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역 문화콘텐츠로서 중고제 활용 정책 및 방안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920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담아 미래의 창조적 예술 및 관광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고제 판소리를 중심으로 문화사업으로의 발전 가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청남도의 중장기 발 전비전에 중고제 진흥을 위한 계획이 담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중고제 판소리의 문화예술 자원의 기초 조사, 인프라구축, 판소리 예술가의 체계 적 활동지원에 대한 지속적 요구를 통해 비전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가칭 ‘중고제 판소리 진흥 추진위원회’가 조직되어 전반적이며 체계 적인 정책 마련과 대안의 제시, 실행방안 등을 도청과 각 지자체와 건 의와 지속적 공유가 필요하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기초조사는 도 민 및 국민들이 중고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온라인 설문 을 비롯한 여러 인지과학적인 방법등을 통한 컬처코드 조사분석이다. 중고제 판소리 인재발굴 및 양성을 위해서는 권위있는 중고제판소리 진흥상 제정과 도지정 판소리 무형문화재의 중고제 특화 및 확대가 필 요하다. 또한 미래 중고제 판소리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장학금 지원 및 인재증 발급이 필요하고 이들이 충청남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충청남도 소재 4개 시립국악단에서 중고제를 기반으로 한 공연콘텐 츠 확충과 단원 채용시 중고제 판소리 인재 선발을 특화하는 것이 타 지역의 단체와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통예술복원 재현’사업과 ‘창작연희활성 화’사업에 중고제 판소리 복원 재현 과제 선정 및 중고제 창작 연희극 개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고제 판소리 소재 창작소설 지원과 영화나 드라마 제작 지원 을 통해 도민 및 국민들에게 중고제 판소리의 가치와 충청남도의 문화 적 위상을 알리는데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담아 미래의 창조적 예술 및 관광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고제 판소리를 중심으로 문화사업으로의 발전 가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고유성과 정체성을 담아 미래의 창조적 예술 및 관광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고제 판소리를 중심으로 문화사업으로의 발전 가능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충청남도의 중장기 발 전비전에 중고제 진흥을 위한 계획이 담길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중고제 판소리의 문화예술 자원의 기초 조사, 인프라구축, 판소리 예술가의 체계 적 활동지원에 대한 지속적 요구를 통해 비전 수립이 되어야 할 것이다. 가칭 ‘중고제 판소리 진흥 추진위원회’가 조직되어 전반적이며 체계 적인 정책 마련과 대안의 제시, 실행방안 등을 도청과 각 지자체와 건 의와 지속적 공유가 필요하다.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기초조사는 도 민 및 국민들이 중고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온라인 설문 을 비롯한 여러 인지과학적인 방법등을 통한 컬처코드 조사분석이다. 중고제 판소리 인재발굴 및 양성을 위해서는 권위있는 중고제판소리 진흥상 제정과 도지정 판소리 무형문화재의 중고제 특화 및 확대가 필 요하다. 또한 미래 중고제 판소리 인재 육성을 위해서는 장학금 지원 및 인재증 발급이 필요하고 이들이 충청남도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충청남도 소재 4개 시립국악단에서 중고제를 기반으로 한 공연콘텐 츠 확충과 단원 채용시 중고제 판소리 인재 선발을 특화하는 것이 타 지역의 단체와의 차별성과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통예술복원 재현’사업과 ‘창작연희활성 화’사업에 중고제 판소리 복원 재현 과제 선정 및 중고제 창작 연희극 개발 지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고제 판소리 소재 창작소설 지원과 영화나 드라마 제작 지원 을 통해 도민 및 국민들에게 중고제 판소리의 가치와 충청남도의 문화 적 위상을 알리는데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various measures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a cultural business were suggested, focusing on middle- and high-end pansori that can be used as creative art and tourism assets in the future, including regional uniqueness and identity.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vision of Chungcheongnam-do should include a plan for promoting the middle and high-end system, and the vis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basic survey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of middle-aged pansori,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continuous demand for systematic support for pansori artists. The tentatively named “Joongje Pansori Promotion Committee” has been organized,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overall and systematic policies, suggest alternatives, and share suggestions and continuous measures with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first basic survey to be conducted is an analysis of culture codes through various cognitive scientific methods, including online surveys, to see how residents and citizens perceive the secondhand system. In order to discover and cultivate middle-aged pansori tal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uthoritative middle-aged pansori promotion award and specialize and expand the middle-aged pansori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the province. In addition, scholarship support and talent certificates are needed to foster middle-aged pansori talents in the future, and continuous attention is needed so that they can actively promote them in Chungcheongnam-do. The expansion of performance contents based on the secondhand system and specialization in selecting the secondhand pansori talent when hiring members from four municipal Korean traditional music groups in Chungcheongnam-do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ecuring differentiation and identity from other local organiz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select the task of reproducing the restoration of mid- and high-end pansori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mid- and high-end creative performances in the government-supported “Traditional Art Restoration Reproduc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Revitaliz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it to inform residents and citizens of the value of mid-term pansori and the cultural status of Chungcheongnam-do through support for creative novels based on mid-term pansori and film and drama production.
      번역하기

      In this study, various measures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a cultural business were suggested, focusing on middle- and high-end pansori that can be used as creative art and tourism assets in the future, including regional uniqueness and i...

      In this study, various measures for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a cultural business were suggested, focusing on middle- and high-end pansori that can be used as creative art and tourism assets in the future, including regional uniqueness and identity. The mid- to long-term development vision of Chungcheongnam-do should include a plan for promoting the middle and high-end system, and the visio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a basic survey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of middle-aged pansori,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continuous demand for systematic support for pansori artists. The tentatively named “Joongje Pansori Promotion Committee” has been organized, a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overall and systematic policies, suggest alternatives, and share suggestions and continuous measures with the provinci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he first basic survey to be conducted is an analysis of culture codes through various cognitive scientific methods, including online surveys, to see how residents and citizens perceive the secondhand system. In order to discover and cultivate middle-aged pansori tal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authoritative middle-aged pansori promotion award and specialize and expand the middle-aged pansori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by the province. In addition, scholarship support and talent certificates are needed to foster middle-aged pansori talents in the future, and continuous attention is needed so that they can actively promote them in Chungcheongnam-do. The expansion of performance contents based on the secondhand system and specialization in selecting the secondhand pansori talent when hiring members from four municipal Korean traditional music groups in Chungcheongnam-do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ecuring differentiation and identity from other local organiz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to select the task of reproducing the restoration of mid- and high-end pansori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mid- and high-end creative performances in the government-supported “Traditional Art Restoration Reproduc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Revitaliz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it to inform residents and citizens of the value of mid-term pansori and the cultural status of Chungcheongnam-do through support for creative novels based on mid-term pansori and film and drama prod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충청남도 중고제를 비롯한 전통공연예술 정책 및 현황
      • 1) 윤석열 정부 문화예술 관련 국정과제
      • 2) 충청남도 문화예술 관련 정책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충청남도 중고제를 비롯한 전통공연예술 정책 및 현황
      • 1) 윤석열 정부 문화예술 관련 국정과제
      • 2) 충청남도 문화예술 관련 정책
      • 3) 충남문화관광재단 중고제 관련 사업 현황
      • 3. 중고제 판소리 활성화 및 문화사업 개발 방안
      • 1) 기반조성
      • 2) 인재발굴
      • 3) 중고제 판소리 콘텐츠화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