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밀성, 퀴어 슬픔과 애도: 퀴어 서사로 읽는 최은영의 「먼 곳에서 온 노래」 = Intimacy, Queer Grief and Mourning: Choi Eunyoung’s “A Song from Af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189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최은영의 단편소설 「먼 곳에서 온 노래」(2016)를 사례로 삼아 사회적으로 공표되지 않는 퀴어 친밀성을 사유한다. 우울증과 애착심으로 표출되는 퀴어 친밀성을 역사화할 때 어떻...

      이 글은 최은영의 단편소설 「먼 곳에서 온 노래」(2016)를 사례로 삼아 사회적으로 공표되지 않는 퀴어 친밀성을 사유한다. 우울증과 애착심으로 표출되는 퀴어 친밀성을 역사화할 때 어떻게 퀴어 상실과 슬픔을 정치화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 작품에서 퀴어 친밀성은 커밍아웃 없는 퀴어 애착심으로 재현되고 죽음과 애도를 통해 뒤늦게 인정된다. 이 작품을 친밀성을 초점으로 읽으면, 상실과 애도 사이에 지연된 삶의 시간성, 이 시간성에서 펼쳐지는 삶의 정서적 밀도, 초국가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죽음과 애도를 더 풍부하게 설명할 수 있다. 이 글은 「먼 곳에서 온 노래」를 퀴어 서사로 읽으면서 이 작품이 퀴어 친밀성을 경험한 여성들을 사회운동의 역사적 주체로서 재현한 작품이라고 주장한다. 1절은 이 작품에 재현된 친밀성을 퀴어 세계의 비가시적 특성과 연결하여 논의한다. 2절은 퀴어 친밀성을 우울증과 퀴어 멜랑콜리로 논의한다. 3절은 퀴어 슬픔이 초국가적 여성 공동체에서 해소되는 방식과 소은의 애도 과정을 분석한다. 4절은 소은의 이야기는 미진의 삶과 유산을 기록함으로써 퀴어 친밀성에 역사성을 부여하고 퀴어 슬픔에 사회적 의미를 부여한 서사라고 논의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Choi Eunyoung’s short story, “A Song from Afar”(2016), queer existence, intimacy, and loss are rendered visible only through death. The narrator Soeun tells us her double loss of her beloved Meejin, her several years senior at her university,...

      In Choi Eunyoung’s short story, “A Song from Afar”(2016), queer existence, intimacy, and loss are rendered visible only through death. The narrator Soeun tells us her double loss of her beloved Meejin, her several years senior at her university, while performing to mourn the loss in a transnational space, a decade after her first loss happened in Korea. When Soeun’s unresolved grief is expressed in her belated act of mourning Meejin’s death, it reveals histories that are not shared. This article provides a queer feminist reading of “A Song from Afar” and explores queer intimacy and grief that are barely recognized both in the matrix of social intelligibility in Korea and from identity-based queer positions. In doing so, this article argues that “A Song from Afar” is a queer text that represents women experiencing queer intimacy as the historical subjects of Korea’s social m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아메드, 사라, "행복의 약속" 후마니타스 2021

      2 윤조원, "페미니즘과 퀴어이론, 차이와 공존: 테레사 드 로레티스, 이브 세지윅, 주디스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7 (17): 131-154, 2009

      3 전혜은, "퀴어 이론 산책하기" 여이연 2021

      4 오혜진,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 한국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봄 2019

      5 이채원, "젠더 ‘갈등’ 시대와 문학—최은영 소설에 나타난 여성들 간의 우정과 사랑의 함의" 현대문학이론학회 (89) : 109-145, 2022

      6 프로이트, 지그문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20

      7 정주아, "육체성의 형식과 리얼리티 : 김엄지와 최은영의 소설들" 44 (44): 2016

      8 소영현, "애도하는 여자들 - 페미니즘 서사의 역사 다시 쓰기" 한국문학연구학회 (74) : 557-589, 2021

      9 최은영,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0 버틀러, 주디스, "권력의 정신적 삶" 그린비 2019

      1 아메드, 사라, "행복의 약속" 후마니타스 2021

      2 윤조원, "페미니즘과 퀴어이론, 차이와 공존: 테레사 드 로레티스, 이브 세지윅, 주디스 버틀러를 중심으로"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7 (17): 131-154, 2009

      3 전혜은, "퀴어 이론 산책하기" 여이연 2021

      4 오혜진, "지극히 문학적인 취향 : 한국문학의 정상성을 묻다" 오월의봄 2019

      5 이채원, "젠더 ‘갈등’ 시대와 문학—최은영 소설에 나타난 여성들 간의 우정과 사랑의 함의" 현대문학이론학회 (89) : 109-145, 2022

      6 프로이트, 지그문트,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20

      7 정주아, "육체성의 형식과 리얼리티 : 김엄지와 최은영의 소설들" 44 (44): 2016

      8 소영현, "애도하는 여자들 - 페미니즘 서사의 역사 다시 쓰기" 한국문학연구학회 (74) : 557-589, 2021

      9 최은영, "쇼코의 미소" 문학동네 2016

      10 버틀러, 주디스, "권력의 정신적 삶" 그린비 2019

      11 신샛별, "공화적 개인주의자를 위하여 : 최은영, 백수린, 조해진 소설의 개인에 대한생각" 106 : 2017

      12 양윤의, "‘먼 곳’에 대한 세 개의 주석: 최은영, 「먼 곳에서 온 노래」" 30 : 2015

      13 Ahmed, Sara, "The Cultural Politics of Emotion" Routledge 2007

      14 "Social Text, 38.4, Duke UP"

      15 "Social Text, 23.3-4, Duke UP"

      16 Berlant, Lauren, "Sex in Public" 24 (24): 1998-, 1998

      17 Gilroy, Paul, "Postcolonial Melancholia" Columbia UP 2006

      18 Eng, David, "Loss: The Politics of Mourning" U o f California P 2003

      19 Berlant, Lauren, "Cruel Optimism" Duke UP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