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231894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9-352(24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평가하고 놀이치료 접근을 통해 문제행동을 지도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의 효과적인 교육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K도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 다니는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보이는 만 5세 유아 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절차는 유아·부모 기초검사를 수행하고, 문제행동 지도를 위한 놀이환경을 구성한 후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를 시행하였다. 기초검사는 부모상담, 원장님 면담, 유아의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를 이용하여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를 측정하였으며 놀이치료에 기반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는 본 연구자가 매주 1회, 40분씩, 총 20회기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놀이치료가 이루어진 이후 부모상담도 함께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양적 및 질적으로 이루어졌다.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전과 후에 따른 차이의 양적 분석을 위해 주의력결핍과 유아 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는 놀이치료에 기반한 정서·사회적 문제행동 지도 과정의 비디오 녹화 및 전사, StainBack & StainBack 현장노트기록, 부모 상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주의력결핍 및 유아행동문제에서도 모두 정상군의 수치로 나타났고, 자신감 있게 정서를 표현하고 사회적 유능감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정서·사회적 문제행동을 지도하는데 있어 놀이치료에 기반한 본 연구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change in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and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change in children through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and to suggest effective educational guida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ubjects were 2 children who have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They were 5 year olds children who go to the S daycare center in K-do. For the study, parents counseling, directors of the child care centers counseling, K-ARS and K-CBCL, and SSCT were used to examin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were carried out in the playroom.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for each child. Each case consisted of 20 sessions and each 40 minutes session was conduced once a week.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were the video clips and scripts of the process of the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StainBack & StainBack's(1984) field note, and records of parents counseling. The quantitative data K-ARS and K-CBCL were used. In conclusion,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behavior guidance based on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children’s emotional and social problem.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신,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 척도(K-ARS)의 규준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352-359, 2003
2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2009
3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19-343, 2009
4 남우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3 (3): 53-62, 2000
5 소경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6 이숙희, "정신지체아의 위축된 행동의 놀이치료 사례" 4 (4): 119-135, 2000
7 곽희숙, "정서·행동장애 특성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3
8 김성현,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2015
9 지성애,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97-219, 2014
10 지성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주의력결핍 및 다중지능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39-160, 2013
1 김영신, "한국어판 부모 및 교사용 ADHD 평가 척도(K-ARS)의 규준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2 (42): 352-359, 2003
2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2009
3 하영례,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6 (16): 319-343, 2009
4 남우현,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3 (3): 53-62, 2000
5 소경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2
6 이숙희, "정신지체아의 위축된 행동의 놀이치료 사례" 4 (4): 119-135, 2000
7 곽희숙, "정서·행동장애 특성을 보이는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3
8 김성현, "인지놀이에 기반한 유아 정서·사회적 유능감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앙대학교 2015
9 지성애, "유아의 행동문제와 인지능력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197-219, 2014
10 지성애,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주의력결핍 및 다중지능 간의 관계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39-160, 2013
11 지성애, "유아놀이지도" 정민사 1994
12 박문성, "유아기 아동의 부적응 실태 및 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6
13 박금자, "유아교사의 효능감이 유아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2012
14 양수영,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행동 관리능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295-314, 2014
15 김연하, "유아 문제행동 지도전략 척도- 교사용(TSQ)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28 (28): 73-89, 2007
16 송유진, "오후 재편성 종일반 유아들의 문제행동양상과 교사의 문제행동지도" 6 (6): 55-73, 2010
17 권정윤,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유아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어려움 및 요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65-288, 2012
18 김현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5 (25): 279-298, 2004
19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1997
20 이정희, "어머니가 인지한 자녀 양육스트레스와 유아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건국대학교 2000
21 오현숙, "아동의 행동문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놀이치료의 효과" 3 (3): 161-177, 2005
22 신숙재, "아동 중심 놀이치료의 효과" 3 (3): 49-57, 2000
23 趙善衡, "쌍생아의 모래상자놀이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8
24 김진선, "성역할 선호성에 따른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3
25 김은정, "비인기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의 적용사례" 한국교원대학교 2003
26 유영의, "부적응행동 유아에 대한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1995
27 이정희, "부적응 유아의 사회적 관계 적응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태도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교사에 의한 놀이치료를 활용하여" 부산대학교 2008
28 주혜은, "놀이치료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2005
29 이영아, "놀이치료에 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2004
30 홍은주, "놀이치료 : 기법과 실제" 창지사 2010
31 Axline, V. M., "놀이를 통한 아동의 심리치료" 학문사 1986
32 김태인, "교사놀이치료를 통한 부적응 유아와 교사의 변화: 교실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51-78, 2009
33 김지영, "교사가 인식한 유아의 문제 행동과 문제 유형별 지도에 관한 조사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34 양수영, "교사 제반 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관리 능력 차이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1 (31): 67-92, 2013
35 함경희, "공격성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상자놀이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3
36 趙喜順, "幼兒의 모래놀이에 관한 一硏究 : 모래상자와 블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1993
37 Schaefer, C. E., "The therapeutic powers of play" Jason Aronson 1-16, 1993
38 Hyson, M. C., "The emotion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Building an emotion-centered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2004
39 Smith, S. C., "The effects of targeted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on preschoolers externalizing behavior"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004
40 Boik, B. L., "Sandplay therapy: A step-by-step manual for psychotherapists of diverse orientations" W. W. Norton &Company 2000
41 Patton MQ.,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Sage Publications 2002
42 Seeman, J.,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 1 : 64-66, 1964
43 Johnson, J. E., "Play, development, and early education" Pearson/Allyn and Bacon 2005
44 Landreth, G. L.,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Taylor &Francis Books, Inc 2002
45 Landreth, G. L.,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Accelerated Development 1991
46 Axline, V. M., "Play therapy" Ballantine Books 1969
47 Dupaul G. J., "Parent and teacher of ADHD symptoms : psychometric properties in a community-based sample" 20 (20): 245-253, 1991
48 Axline, V. M., "Nondirective play therapy for poor readers" 11 (11): 61-69, 1947
49 Dumsmore, J. C., "Mothers' beliefs about feelings and children's emotional understanding" 12 (12): 117-138, 2001
50 Achenbach, T. M., "Manual for ASEBA school-age forms and profiles" University of Vermont, Research Center for Children, Youth, & Families 2000
51 White, J., "Kinder therapy : Teachers as therapeutic agents" 6 (6): 33-49, 1997
52 Landreth, G. L., "Handbook of group play therapy: How to do it, how it works, whom it's best for" Jossey-Bass 37-64, 1999
53 Kostelnik, M. J.,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Delmar Pub 2009
54 Schaefer, C. E., "Foundations of play therapy" Wiley & Sons 2011
55 Bielman, A., "Effects of training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 A meta-analysis of recent evaluation studies" 23 (23): 260-271, 1994
56 Amster, F., "Differential uses of play in treatment of young children" 13 (13): 62-68, 1943
57 Thompson, C. L., "Counseling children" Brooks/Cole 1988
58 Gumaer, J., "Counseling and therapy for children" Free Press 1984
59 Hughes, F. P., "Children, play, and development" Allyn & Bacon 1994
60 Kaufman, J. M.,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ren and youth" Prentice-Hall 2001
61 Kaiser, B., "Challenging behavior in young children:Understanding, preventing, and responding effectively" Pearson Education, Inc 2003
62 오경자, "CBCL 1. 5-5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 휴노컨설팅 2009
63 Stainback, "Broadening the research perspective in special education" 50 (50): 400-409, 1984
64 Squires, J., "An activity based approach to developing young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e" Paul H. Brookes 2007
65 이영미, "ADHD 아동의 통합놀이치료 효과" 7 (7): 41-57, 2004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4-1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Education Inquiry -> The Research Institue of Korean Education | ![]() |
2013-04-1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Education Inquir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6 | 1.26 | 1.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7 | 1.22 | 1.339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