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기의 주시 거리에 따른 조절 반응량 = Accommodative Response of Open Autorefractometer with Visual Dist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960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s in the infinite and the specific distance gaze state with an open automatic refractor.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31 adults (22.66±1.27 year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s in the infinite and the specific distance gaze state with an open automatic refractor.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31 adults (22.66±1.27 years old) with no abnormal binocular vision. Using an open automatic refractor (WAM-5500), the mean of refractive power was recorded by measuring the accommodative response three times while viewing at infinite distance, 6 and 3 m targets. Infinite distance fixation was measured in a space where the sky outside of a building could be viewed.
      Results : The average of infinite distances was –1.71±2.11 D, and at 6 m it was measured as –1.67±2.01 D. Finally, at 3 m it was measured as –1.58±1.99 D, and when comparing the difference in each distance with respect to infinity. The difference in the mean of difference of 6m distance was +0.24D, and 3m was +0.41D, showing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 >0.050). In addition, in the order of infinite, 6m and 3m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of emmetropia was 0.07±0.05 D, –0.02±0.35 D and –0.04±0.18 D ( =0.260), respectively. That of hyperopia showed 0.67±0.09 D, 0.36±0.3 D and 0.33±0.3 D ( =0.86), respectively. Finally,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at the infinite distance in myopia was –2.86±1.77 D, 6m was –2.65±1.84 D and 3m was –2.53±1.88 D ( =0.980).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dynamic accommodative response was measured at infinite, 6 m and 3 m distances. When looking at infinite gaze, greater (-) refractive power was found than near,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further research is considered necessary as some results were observed differences that could be clinically conside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계를 이용하여 무한대 거리 주시 상태와 특정 거리 주시 상태에서의 측정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31명(22.66±1.27세)을 대...

      목적 : 개방형 자동 굴절 검사계를 이용하여 무한대 거리 주시 상태와 특정 거리 주시 상태에서의 측정값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연구대상은 건강한 성인 31명(22.66±1.27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 (WAM-5500)를 사용하여‘무한대 거리, 6 m, 3 m’ 거리에서 시표를 주시 후 동적 조절 반응량을 3회 측정하여 평 균값을 기록하였다. 무한대 거리 주시는 건물 밖의 하늘을 주시할 수 있는 공간에서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공간에 서 6 m와 3 m 주시 상태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 : 무한대 거리의 평균은 –1.71±2.11 D로 나타났고, 6 m에서 -1.67±2.01 D로 측정되었다. 마지막으로 3 m에서는 –1.58±1.99 D로 측정되었고, 무한대를 기준으로 하여 각 거리의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6 m 거리 평 균 차이는 +0.24 D, 3 m에서는 +0.41 D이며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0.050). 또한 정시의 동적 조절 반응량 은 ‘무한대, 6 m, 3 m’ 순서대로, 0.07±0.05 D, –0.02±0.35 D, –0.04±0.18 D로 나타났다( =0.260). 원시는 0.67±0.09 D, 0.36±0.3 D, 0.33±0.3 D로 측정되었으며,( =0.860) 마지막으로 근시의 무한대 거리 동적 조절 반응량으로는 –2.86±1.77 D이며 6 m에서는 –2.65±1.84 D, 3 m에서는 –2.53±1.88 D이었다( =0.980).
      결론 : 본 연구는 ‘무한대, 6 m, 3 m’ 거리로 동적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였다. 무한대 주시시 근거리 보다 더 큰 (-) 굴절력이 측정되었으나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일부 결과에서는 임상적으로 고려할 만한 차이 가 관찰되었기에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백혜정 ; 임현택, "조절과 눈모음 및 눈모음이상" 대한안과학회 53 (53): 1719-1726, 2012

      2 이경훈 ; 심현석, "자동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의 비교분석: 사진굴절검사기(VS100)를 중심으로" 한국안광학회 23 (23): 39-45, 2018

      3 김태훈 ; 예기훈 ; 김재광 ; 성아영, "자동굴절검사기의 신뢰성 평가 및 Fourier analysis에 의한 정확도 분석" 한국안광학회 13 (13): 29-36, 2008

      4 이강천 ; 김상엽 ; 조현국 ; 유동식 ; 문병연, "자각적과 자동굴절검사에서 조절자극 및 운무적용에 따른측정값의 변화와 두 검사간의 상관성" 한국안광학회 22 (22): 175-182, 2017

      5 김소라 ; 박미옥 ; 이수연 ; 송정운 ; 이재훈 ; 최현동 ; 박미정,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작업 후 20대 폭주이상안의 조절기능 변화" 한국안광학회 22 (22): 71-80, 2017

      6 이강천 ; 김상엽 ; 조현국 ; 유동식 ; 문병연, "비정시안에서 운무적용에 따른 자각적 및 자동굴절검사의 조절제어효과" 한국안광학회 21 (21): 119-126, 2016

      7 정수아 ; 김기창 ; 김현정, "근거리 주시 시 발생하는 조절성 굴절이상 변화와 조절의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26 (26): 35-43, 2021

      8 하나리 ; 정수아 ; 김현정,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 비교" 한국안광학회 23 (23): 407-414, 2018

      9 김재도 ; 김대현 ; 전인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의 주시거리에 따른 굴절이상도와 가상주시형 자동굴절 검사기의 굴절이상도와의 비교 연구" 한국안광학회 16 (16): 433-438, 2011

      10 Mark Rosenfield, "Tonic accommodation: a review. II. Accommodative adaptation and clinical aspects" Wiley 14 (14): 265-277, 1994

      1 백혜정 ; 임현택, "조절과 눈모음 및 눈모음이상" 대한안과학회 53 (53): 1719-1726, 2012

      2 이경훈 ; 심현석, "자동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의 비교분석: 사진굴절검사기(VS100)를 중심으로" 한국안광학회 23 (23): 39-45, 2018

      3 김태훈 ; 예기훈 ; 김재광 ; 성아영, "자동굴절검사기의 신뢰성 평가 및 Fourier analysis에 의한 정확도 분석" 한국안광학회 13 (13): 29-36, 2008

      4 이강천 ; 김상엽 ; 조현국 ; 유동식 ; 문병연, "자각적과 자동굴절검사에서 조절자극 및 운무적용에 따른측정값의 변화와 두 검사간의 상관성" 한국안광학회 22 (22): 175-182, 2017

      5 김소라 ; 박미옥 ; 이수연 ; 송정운 ; 이재훈 ; 최현동 ; 박미정, "스마트폰으로 근거리 작업 후 20대 폭주이상안의 조절기능 변화" 한국안광학회 22 (22): 71-80, 2017

      6 이강천 ; 김상엽 ; 조현국 ; 유동식 ; 문병연, "비정시안에서 운무적용에 따른 자각적 및 자동굴절검사의 조절제어효과" 한국안광학회 21 (21): 119-126, 2016

      7 정수아 ; 김기창 ; 김현정, "근거리 주시 시 발생하는 조절성 굴절이상 변화와 조절의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 26 (26): 35-43, 2021

      8 하나리 ; 정수아 ; 김현정, "근거리 시각매체의 휘도에 따른 조절반응과 조절래그 비교" 한국안광학회 23 (23): 407-414, 2018

      9 김재도 ; 김대현 ; 전인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의 주시거리에 따른 굴절이상도와 가상주시형 자동굴절 검사기의 굴절이상도와의 비교 연구" 한국안광학회 16 (16): 433-438, 2011

      10 Mark Rosenfield, "Tonic accommodation: a review. II. Accommodative adaptation and clinical aspects" Wiley 14 (14): 265-277, 1994

      11 Mark Rosenfield, "Tonic accommodation: a review I. Basic aspects" Wiley 13 (13): 266-283, 1993

      12 Nancy N. Chiu, "Tonic accommodation, tonic vergence and surround propinquity" Wiley 14 (14): 290-292, 1994

      13 Chunming Liu, "Tonic accommodation predicts closed-loop accommodation responses" Elsevier BV 129 : 25-32, 2016

      14 Krumholz DM, "Short-term changes in tonic accommodation" 27 (27): 552-557, 1986

      15 Sung PJ, "Otometry" Hyunmoon 55-, 2018

      16 B Kinge, "Clinical evaluation of the Allergan Humphrey 500 autorefractor and the Nidek AR-1000 autorefractor." BMJ 80 (80): 35-39, 1996

      17 Sim HS, "Accommodative response measurement using both eyes open-view auto refractometer" 10 (10): 323-328, 2005

      18 F. M. Toates, "Accommodation function of the human eye"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52 (52): 828-863, 19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