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건축이 공간형태 관계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을 찾는다면, 현대건축은 관계에서 형태로 전환하며 위상기하학 사고의 변환을 가져왔다. 위상기하학 관계구조는 건축가 작품분석을 통하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20055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5-8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근대건축이 공간형태 관계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을 찾는다면, 현대건축은 관계에서 형태로 전환하며 위상기하학 사고의 변환을 가져왔다. 위상기하학 관계구조는 건축가 작품분석을 통하여...
근대건축이 공간형태 관계에서 유클리드 기하학을 찾는다면, 현대건축은 관계에서 형태로 전환하며 위상기하학 사고의 변환을 가져왔다. 위상기하학 관계구조는 건축가 작품분석을 통하여 연속성, 융합성으로 분류하여 5가지 위상언어로 상세 분류하였고, 위상연산은 형태유지, 형태변형으로 분류하고 상세 분류 12가지를 사용하여 위상언어를 변형하여, 60개의 변형된 위상언어를 생성했다. 생성된 위상언어는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건축가의 생각의 사고가 포함되어 있어, 새로운 건축디자인 작업의 창의력을 향상시켜준다. 추후 건축 주체의 행위자 기반 위상구조 형태연구가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architecture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n the Euclidean geometry, but contemporary modern architecture changed the view from the connection to form. And it have brought the circle(change) of thinking through the met...
Modern architecture focused on the connection of the spatial configuration on the Euclidean geometry, but contemporary modern architecture changed the view from the connection to form. And it have brought the circle(change) of thinking through the method of a topology. The structural language of the topology in a architectural have resorted to 'continuity' and 'compatibility' widely by criticizing the works of architect and it classified into five language hierarchically. Topological calculation was divided into 'form-maintenance' and 'form-transformation'. And it was modified in 12 sorts of the topological language in detail. We generated new 60 transformed languages from this study. Since the generated languages are not simple form but special things that are included the architectural mind, so it enhance architect's creativity to new architectural designs. In the future, it is need to the study on the form of hierarchical structures standing on the basis of architect as the subject in a architectura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영욱,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 필로아키텍처" 향연 199-, 2009
2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위상학)" 미메시스 147-187, 2010
3 구본덕, "정형과 부정형" 문운당 43-, 2008
4 윤혜경, "자유 형태 생성을 위한 건축적 다이어그램의 자기 지시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63-70, 2010
5 송혜영, "위상기하학적 개념에 의한 실내공간의 판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6 슈테판 귄첼,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62-, 2010
7 윤명철, "디지털 공간에서 BIM기반 비정형 파라메트릭 형태 생성에 관한 연구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파라메트릭 공간정의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3 (13): 79-86, 2011
8 김동준, "디지털 건축 형태의 유기적 특성원리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9 임동연, "들뢰즈의 ‘사건’을 중심으로 한 ‘폴딩건축’의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97-206, 2009
10 William J. Mitchell, "건축의 형태언어" 국제 113-123, 1993
1 박영욱, "현대건축과 공간 그리고 철학적 담론 필로아키텍처" 향연 199-, 2009
2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위상학)" 미메시스 147-187, 2010
3 구본덕, "정형과 부정형" 문운당 43-, 2008
4 윤혜경, "자유 형태 생성을 위한 건축적 다이어그램의 자기 지시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63-70, 2010
5 송혜영, "위상기하학적 개념에 의한 실내공간의 판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6 슈테판 귄첼, "문화학과 매체학에서 공간 연구 토폴로지" 에코리브르 262-, 2010
7 윤명철, "디지털 공간에서 BIM기반 비정형 파라메트릭 형태 생성에 관한 연구 -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의 파라메트릭 공간정의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13 (13): 79-86, 2011
8 김동준, "디지털 건축 형태의 유기적 특성원리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9 임동연, "들뢰즈의 ‘사건’을 중심으로 한 ‘폴딩건축’의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97-206, 2009
10 William J. Mitchell, "건축의 형태언어" 국제 113-123, 1993
11 Jurgen Joedicke, "건축의 공간과 형태" Spacetime 131-, 1999
12 이명식, "건축디자인에 있어서 위상기하학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5 (25): 169-176, 2009
13 베르나르드 루펜, "건축 디자인과 분석" 국제 161-, 2000
14 이성민, "MATTERS of MATERIALS" Spacetime 29-, 2007
15 Manuel Gausa, "Housing+single family housing" Birkhauser 175-, 2002
16 정광영, "Digital DIAGRAM" 건축세계(주) 292-, 2007
렘 쿨하스의 자유로운 평면에 의한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굵은골재 입도 변화에 따른 마감용 콘크리트판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9 | 0.29 | 0.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7 | 0.25 | 0.53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