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집중명상(Concentration Meditation:CM)이 심신치유(心身治癒)효과에 미치는 영향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 명상법 중심으로- = The Healing Effects of Concentration Meditation(CM) on Mind-Body - Focusing on Meditation of Dhammakaya Templ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40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ositive effect of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the modified meditation method of Southern Buddhism as a systematic practice to concentrate or empty consciousness of the Buddhist temple in Dhammakaya, Thail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include the Immeasurable scale, spirituality scale, simple mental test scale, and blood pressure scale, pulse meter, thermometer, and recorder. When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t-te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s based o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 <0.05.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support scale and the Immeasurable sca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through interviews showed that the body and physiologically effective concentration was well after the meditation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actively utilize this meditation method was confirm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Samata practice method of Concentration meditation(CM), and thus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effects of intensive meditation were presented.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accumulate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intensive meditation as a healing effe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ositive effect of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the modified meditation method of Southern Buddhism as a systematic practice to concentrate or empty consciousness of the Buddhist temple in Dhammakaya, Thail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positive effect of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the modified meditation method of Southern Buddhism as a systematic practice to concentrate or empty consciousness of the Buddhist temple in Dhammakaya, Thail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measurement tools in this study include the Immeasurable scale, spirituality scale, simple mental test scale, and blood pressure scale, pulse meter, thermometer, and recorder. When the measured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corresponding t-te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measurements based o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p <0.05.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support scale and the Immeasurable scale.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ata through interviews showed that the body and physiologically effective concentration was well after the meditation experience, and the intention to actively utilize this meditation method was confirmed.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f the Samata practice method of Concentration meditation(CM), and thus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effects of intensive meditation were presented. I hope that these studies will accumulate and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hrough intensive meditation as a healing effec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의 명상수행법은 의식을 집중하거나 비우기 위한 체계적 수행으로 본 연구는 남방불교의 변용된 명상법을 통해서 심신치유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수행자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험 측정도구는 四무량심 척도와, 영성척도, 간이정신 검사척도, 그리고 혈압계와 맥박계, 체온계, 녹음기 등이다. 전・후의 측정치를 대응 t-검정을 하였을 때. 유의확률 p <0.05 기준으로 몇 가지 변수들의 전 후 차이가 있었다. 그 결과 영적지지 소척도와 四무량심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명상체험 후 신체・생리적 효과적에서 집중이 잘 되었고 향후 본 명상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의사를 밝히고 있음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마타적 수행법인 집중명상(CM)법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집중명상법에 의한 이론적, 실험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축적되고 치유효과로서 집중명상을 통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의 명상수행법은 의식을 집중하거나 비우기 위한 체계적 수행으로 본 연구는 남방불교의 변용된 명상법을 통해서 심신치유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

      태국 담마까야(Dhammakaya)사원의 명상수행법은 의식을 집중하거나 비우기 위한 체계적 수행으로 본 연구는 남방불교의 변용된 명상법을 통해서 심신치유에 대한 긍정적 효과를 입증하려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에 참가한 수행자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실험 측정도구는 四무량심 척도와, 영성척도, 간이정신 검사척도, 그리고 혈압계와 맥박계, 체온계, 녹음기 등이다. 전・후의 측정치를 대응 t-검정을 하였을 때. 유의확률 p <0.05 기준으로 몇 가지 변수들의 전 후 차이가 있었다. 그 결과 영적지지 소척도와 四무량심 척도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명상체험 후 신체・생리적 효과적에서 집중이 잘 되었고 향후 본 명상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의사를 밝히고 있음이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마타적 수행법인 집중명상(CM)법의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집중명상법에 의한 이론적, 실험적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이 축적되고 치유효과로서 집중명상을 통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흥경, "호흡명상이 노년여성의 맥박과 혈중산소포화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13

      2 강계남, "한국어판 영적안녕척도의 타당성 검증 : 교육평가연구" 16 (16): 111-130, 2005

      3 전재성, "피안 가는 길에 대한 마무리경" 한국 빠알리 성전협회 524-, 2004

      4 김태분, "파동의학의 관점에서 본 차크라 명상" 선문대학교 2017

      5 서병찬, "템플스테이 숲 치유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우울. 불안. 자존감 및 신체생리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6 켐폣 펀폔, "태국불교의 청소년 교육: 담마까야사원의v-star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6

      7 서병찬, "태국불교명상법의 심신치유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8 아지트 무케드리, "쿤달리니" 동문선 60-, 1995

      9 김성철, "출가자와 재가자의 바람직한 관계"

      10 김재민, "차크라의 힘" 판미동 2016

      1 이흥경, "호흡명상이 노년여성의 맥박과 혈중산소포화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2013

      2 강계남, "한국어판 영적안녕척도의 타당성 검증 : 교육평가연구" 16 (16): 111-130, 2005

      3 전재성, "피안 가는 길에 대한 마무리경" 한국 빠알리 성전협회 524-, 2004

      4 김태분, "파동의학의 관점에서 본 차크라 명상" 선문대학교 2017

      5 서병찬, "템플스테이 숲 치유 프로그램이 참여자의 우울. 불안. 자존감 및 신체생리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6

      6 켐폣 펀폔, "태국불교의 청소년 교육: 담마까야사원의v-star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2016

      7 서병찬, "태국불교명상법의 심신치유효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8

      8 아지트 무케드리, "쿤달리니" 동문선 60-, 1995

      9 김성철, "출가자와 재가자의 바람직한 관계"

      10 김재민, "차크라의 힘" 판미동 2016

      11 대림스님, "입출식념경(入出息念經)" 초기불전연구원 29-32, 2005

      12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한길사 98-, 1996

      13 이용선, "인간성과 불교, 생로병사와 해탈" 교수불자연합회 107-, 2007

      14 신경희, "스트레스 핸드북" 씨아이알 82-, 2017

      15 장현갑,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건강심리학회 9 (9): 471-492, 2004

      16 배성월, "선입견 극복을 위한 불교 명상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 원광대학교 2014

      17 각묵, "상윳다 니까야, 제1권" 초기불전 연구원 2009

      18 김완석, "사무량심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4 (4): 1-11, 2013

      19 정준영, "사마타와 위빠사나의 의미와 쓰임새에 대한일고찰" 불교학 연구회 (12) : 521-552, 2005

      20 "불교신문, 3188호"

      21 이재영, "불교명상이 유일신 신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5

      22 황옥자, "불교명상과 사무량심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2 : 91-139, 2008

      23 안양규, "불교 교학에서 본 MBSR(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완화)의 치유 원리" 불교문화연구원 (62) : 405-431, 2012

      24 김재성, "마음챙김과 심리치료" 무우수 372-373, 2012

      25 존 카밧진(Kabat-Zinn J), "마음 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학지사 110-, 2011

      26 "고경(古鏡), 불수념과 사띠의 연관성" 54 (54): 16-17, 2017

      27 "경전, 앙굿따라 니까야(숫자별로 모은 경)"

      28 "경전, 상윳타 니까야(Samyutta Nikaya)"

      29 "경전,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aya)"

      30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4

      31 프라몽골텝무니, "道 果 之 路(깨달음의 길)" 월북람선사(越北欖禪寺) 10-, 1995

      32 "“숫타니파타(Sutta Nipatta)” “빠라야나왁가,” 1.8.7"

      33 "“상윳따니까야” “초전법륜경”(S56:11)4.:(D16:5). 27"

      34 Dhammakaya Foundation, "THE SUN OF PEACE" Patumthani: Os Printing 167-168, 2009

      35 V. K. Yeragani, "N.Increased pulse-wave velocity in patients with anxiety: implications for autonomic dysfunction" 61 (61): 25-31, 2006

      36 J. Kabat-Zinn,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Delacorte 163-, 1990

      37 R. Sudsuang, "Effect of Buddhist meditation on serum cortisol and total protein levels, blood pressure, pulse rate, lung volume and reaction time" 50 (50): 543-548, 1991

      38 하리쉬 요하리, "CHAKRAS : 차크라 명상의 이론과 실제" 하남출판사 39-,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