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IT 기업 내 리더십 유형이 기업의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 in Domestic IT Firms on Firms' Innovation Resist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66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on resistance. For this purpose,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286 questionnaires completed by employees working in IT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shared leadership and vertical leadership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For organizational tru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Shared leadership seems to form a stronger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than vertical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shared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in lowering innovation resistance. Therefore, if the strengths of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are applie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trust in promoting innovation, it will be a good way to overcome innovation resistance, which is a barrier to innovation success. To overcome innovation resistance, especially in IT startups, we propose the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based on organizational trus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on resistance. For this purpose,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286 questionnai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on resistance. For this purpose,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286 questionnaires completed by employees working in IT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oth shared leadership and vertical leadership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For organizational tru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Shared leadership seems to form a stronger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novation resistance than vertical leadership, it was found that shared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in lowering innovation resistance. Therefore, if the strengths of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are applied complementary to each other on the basis of organizational trust in promoting innovation, it will be a good way to overcome innovation resistance, which is a barrier to innovation success. To overcome innovation resistance, especially in IT startups, we propose the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vertical leadership and shared leadership based on organizational tru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혁신활동에만 집중되어 있던 기존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혁신의 확산과 성공을 위해 혁신저항과 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을 기반으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리더십 종류(공유 리더십, 수직적 리더십)에 따른 혁신저항과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혁신 중요도가 높은 국내 IT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286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리더십과 수직적 리더십 모두 혁신저항과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도 혁신저항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유 리더십이 수직적 리더십에 비해 혁신저항과 좀 더 강한 부(-)의 관계를 형성하고 혁신저항을 낮추는데 공유리더십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IT 스타트업에 존재하는 혁신저항을 극복하는데 조직의 신뢰를 바탕으로 수직적 리더십과 공유 리더십을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해 보도록 제안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혁신활동에만 집중되어 있던 기존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혁신의 확산과 성공을 위해 혁신저항과 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을 기반으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리더십 종류(공유 리더...

      본 연구는 혁신활동에만 집중되어 있던 기존연구의 한계를 벗어나 혁신의 확산과 성공을 위해 혁신저항과 리더십의 중요한 역할을 기반으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와 리더십 종류(공유 리더십, 수직적 리더십)에 따른 혁신저항과의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혁신 중요도가 높은 국내 IT기업 임직원을 대상으로 286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유 리더십과 수직적 리더십 모두 혁신저항과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신뢰도 혁신저항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공유 리더십이 수직적 리더십에 비해 혁신저항과 좀 더 강한 부(-)의 관계를 형성하고 혁신저항을 낮추는데 공유리더십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IT 스타트업에 존재하는 혁신저항을 극복하는데 조직의 신뢰를 바탕으로 수직적 리더십과 공유 리더십을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해 보도록 제안하는 바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