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Modulation of Adhesion Proteins Integrin β1 and FAK, and Cytoskeletal Protein Actin by Spermine in MCF-7 Ce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174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Polyamine은 모든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필수적인 요소지만 그 기작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CF-7세포에서 spm의 세포독성 기작을 연구하였다. MTT assay 결과 저농도의 spm (<10 μM) 처리시 cell viability가 증가하는 반면 고농도의 spm 처리시 처리 시간과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는 고농도의 spm이 MCF-7 cell에 cytotoxic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Cell cycle 분석 결과 spm 농도에 의존적으로 sub-G1 단계의 세포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spm이 세포분열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농도의 spm 처리 후 2시간이 지나자 cell 표면이 움츠려 들며 rounding되기 시작하여 하루가 지난 후 거의 모든 cell이 culture dish 에서 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spm이 세포부착에 관여하여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이라 생각되며, 세포부착을 조절하는 Integrin β1은 저농도의 spm에선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으며, cytoskeletal protein인 actin은 농도의 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adhesion protein인 FAK는 저농도의 spm 처리시에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spm이 adhesion 및 cytoskeletal protein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Integrin β1과 actin에 비해 FAK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단백질들의 세포막상의 분포에 관한 연구에서, membrane 상에 위치하던 Integrin β1은 10 μM의 spm 처리시 세포 내로 약간의 위치변동이 일어났으나 그 양에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반면에 actin은 위치상엔 큰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농도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이동과 형태조절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FAK는 세포막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가 spm 처리시 세포 가운데로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그 양도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세포 내 spm의 변화는 MCF-7 cell의 adhesion protein인 Integrin β1과 FAK, 그리고 cytoskeletal protein인 actin의 발현을 조절하여 cell attachment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분열과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번역하기

      Polyamine은 모든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필수적인 요소지만 그 기작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CF-7세포에서 spm의 세포독성 기작을 연구하였다. MTT assay 결과 저농도의 s...

      Polyamine은 모든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필수적인 요소지만 그 기작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MCF-7세포에서 spm의 세포독성 기작을 연구하였다. MTT assay 결과 저농도의 spm (<10 μM) 처리시 cell viability가 증가하는 반면 고농도의 spm 처리시 처리 시간과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이는 고농도의 spm이 MCF-7 cell에 cytotoxic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Cell cycle 분석 결과 spm 농도에 의존적으로 sub-G1 단계의 세포 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spm이 세포분열을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고농도의 spm 처리 후 2시간이 지나자 cell 표면이 움츠려 들며 rounding되기 시작하여 하루가 지난 후 거의 모든 cell이 culture dish 에서 떨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spm이 세포부착에 관여하여 세포사를 유발하는 것이라 생각되며, 세포부착을 조절하는 Integrin β1은 저농도의 spm에선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조금씩 감소하였으며, cytoskeletal protein인 actin은 농도의 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반면 adhesion protein인 FAK는 저농도의 spm 처리시에도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는 spm이 adhesion 및 cytoskeletal protein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이며, 특히 Integrin β1과 actin에 비해 FAK에 더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단백질들의 세포막상의 분포에 관한 연구에서, membrane 상에 위치하던 Integrin β1은 10 μM의 spm 처리시 세포 내로 약간의 위치변동이 일어났으나 그 양에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며, 반면에 actin은 위치상엔 큰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았지만 농도에 따라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이동과 형태조절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FAK는 세포막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가 spm 처리시 세포 가운데로 이동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그 양도 크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세포 내 spm의 변화는 MCF-7 cell의 adhesion protein인 Integrin β1과 FAK, 그리고 cytoskeletal protein인 actin의 발현을 조절하여 cell attachment를 억제함으로써 세포분열과 생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lyamines are essential for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ir precise roles are unclear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cytotoxic effect of spermine (spm) on MCF-7 cells was investigated. In the MTT assay of MCF-7 cells treated with spm,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Cell viability measurement was confirmed by trypan blue staining. FACS analysis shows that sub-G1 was increased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too.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pm, cells started to show morphological changes within 2 hrs. The expression of adhesion proteins (FAK and integrin β1), and cytoskeletal protein (actin) was check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Integrin β1 levels were slightly decreased, and FAK and actin levels were rapidly decreased with spm treatment. In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e distribution of actin did not change but the expression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spm treatment. FAK was evenly distributed under the plasma membrane in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at 10 μM spm FAK seemed to move toward the cell nucleus. Integrin β1, which was mainly found in the focal point of the plasma membrane in the untreated control, dispersed through the entire plasma membrane in spm treatment.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cytotoxic effects of spm are triggered by the disruption of adhesion proteins and cytoskeletal protein.
      번역하기

      Polyamines are essential for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ir precise roles are unclear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cytotoxic effect of spermine (spm) on MCF-7 cells was investigated. In the MTT assay of MCF-7 cells treated with spm, ...

      Polyamines are essential for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however their precise roles are unclear yet. In the present study, the cytotoxic effect of spermine (spm) on MCF-7 cells was investigated. In the MTT assay of MCF-7 cells treated with spm,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Cell viability measurement was confirmed by trypan blue staining. FACS analysis shows that sub-G1 was increased in a time-and dose-dependent manner too. When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pm, cells started to show morphological changes within 2 hrs. The expression of adhesion proteins (FAK and integrin β1), and cytoskeletal protein (actin) was check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Integrin β1 levels were slightly decreased, and FAK and actin levels were rapidly decreased with spm treatment. In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the distribution of actin did not change but the expression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spm treatment. FAK was evenly distributed under the plasma membrane in the untreated control. However, at 10 μM spm FAK seemed to move toward the cell nucleus. Integrin β1, which was mainly found in the focal point of the plasma membrane in the untreated control, dispersed through the entire plasma membrane in spm treatment.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cytotoxic effects of spm are triggered by the disruption of adhesion proteins and cytoskeletal prote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Acknowledgement
      • Reference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Results
      • Acknowledgement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cLean, G. W., "The role of focal adhesion kinase in cancer-a new therapeutic opportunity" 7 : 505-515, 2005

      2 Schlaepfer, D. D., "Signaling through focal adhesion kinase" 71 : 435-478, 1999

      3 Pignatti, C.,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linking polyamines to apoptosis" 27 : 359-365, 2004

      4 Chen, B. H., "Roles of Rho-associated kinase and myosin light chain kinase in morphological and migratory defects of focal adhesion kinase-null cells" 277 : 33857-33863, 2002

      5 Crowe, D. L, "Recruitment of focal adhesion kinase and paxillin to β 1 integrin promotes cancer cell migration via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4 : 18-23, 2004

      6 Thamilselvan, V., "Pressure activates colon cancer cell adhesion by inside-out focal adhesion complex and actin cytoskeletal signaling" 126 : 8-18, 2004

      7 Thomas, T., "Polyamines in cell growth and cell death: molecular mechanism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58 : 244-258, 2001

      8 Santos, M. F., "Polyamines are important for attachment of IEC-6 cells to extracellular matrix" 273 : G175-G183, 1997

      9 McCormack, S. A., "Polyamine deficiency causes reorganization of F-actin and tropomyosin in IEC-6 cells" 267 : C715-C722, 1994

      10 van Golen, C. M., "N-Myc overexpression leads to decreased β1 integrin expression and increased apoptosis in hum an neuroblastoma cells" 22 : 2664-2673, 2003

      1 McLean, G. W., "The role of focal adhesion kinase in cancer-a new therapeutic opportunity" 7 : 505-515, 2005

      2 Schlaepfer, D. D., "Signaling through focal adhesion kinase" 71 : 435-478, 1999

      3 Pignatti, C.,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linking polyamines to apoptosis" 27 : 359-365, 2004

      4 Chen, B. H., "Roles of Rho-associated kinase and myosin light chain kinase in morphological and migratory defects of focal adhesion kinase-null cells" 277 : 33857-33863, 2002

      5 Crowe, D. L, "Recruitment of focal adhesion kinase and paxillin to β 1 integrin promotes cancer cell migration via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4 : 18-23, 2004

      6 Thamilselvan, V., "Pressure activates colon cancer cell adhesion by inside-out focal adhesion complex and actin cytoskeletal signaling" 126 : 8-18, 2004

      7 Thomas, T., "Polyamines in cell growth and cell death: molecular mechanisms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58 : 244-258, 2001

      8 Santos, M. F., "Polyamines are important for attachment of IEC-6 cells to extracellular matrix" 273 : G175-G183, 1997

      9 McCormack, S. A., "Polyamine deficiency causes reorganization of F-actin and tropomyosin in IEC-6 cells" 267 : C715-C722, 1994

      10 van Golen, C. M., "N-Myc overexpression leads to decreased β1 integrin expression and increased apoptosis in hum an neuroblastoma cells" 22 : 2664-2673, 2003

      11 Arancia, G., "Mitochondrial alterations induced by serum amine oxidase and spermine on human multidrug resistant tumor cells" 26 : 273-282, 2004

      12 Averill-Bates, D. A., "Mechanism of cell death induced by spermine and amine oxidase in mouse melanoma cells" 32 : 79-88, 2008

      13 장은성, "Mechanism of Apoptosis Induced by Spermine in MCF-7 Breast Cancer Cells" 한국생명과학회 18 (18): 1177-1185, 2008

      14 Frisch, S. M., "Integrins and anoikis" 9 : 701-706, 1997

      15 Calderwood, D. A., "Integrins and actin filaments: Reciprocal regulation of cell adhesion and signalling" 275 : 22607-22610, 2000

      16 Mitra, S. K., "Integrin-regulated FAK-Src signaling in normal and cancer cells" 18 : 516-523, 2006

      17 Garcia, A. J., "Integrin-fibronectin interactions at the cell-material interface: initial integrin binding and signaling" 20 : 2427-2433, 1999

      18 Giancotti, F. G., "Integrin signaling" 285 : 1028-1032, 1999

      19 Richardson, A., "Inhibition of cell spreading by expression of the C-terminal domain of focal adhesion kinase (FAK) is rescued by coexpression of src or catalytically inactive FAK: a role for paxillin tyrosine phosphorylation" 17 : 6906-6914, 1997

      20 Ray, R. M., "Focal adhesion kinase signaling is decreased in polyamine-depleted IEC-6 cells" 281 : C475-C478, 2001

      21 Carragher, N. O., "Focal adhesion and actin dynamics: a place where kinases and proteases meet to promote invasion" 14 : 241-249, 2004

      22 Han, L. C., "Effects of polyamines on apoptosis induced by simulated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cultured neonatal rat cardiomyocytes" 31 : 1345-1352, 2007

      23 Holst, C. M., "Differential polyamine analogue effects in four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223 : 71-81, 2006

      24 Sanders, M. A., "Collagen IV-dependent ERK activation in hμMan Caco-2 intestinal epithelial cells requires focal adhesion kinase" 275 : 38040-38047, 2000

      25 Fidler, I. J., "Cancer metastasis" 47 : 1991

      26 Frisch, S. M., "Anoikis mechanisms" 13 : 555-562, 2001

      27 Warry, K. K., "A requirement for caveolin-1 and associated kinase Fyn in integrin signaling and anchorage-dependent cell growth" 94 : 625-634,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연관 공개강의(KOCW)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