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DTA와 붕산 혼합용출제를 이용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의 처리에 관한 연구(I): 납 = A Study of Heavy Metal-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with a EDTA and Boric acid Composite(I): P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19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납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인 토양수세기법에 가장 효율적인 용출제를 선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기산의 납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 0.01M의 EDTA 주입 시 납 제거효율은 69.4%로 같은 농도의 다른 유기산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또한 0.01M의 EDTA에 0.1M의 여러 가지 무기산을 혼합한 후 납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EDTA 와 붕산 혼합용출제가 pH5에서 68.8%로 가장 높았다. EDTA 와 붕산 혼합용출제의 경우 0.01 M의 EDTA에 붕산의 주입농도를 0.1M에서 0.4M로 증가시킬 경우 납의 탈착/제거율은 68%에서 45%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0.1M의 붕산에 EDTA의 주입농도를 0.01M에서 0.04M로 증가시킬 경우 투수율은 6.98?0-4cm/sec에서 5.99?0-4cm/sec로 감소하였다. 이처럼 EDTA는 납의 탈착/제거율을 증가시키는 반면 투수율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0.03M EDTA에 0.1M 붕산을 첨가한 경우 EDTA만을 주입한 경우와 비교해서 투수율이 4.41?0-4cm/sec에서 6.26?0-4cm/sec로 약 30% 증가되었다. 실제 중금속 오염토양에서 납의 제거효율은 납의 탈착/제거율과 오염토양 내 용출제의 투수율의 함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최적의 [EDTA]/[붕산] 몰비는 [0.01M]/[0.1M]로 조사되었다.
      번역하기

      납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인 토양수세기법에 가장 효율적인 용출제를 선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기산의 납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 0.01M의 EDTA 주입 시 납 제거효율은 69.4%로 ...

      납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인 토양수세기법에 가장 효율적인 용출제를 선정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유기산의 납 제거효율을 측정한 결과 0.01M의 EDTA 주입 시 납 제거효율은 69.4%로 같은 농도의 다른 유기산과 비교해서 가장 높은 효율을 보였다. 또한 0.01M의 EDTA에 0.1M의 여러 가지 무기산을 혼합한 후 납 제거효율을 비교한 결과 EDTA 와 붕산 혼합용출제가 pH5에서 68.8%로 가장 높았다. EDTA 와 붕산 혼합용출제의 경우 0.01 M의 EDTA에 붕산의 주입농도를 0.1M에서 0.4M로 증가시킬 경우 납의 탈착/제거율은 68%에서 45%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0.1M의 붕산에 EDTA의 주입농도를 0.01M에서 0.04M로 증가시킬 경우 투수율은 6.98?0-4cm/sec에서 5.99?0-4cm/sec로 감소하였다. 이처럼 EDTA는 납의 탈착/제거율을 증가시키는 반면 투수율를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0.03M EDTA에 0.1M 붕산을 첨가한 경우 EDTA만을 주입한 경우와 비교해서 투수율이 4.41?0-4cm/sec에서 6.26?0-4cm/sec로 약 30% 증가되었다. 실제 중금속 오염토양에서 납의 제거효율은 납의 탈착/제거율과 오염토양 내 용출제의 투수율의 함수로 정의할 수 있으며, 최적의 [EDTA]/[붕산] 몰비는 [0.01M]/[0.1M]로 조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 choose a organic acid and in-organic acid composit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in soil-flushing process cleaning lead-contaminated sites, lead removal rate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s with some organic acids; 0.01M of EDTA showed the highest lead-extraction rate (69.4%) compared to the other organic acids. Furthermore, the lead removal rates were measured with 0.01M of EDTA and 0.1M of in-organic acid ; a EDTA and boric acid composite showed the highest lead-extraction rate (68.8%) at pH5 compared to the other composites. As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was increased from 0.1M to 0.4M in a 0.01M of EDTA and boric acid composite, lead removal rate was decreased from 68% to 45%. But as the concentration of EDTA was increased from 0.01M to 0.04M in a EDTA and 0.1M of boric acid composite, permeability was decreased from 6.98?0-4cm/sec (0.01M of EDTA) to 5.99?0-4cm/sec (0.04M of EDTA). However, permeability was increased from 4.41?0-4cm/sec (0.03M of EDTA) to 6.26?0-4cm/sec (0.03M of EDTA and 0.1M of boric acid composite). indicating EDTA could increase lead dissolution/extraction rate and decrease permeability. In this system, lead remediation rate is the function of lead dissolution rate from soils and permeability of the composite into soils, and the optimized [EDTA]/[Boric acid] ratio is [0.01M]/[0.1M].
      번역하기

      To choose a organic acid and in-organic acid composit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in soil-flushing process cleaning lead-contaminated sites, lead removal rate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s with some organic acids; 0.01M of EDTA showed the hig...

      To choose a organic acid and in-organic acid composit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in soil-flushing process cleaning lead-contaminated sites, lead removal rates were investigated in the experiments with some organic acids; 0.01M of EDTA showed the highest lead-extraction rate (69.4%) compared to the other organic acids. Furthermore, the lead removal rates were measured with 0.01M of EDTA and 0.1M of in-organic acid ; a EDTA and boric acid composite showed the highest lead-extraction rate (68.8%) at pH5 compared to the other composites. As the concentration of boric acid was increased from 0.1M to 0.4M in a 0.01M of EDTA and boric acid composite, lead removal rate was decreased from 68% to 45%. But as the concentration of EDTA was increased from 0.01M to 0.04M in a EDTA and 0.1M of boric acid composite, permeability was decreased from 6.98?0-4cm/sec (0.01M of EDTA) to 5.99?0-4cm/sec (0.04M of EDTA). However, permeability was increased from 4.41?0-4cm/sec (0.03M of EDTA) to 6.26?0-4cm/sec (0.03M of EDTA and 0.1M of boric acid composite). indicating EDTA could increase lead dissolution/extraction rate and decrease permeability. In this system, lead remediation rate is the function of lead dissolution rate from soils and permeability of the composite into soils, and the optimized [EDTA]/[Boric acid] ratio is [0.01M]/[0.1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시흥 Cu-Pb-Zn광산주변에서의 중금속원소들의 분산 및 존재형태와 흡착 처리" 28 : 455-467, 1995

      2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30 : 228-237, 1993

      3 "광양광산 주변의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32 : 163-174, 1995

      4 "Mobilization of Cu and Zn in contaminated soil by nitrilotriacetic acid" 449-458, 1988

      5 "Heavy metal contaminants removal by soil washing" 71-86, 1999

      6 "Cu-W광산 주변 수계의 하상퇴적물과 자연수의 Cd Pb 및 Zn 오염" 305-313, 1996

      7 "Chemical weathering of biotite by organic acids" 117 (117): 42-45, 1974

      1 "시흥 Cu-Pb-Zn광산주변에서의 중금속원소들의 분산 및 존재형태와 흡착 처리" 28 : 455-467, 1995

      2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30 : 228-237, 1993

      3 "광양광산 주변의 토양의 중금속 오염에 관한 연구" 32 : 163-174, 1995

      4 "Mobilization of Cu and Zn in contaminated soil by nitrilotriacetic acid" 449-458, 1988

      5 "Heavy metal contaminants removal by soil washing" 71-86, 1999

      6 "Cu-W광산 주변 수계의 하상퇴적물과 자연수의 Cd Pb 및 Zn 오염" 305-313, 1996

      7 "Chemical weathering of biotite by organic acids" 117 (117): 42-45, 197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6 0.56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