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Electroacupuncture potentiates the antiallodynic effect of intrathecal clonidine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 신경병질증성 통증 모델의 백서에서 알아본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와 전침의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 시너지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545094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동서의학과 , 2009. 2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영어

      • DDC

        616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23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민병일
        참고문헌 : p. 17-22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trathecal injection of clonidine has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allodynic effect in humans and animals. Also, several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electroacupuncture significantly relieved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electroacupuncture potentiates the clonidine-induced antiallodynia in neuropathic pain rats.
      For the neuropathic surgery, the right superior caudal trunk was resected at the level between S1 and S2 spinal nerves innervating the tail. Two weeks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rats were implanted with PE-10 tube. The tip of the tubing lay in the region of the lumbar enlargement. The behavioral signs of cold allodynia were evaluated by the tail immersion test before and after intrathecal (IT) injection of clonidine. Electroacupuncture (EA) stimulation was delivered to Zusanli (ST36) for 30 min.
      Although intrathecal clonidine (1, 3 and 5 ㎍) dose dependently relieved cold allodynia, 5 ㎍ clonidine caused side effects. Whereas, co-application of 3 ㎍ clonidine and electroacupuncture (EA) produced potent antiallodynia, which was parallel to the effect of 5 ㎍ clonidine, without side eff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acupuncture can enhance the antiallodynic action of intrathecal clonidine.
      번역하기

      Intrathecal injection of clonidine has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allodynic effect in humans and animals. Also, several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electroacupuncture significantly relieved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Intrathecal injection of clonidine has been reported to produce anti-allodynic effect in humans and animals. Also, several recent studies have investigated electroacupuncture significantly relieved neuropathic pai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electroacupuncture potentiates the clonidine-induced antiallodynia in neuropathic pain rats.
      For the neuropathic surgery, the right superior caudal trunk was resected at the level between S1 and S2 spinal nerves innervating the tail. Two weeks after the neuropathic surgery, rats were implanted with PE-10 tube. The tip of the tubing lay in the region of the lumbar enlargement. The behavioral signs of cold allodynia were evaluated by the tail immersion test before and after intrathecal (IT) injection of clonidine. Electroacupuncture (EA) stimulation was delivered to Zusanli (ST36) for 30 min.
      Although intrathecal clonidine (1, 3 and 5 ㎍) dose dependently relieved cold allodynia, 5 ㎍ clonidine caused side effects. Whereas, co-application of 3 ㎍ clonidine and electroacupuncture (EA) produced potent antiallodynia, which was parallel to the effect of 5 ㎍ clonidine, without side eff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lectroacupuncture can enhance the antiallodynic action of intrathecal clonidin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인간과 동물에 있어 항이질통증 효과가 있다고 이미 발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 전침도 신경병질증성 통증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경병질증성 통증 모델의 백서에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와 전침이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백서의 꼬리에 신경병질증성 통증을 유발하기 위해 우측의 상미측신경 (superior caudal turnk) 의 S1-S2 간을 절단하였다. 2주일 후 백서의 척수강 내로 튜브 (PE-10 Ø) 를 삽입하여 clonidine을 투여하였다. 백서의 족삼리 (ST36) 혈에 20분간 전침 자극 (2 Hz, 0.3 ms, 0.2-0.3 mA) 을 주었으며, 냉이질통은 4℃ 의 차가운 물에 꼬리를 담그고 급작스런 회피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위 실험의 결과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약물 농도 의존적으로 냉이질통의 진통효과를 보였으나, 5㎍의 농도 이상에서는 백서에게서 sedation, motor weakness, writhing action 과 urination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침 자극만으로도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가 나타났으며, clonidine 1 ㎍, 3 ㎍과 전침을 병용하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진통 시너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척수강 내 clonidine투여와 전침의 병용이 냉이질통의 진통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히는 바이다.
      번역하기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인간과 동물에 있어 항이질통증 효과가 있다고 이미 발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 전침도 신경병질증성 통증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이에 ...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인간과 동물에 있어 항이질통증 효과가 있다고 이미 발표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 연구를 통해 전침도 신경병질증성 통증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신경병질증성 통증 모델의 백서에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와 전침이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에 시너지 효과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백서의 꼬리에 신경병질증성 통증을 유발하기 위해 우측의 상미측신경 (superior caudal turnk) 의 S1-S2 간을 절단하였다. 2주일 후 백서의 척수강 내로 튜브 (PE-10 Ø) 를 삽입하여 clonidine을 투여하였다. 백서의 족삼리 (ST36) 혈에 20분간 전침 자극 (2 Hz, 0.3 ms, 0.2-0.3 mA) 을 주었으며, 냉이질통은 4℃ 의 차가운 물에 꼬리를 담그고 급작스런 회피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위 실험의 결과로 척수강 내 clonidine의 투여는 약물 농도 의존적으로 냉이질통의 진통효과를 보였으나, 5㎍의 농도 이상에서는 백서에게서 sedation, motor weakness, writhing action 과 urination 등의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전침 자극만으로도 냉이질통에 대한 진통효과가 나타났으며, clonidine 1 ㎍, 3 ㎍과 전침을 병용하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진통 시너지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어떤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척수강 내 clonidine투여와 전침의 병용이 냉이질통의 진통 효과에 시너지 효과를 나타낸다고 밝히는 바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5
      • 1. Introduction = 6
      • 2. Materials and methods = 8
      • 2.1. Experimental animals = 8
      • 2.2. Neuropathic surgery = 8
      • Abstract = 5
      • 1. Introduction = 6
      • 2. Materials and methods = 8
      • 2.1. Experimental animals = 8
      • 2.2. Neuropathic surgery = 8
      • 2.3. Implantation of intrathecal (IT) catheter = 8
      • 2.4. Behavioral test for cold allodynia signs = 9
      • 2.5. Drug used = 9
      • 2.6. EA stimulation = 10
      • 2.7. Experimental protocol = 10
      • 2.8. Data analysis = 10
      • 3. Results = 11
      • 4. Discussion = 17
      • 5. Conclusion = 21
      • References = 22
      • 국문초록 = 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