativism, democracy,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he support-oriented principal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participativism, democracy,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he participativism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democracy,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he democracy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sports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the sports satisfaction shows the positive interrelation 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 sports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 performance oriented principle, progressivism and democracy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suitability of the mod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²) showed .405 indicating that the percentage of explanation about sports satisfaction and leadership type is 40.5% of total variance.
      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the performance oriented principle, support-oriented principal and the democracy show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n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suitability of the model,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²) showed .388 indicating that the percentage of explanation about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leadership type is 38.8% of total vari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모형 5
      • 4. 연구의 가설 5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3. 연구모형 5
      • 4. 연구의 가설 5
      • 5. 연구의 제한점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리더십의 개념 7
      • 2. 리더십 이론 9
      • 1) 특성이론 9
      • 2) 행동이론 12
      • 3) 상황이론 18
      • 3. 스포츠 리더십 연구 24
      • 1) 스포츠에서의 리더십 유형 26
      • 4. 선수만족도 28
      • Ⅲ. 연구 방법 31
      • 1. 연구대상 31
      • 2. 연구도구 32
      • 3. 조사절차 37
      • 4. 자료처리 37
      • Ⅳ. 결과 및 논의 38
      • 1. 결과 38
      • 1) 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 38
      • (1) 학교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 38
      • (2) 성별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 39
      • (3) 선수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 39
      • (4) 입상경력에 따른 리더십유형의 차이 40
      • 2) 선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41
      • (1) 학교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1
      • (2) 성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2
      • (3) 학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2
      • (4) 선수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3
      • (5) 입상경력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44
      • (6) 리더십유형, 만족도의 상관관계 44
      • 3) 리더십유형에 따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45
      • (1) 운동만족이 리더십유형에 미치는 영향 45
      • (2) 심리만족이 리더십유형에 미치는 영향 46
      • 2. 논의 46
      • Ⅴ. 결론 및 제언 48
      • 1. 결론 48
      • 2. 제언 50
      • 참고문헌 51
      • 부록 55
      • 영문초록 60
      • 국문초록 6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