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잣나무 조림지의 시계열 생장모니터링 -강원대 학술림 잣나무 영구표준지를 중심으로- = Growth Monitering by Time Series in Pinus koraiensis Plantation - In Case of Permanent Korean Pine Plot in KN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1576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부속 학술림내 32년생 잣나무인공림의 영구표준지 (50m × 50m)를 대상으로 시계열 생장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4차에 걸친 임목조사(1984-2004)를 분석한 결과 ...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부속 학술림내 32년생 잣나무인공림의 영구표준지 (50m × 50m)를 대상으로 시계열 생장변화를 분석하였다. 총 4차에 걸친 임목조사(1984-2004)를 분석한 결과 영구표준지의 임목본수는 601본에서 213본으로 줄어들어 2004년 현재 ha당 852본으로 파악되었다. 평균흉고직경은 4.1cm에서 19.8ctn로 증가하여 19년 동안 매년 평균 0.83cm, 평균수고는 3.2m에서 14.4m로 매년 0.6m, ha당 임목재적은 8.1㎥에서 199.8㎥로 증가하여 매년 10.1㎥/ha씩 생장하였다. 그리고 흉고직경과 수고, 흉고직경과 수관폭과의 관계는 모두 양적 선형관계로 나타났으며, 영구표준지내 울폐도는 3차조사결과 121%를, 4차조사에는 253%를 차지하여 4년 동안 2.1배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간이 분화된 임목은 총 33본으로 전체임목의 15.5%로 조사되었다. 제 4차조사시 잣나무 영구표준지내의 출현한 하층식생 개체수는 총 110본으로 물참대(30%), 고추나무(17.3%), 생강나무(15.5%)순으로 파악되었고, 하층식생에 의한 피복면적은 75.2㎡으로 영구표준지의 3% 를 차지하며, 하층식생의 평균 수고는 73.8cm, 평균 수관폭은 66.3cm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analyzed about tree growth by time series for a 32 year-Pinus korariensis permanent plot(50mx50m) in the research fores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KNU). Through the results of 4 inventories(1984-2004), number of trees in permanent...

      This study was analyzed about tree growth by time series for a 32 year-Pinus korariensis permanent plot(50mx50m) in the research forest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KNU). Through the results of 4 inventories(1984-2004), number of trees in permanent plot had decreased from 601 to 213(852trees/ha) in 2004. For 19 years, average diameter had increased by 4.1cm to 19.8cm(0.78cm/year), average height had increased by 3.2m to 14 .4m(0.6m/year), and tree volumes had increased by 8.1㎥ to 199.8㎥(10.1㎥/ha/year). DBH vs. Height and DBH vs. Crown diameter had positively linear trend on their scatter plots. Crown closure of permanent plot became 121% in the 3rd inventory and 253% in the 4th inventory, so it increased 2.1 times for 4 years. The forked trees were 33 trees(15.5%) of total trees. In the 4th inventory, understory vegetation appeared 110 population of Deutzia glabarta Kom. (30%), Staphylea bumalda DC. (17.3%), Lindera obtusiloba Bl.(l5.5%) and so on. Crown projection area of understory vegetation was 75. 2㎡, 3% of permanent plot area. A verage height and crown diameter of understory vegetation were 73. 8cm and 66. 3cm respective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