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기 북한의 ‘인민군최고사령관’ 제도 도입의 과정과 의미 = Study on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n Army in Initial Period of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06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Supreme Commander’ regime and its role in initial period of the Korean War. Many scholars have a tendency to consider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n army only as a military ‘commander in chief’. However, in this essay, it is reviewed as a sort of emergency system in time of war. The institution had its origin from the prerogative of Russian emperor and was directly from the Stalin’ regime in the Soviet-German War period. In this essay, the ‘Supreme Commander’ in North Korea is reviewed as a de facto head of state in war.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Supreme Commander’ regime, Kim Il Sung became vertually the head of state in North Korea. This essay illuminates the conflicts on the integration of divers military forces which was made by ‘Supreme Commander’, Kim Il Sung.
      번역하기

      This essay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Supreme Commander’ regime and its role in initial period of the Korean War. Many scholars have a tendency to consider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n army only as a military ‘commander in c...

      This essay focuses on the formation of the ‘Supreme Commander’ regime and its role in initial period of the Korean War. Many scholars have a tendency to consider the ‘Supreme Commander’ of North Korean army only as a military ‘commander in chief’. However, in this essay, it is reviewed as a sort of emergency system in time of war. The institution had its origin from the prerogative of Russian emperor and was directly from the Stalin’ regime in the Soviet-German War period. In this essay, the ‘Supreme Commander’ in North Korea is reviewed as a de facto head of state in war. In the enforcement process of ‘Supreme Commander’ regime, Kim Il Sung became vertually the head of state in North Korea. This essay illuminates the conflicts on the integration of divers military forces which was made by ‘Supreme Commander’, Kim Il S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기지 참모부, "회람-군관회의 소집에 관하여"

      2 "황해일보"

      3 함남도 방어지구 군사위원회, "함남도 방어지구군사위원회 통지서"

      4 "한국전쟁, 문서와 자료, 1950~53년" 국사편찬위원회 2006

      5 윤경섭, "한국전쟁 초기 북한의 전시계엄과 군사재판" 인문학연구원 (66) : 39-69, 2017

      6 고재홍,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의 전쟁지도체계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8 (8): 7-38, 2005

      7 이종석, "한국전쟁 중 중조연합사령부의 성립과 그 영향"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44 : 2001

      8 와다 하루끼, "한국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0

      9 최고사령관 김일성, "포고"

      10 "최고사령부 보조지휘소 전투명령 제0025호"

      1 기지 참모부, "회람-군관회의 소집에 관하여"

      2 "황해일보"

      3 함남도 방어지구 군사위원회, "함남도 방어지구군사위원회 통지서"

      4 "한국전쟁, 문서와 자료, 1950~53년" 국사편찬위원회 2006

      5 윤경섭, "한국전쟁 초기 북한의 전시계엄과 군사재판" 인문학연구원 (66) : 39-69, 2017

      6 고재홍, "한국전쟁 초기 북한군의 전쟁지도체계 연구" 북한대학원대학교 8 (8): 7-38, 2005

      7 이종석, "한국전쟁 중 중조연합사령부의 성립과 그 영향"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44 : 2001

      8 와다 하루끼, "한국전쟁" 창작과 비평사 1990

      9 최고사령관 김일성, "포고"

      10 "최고사령부 보조지휘소 전투명령 제0025호"

      11 최고사령관 김일성, "최고사령부 명령 No.061호"

      12 "최고사령관 명령 제027호 - 간부 임명에 대하여"

      13 "최고사령관 명령 제0070호"

      14 민족보위상 최용건과 총참모장 강건, "총참모부 명령 No.00914- 지구 주둔부대들의 방어전투임무 집행에 관하여"

      15 함남도 방어지구 사령부 명령, "집체 대피호를 구설함에 대하여"

      16 조선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출판과 1948

      1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민족보위성 조선인민군 군무자 봉급규정"

      18 최고사령부 유격지도처장 배철, "전투력 향상 및 경상적 유지대책에 관하여"

      19 제825군부대 부대장 최춘국, "전선총사령관 명령 제84, 제85호 이첩에 관하여"

      20 제395군부대 부대장 리영호, "전선사령관 명령 이첩에 관하여"

      21 "인민의 아들"

      22 "쏘베트신보"

      23 "소련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1~4권" 국방부 전사편찬연구소 2001

      24 제107보연 참모부, "상급명령서철"

      25 5656부대 참모부, "상급명령서철"

      26 장준익, "북한인민군대사" 서문당 1991

      27 김동엽, "북한의 군사지도·지휘체계: 당·국가·군 관계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7 (17): 87-117, 2013

      28 정성장, "북한군최고사령관의 위상과 역할 연구" 세종연구소 2015

      29 고재홍, "북한군의 비상시·평시 군사 지휘체계 연구" 통일연구원 14 (14): 129-152, 2005

      30 고재홍, "북한군 최고사령관 위상 연구" 통일연구원 2006

      31 김용현, "북한 사회의 군사적 동원에 관한 연구 : 1950 ~ 1960 년대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2001

      32 김용현, "북한 군사국가화의 기원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학회 37 (37): 181-198, 2003

      33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 1945~1961" 도서출판 선인 2005

      34 "문헌집" 조선인민군 전선사령부 문화훈련국 1950

      35 "농민신문"

      36 민족보위성 총참모부, "내무규정" 민족보위성 군사출판부 1949

      37 "김일성전집 제1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5

      38 "경비국총참모부 작전보고 No.66"

      39 "개성신문"

      40 내무성 간부처, "간부사업규정"

      41 제271군부대 부대장 리이종, "각 단위 책임군관 동지 앞-최고사령관 81호 명령에 대하여"

      42 "Советская Военн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Том 2" Воениздат c113-, 1976

      43 Сост. О.И. Чистяков,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сторй Российской империи накануне прушения: Сборник законодательных актов" Издательство Моско вскогоо Университета 1995

      44 제531군부대 포병참모부, "1950년도 포병부대 급 구분대 임무 급 하기 전투훈련 계획표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4 1.24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6 1.88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