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秦 長城 東端인 樂浪郡 遂城縣의 위치문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264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각종 사서에 기록된 ‘낙랑군 수성현에 위치한 갈석산에서 진나라가 축조한 장성이 시작되고 있다’라고 하는 사료를 검토하였다. 연구목적은 이 사료에 나타나는 ‘秦 長城 東端’...

      필자는 각종 사서에 기록된 ‘낙랑군 수성현에 위치한 갈석산에서 진나라가 축조한 장성이 시작되고 있다’라고 하는 사료를 검토하였다. 연구목적은 이 사료에 나타나는 ‘秦 長城 東端’과 ‘낙랑군 수성현’의 위치가 어느 곳이냐 하는 문제를 추적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관련 사서에 나타난 관련내용을 실증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특히 『太康地理志』를 인용한 역사서의 관련내용과 『진서』 지리지 평주 관련기록을 비교 검토하였다. 사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낙랑군 수성현’이 ‘갈석산’, ‘진 장성’ 등의 용어와 결합한 사료는 唐代이후 편찬된 사서에서부터 나타난다. 사료의 내용은 모두가 요서지역에 위치했던 낙랑군 수성현과 秦 장성을 설명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 사료는 4세기 晉代 이후의 낙랑군 수성현을 설명한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4세기 대 낙랑군이 요서지역으로 교치된 이후의 상황을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사료의 내용을 가지고 평양지역 낙랑군의 위치문제와 연결시킨 종래의 연구들은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秦나라 장성이 평양지역까지 연결되었다고 파악한 종래 중국학계의 견해는 사료를 잘못 이해한 결과에서 비롯된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cate the eastern end of Qin Great Walls, which is implied in the record stating “Qin Great Walls start from Galseok mountain(碣石山) in Suseong prefecture of Nanglang county”. The research included analyzing v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cate the eastern end of Qin Great Walls, which is implied in the record stating “Qin Great Walls start from Galseok mountain(碣石山) in Suseong prefecture of Nanglang county”. The research included analyzing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is issue and examining their historical authenticity. The two main accounts for investigation were Taikang Geography Treatise(太康地理志) and Geography Treatise of the Jinshu(晉書地理志). The focus was made to closely evaluate value and implication of both sources.
      As a result, the study revealed that the eastern end of the Qin Great Walls was located in the Liaoshi region(present-day the western part of Qin Huang-do city of Chinese Liaoning province). Also, this work reached a conclusion that it was actually in Suseong prefecture of Nanglang county in Liaoshi, where lies the Galseok mountain. Thus, these records indicate the situation of Nanglang county after it was reloc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Liaoshi region in the 4th century A.D..
      Therefore, an effort to understand the location of the Four Han Commanderies located in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se documentations is clearly mistaken. Chinese academia claims that the Qin Great Walls have been connected to Pyeongyang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also suggests that such view is also wro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서언
      • II. 관련 사료의 소개
      • III. 학계의 연구동향
      • IV. ‘秦 長城’과 ‘樂浪郡 遂城縣’ 관련기록의 검토
      • 국문초록
      • I. 서언
      • II. 관련 사료의 소개
      • III. 학계의 연구동향
      • IV. ‘秦 長城’과 ‘樂浪郡 遂城縣’ 관련기록의 검토
      • V.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내현, "한사군의 낙랑군과 평양의 낙랑" 11 (11): 1995

      2 이덕일,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역사의 아침 2009

      3 최진열, "발해 국호 연구 : 당조가 인정한 발해의 고구려 계승 묵인과 부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4 이성규, "동아시아역사속의 중국과 한국" 서해문집 2005

      5 손영종, "대령강반의 옛 장성에 대하여" 1987 (1987): 1987

      6 노태돈, "고조선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23 : 1990

      7 黃奭, "黃氏逸書考 권85" 臺北藝文印書館 1972

      8 "隋書"

      9 풍영겸, "遼寧考古文集(二)" 科學出版社 2010

      10 "通典"

      1 윤내현, "한사군의 낙랑군과 평양의 낙랑" 11 (11): 1995

      2 이덕일,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역사의 아침 2009

      3 최진열, "발해 국호 연구 : 당조가 인정한 발해의 고구려 계승 묵인과 부인" 서강대학교출판부 2015

      4 이성규, "동아시아역사속의 중국과 한국" 서해문집 2005

      5 손영종, "대령강반의 옛 장성에 대하여" 1987 (1987): 1987

      6 노태돈, "고조선중심지의 변천에 대한 연구" 23 : 1990

      7 黃奭, "黃氏逸書考 권85" 臺北藝文印書館 1972

      8 "隋書"

      9 풍영겸, "遼寧考古文集(二)" 科學出版社 2010

      10 "通典"

      11 施丁, "資治通鑑大辭典 下篇" 吉林人民出版社 1994

      12 "資治通鑑"

      13 "讀史方輿纪要"

      14 "舊唐書"

      15 복기대, "臨屯太守章 封泥를 통해본 漢四郡의 위치" 61 : 2001

      16 稻葉岩吉, "秦長城東端及王險城考" 21 (21): 1910

      17 "漢書 註"

      18 "漢書"

      19 王謨, "漢唐地理書抄" 中華書局 1961

      20 "水經 注"

      21 李治亭, "東北通史" 中主古蹟出版社 2003

      22 朱大渭, "晉書的评价与研究" 2000 (2000): 2000

      23 王龍華, "晉書的研究" 山東大学 2009

      24 王隱, "晉書地道記一卷(經訓堂叢書 淸乾隆畢沅校刊本)"

      25 "晉書"

      26 畢沅, "晉太康三年地記·新校晉書地理志" 商務印書館 1936

      27 "新唐書"

      28 "後漢書 註"

      29 "後漢書"

      30 "宋書"

      31 "太平寰宇記"

      32 鄭君雷, "大寧江長城的相關問題" (1) : 1997

      33 "史記集解"

      34 "史記索隱"

      35 "史記正義"

      36 "史記"

      37 "南齊書"

      38 "初學記"

      39 楊昭全, "中朝邊界史" 吉林文士出版社 1993

      40 景愛, "中國長城史" 上海人民出版社 2006

      41 顧頡剛, "中國疆域沿革史" 商務印書館 2000

      42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 釋文汇編東北卷" 中央民族學院出版社 1988

      43 譚其驤, "中國歷史地圖集 第2冊" 地圖出版社 1982

      44 顧頡剛, "中國歷史地圖集 -古代史部分- 第7圖" 1955

      45 薛虹, "中國東北通史" 吉林文史出版社 1993

      46 张碧波, "中國東北疆域硏究" 黑龍江人民出版社 2006

      47 佟冬, "中國東北史 1" 吉林文史出版社 1987

      48 郭沫若, "中國史稿地圖集(上)" 1979

      49 "三國志 註"

      50 "三國志"

      51 공석구, "『中國歷史地圖集』의 평양지역까지 연결된 秦 長城에 대한 검토" 한국고대학회 (43) : 137-168, 2015

      52 홍성화, "『中國歷史地圖集』의 編纂過程과 疆域認識" 백산학회 (100) : 493-530, 2014

      53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CHINA’S IMPACT ON KOREAN PENINSULA UNIFICATION AND QUESTIONS FOR THE SENAT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