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40년 부산학생항일운동의 재조명 - 『매일신보』 기사를 중심으로 - = A Reillumination of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in 1940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940년 11월 23일에 일어난 부산학생항일운동에 관련된 각종 연구논문과 자료들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것에 의문을 갖게 되어 시작하였다. 이것은 당시 항일학생들의 폭행사건에 대하...

      본 연구는 1940년 11월 23일에 일어난 부산학생항일운동에 관련된 각종 연구논문과 자료들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것에 의문을 갖게 되어 시작하였다. 이것은 당시 항일학생들의 폭행사건에 대하여 관련자들 및 목격자들의 기억이 ‘축소·과장·왜곡·삭제·창조’ 등의 사유로 변경된 탓에 생긴 것들이었다.
      그 동안 여러 학자들이 부산의 항일학생 폭행사건을 다각도로 다루었다. 김의환은 사건을 최초로 소개하였고, 강창석은 사건이 발생하게 된 당시의 사회적 여건을 밝혔다. 김석희는 『부산동래고등학교사』를 바탕으로 사건이 일어나게 된 근원적인 전통과 계승된 항일사건들을 알렸으며, 강대민은 매우 다양한 관점에서 사건을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김형목은 민족운동사상과 연계하였고, 김인호는 일본의 기만성과 민족 차별에 대해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새로운 해석을 하였다. 이재봉은 일본 작가가 쓴 소설 『1940년 부산』의 허구성을 논리적으로 반박하였다.
      그러나 부산학생항일운동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부산지역의 한국인 학생들에 대한 ‘용맹스러운’ 투쟁을 강조하는 데에 편향되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폭력적 항일투쟁의 물리적 성과보다는 부산지역 한국인들에게 깊이 잠재되어 있던 조국독립의 갈망을 일깨워준 정신적 파급성과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부산학생항일운동은 일제의 국방경기대회에서 편파적인 심판 판정에 항거한 한국인 학생들이 군중심리에 편승하여 일으킨 단순하고도 우발적인 폭력사태가 결코 아니다. 그것은 오랜 세월 일제가 자행한 한국인 차별에 대한 깊은 저항심이순식간에 폭발한 것이다. 사건의 가장 큰 성과는 그 이후 부산지역에서 조선청년독립당, 친우회, 순국당, 무궁단 등의 항일투쟁 비밀결사대들의 자생적 결성과 활동이 활발히 전개되어지는 단초가 되었다는 것이다.
      본고는 부산학생항일운동에 대한 당시 조선총독부 기관지이며 유일한 국·한문혼용 일간지인 『매일신보』에서 발견한 기사를 중심으로 여러 증언과 기왕의 자료들을 비교·분석하여 객관적인 사실을 재조명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about the discrepancies amo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for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which had been occurred at Busan in 1940. These was caused by 'reduction, overstatement, distortion, deletion and c...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about the discrepancies among various kinds of materials for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which had been occurred at Busan in 1940.
      These was caused by 'reduction, overstatement, distortion, deletion and creation’ of the memories of related people, witnesses, and residents on that time about the event.
      In the meantime, many scholars analyzed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in multiple angles. E. H. Kim introduced this event for the first time and C. S. Kang revealed the social conditions at the time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Based on the history of Busan Dongrae High School, S. H. Kim studied the fundamental tradition and the successive anti-Japanese events that led to the birth of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D. M. Kang analyzed and evaluated the event with various perspective. The researcher H. M. Kim analyzed the event in connection with the ideology of national movement, and I. H. Kim made a new interpretation on the deceitfulness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Japan from the socio-economic point of view. J. B. Lee logically refuted the fictitiousness of a novel written by a Japanese author, 『Busan, 1940』.
      However, most studies of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have a biased aspect toward students’ courageous struggle.
      This study offers in-depth analysis of the psychological ripple effect awakened Busan people's aspiration for independence of the country, rather than the violent struggle of this event.
      Busan Anti-Japanese Students' Movement was never are not accidental assaults committed by students in a mob psychology. That exploded the deep resentment of discrimination conducted by Japan against Korea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event,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secret associations increased in Busa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solely on objective facts, by comprehensively comparing and analyzing 『Maeil Shinbo』 newspaper articles, testimonies, and also many other materials related to the ev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