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post: 뒤의 또는 반대의, modernism: 모더니즘) 시대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은 하나의 시대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는 것이며,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30105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학위논문(석사) --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 신학과 , 2010. 2
2010
한국어
서울
iv, 117 p. ; 26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post: 뒤의 또는 반대의, modernism: 모더니즘) 시대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은 하나의 시대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는 것이며, 그...
현대는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post: 뒤의 또는 반대의, modernism: 모더니즘) 시대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시대가 도래 했다는 것은 하나의 시대적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났다는 것이며, 그에 따라 사람들의 가치관과 사고체계, 표현 방식, 의사소통의 방식 등도 변화했다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은 각 사회가 처해있는 여러 상황에 의해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한국 사회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영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한 사회 안에 완벽하게 포스트모더니즘으로의 변화가 이루어진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더니즘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고 있는 과도기적 상태에 있다. 분명한 것은 오늘의 한국 사회 안에 포스트모더니즘이 도래 했다는 것이고 상당히 광범위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예배 안에서도 여러 가지 시도들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이 세대속의 교회는 마치 외국 문화 속으로 진입한 선교사들이 그 문화에 적응하기 위해 그들과 함께 생활하고,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그들의 옷을 입고, 그들의 사고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기독교 이후 세대라 불리 우는 이머징(emerging) 세대들을 접할 때 그들의 삶에 이미 널리 퍼진 세계관을 인식하고 접근해야 한다. 교회는 불변의 진리와 영원한 목적에 중심을 두고 있어야 하지만, 시대와 사람들의 가치관이 끊임없이 변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민감해야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사회로의 전환은 예배의 패러다임에도 전환을 가져왔다. 그것의 대안으로 이머징(emerging) 예배, 블랜디드(blended) 예배, 영국의 대안(alternative) 예배 등이 주목받고 시도되고 있으며 한국도 한국적인 풍토에 따른 대안을 찾아 변화하는 시대에 드려지는 예배에 대하여 반응해야 할 것이다. 분명히 예배는 하나님께 드려지는 것이지만 하나님을 체험하고 경험하는 예배의 결과로 복음이 구도자들에게 전해지기 때문이다. 성만찬이나 교회력 등의 기독교 역사 속에서 그리스도 중심적인 예전들을 새롭고 창조적인 방식으로 재정립하고, 예배의 공간이나 예술 등의 사용들을 통해서 변화하는 문화적 코드(code)를 적용해야 할 것이다. 물론 시도에 있어서 교회 전체에 영향이 미칠 정도의 지나친 변혁을 시도한다거나 공동체 안에서 충분한 동의와 의견 수렴이 없는 상태에서 몇몇 사람들만의 변혁은 옳지 않지만, 새로운 예배는 시도되어야 한다. 최선을 다해 우리의 모든 것을 드려 드리는 예배가 하나님께 드리는 최고의 응답이기 때문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