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도ㆍ농간 차이를 중심으로 = School Adapta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round the differenc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291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ffected to real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o accomplish this study, 467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res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ffected to real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o accomplish this study, 467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from freshmen to seniors of middle schools in Daejeon and Chungcheongbuckdo. The results were below; First, social support and school adaptation were correlated with each variable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lower factor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determinacy, finality, confidency, and preparedness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upport of teachers was critical influence in career determinacy and confidency to the adolescents in urban areas. Whereas the support of parents was significant to the adolescents in rural areas. The adolescents living in cities got influenced by their parents' support in Career finality, but the adolescents living in countries got negatively influenced by school environment. Furthermore, in career preparedness, the support of friends affected positively to the adolescents living in cities, but the support of teachers affected negatively to the adolescents living in countries. Finally, the adolescents in cities got influenced by the support of parents and school environment in career independence, but the support of friends and school adjustment affected to the adolescents in countries. As the results above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dolescen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refore, this research showed fundamental conceptions of policy and implementation for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실제적으로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실제적으로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대전과 충청북도에 거주하는 1학년부터 3학년 중학생 4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이 도시와 농촌 지역 중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의 각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진로태도성숙의 하위변인인 결정성과 목적성, 확신성, 준비성에서 학교변인이 중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성과 확신성에서 도시 청소년들은 교사지지가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농촌 청소년들은 부모지지가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목적성에서 도시 청소년들은 부모지지의 영향을 받는 반면, 농촌 청소년들은 학교환경이 진로목적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준비성에서는 도시 청소년들의 경우 친구지지가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농촌 청소년들은 교사지지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독립성에서는 도시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지지와 학교환경의 영향을 받는 반면, 농촌 청소년들의 경우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진로태도성숙에 있어서 도ㆍ농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용래,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 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2 교육과학기술부,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마련"

      3 박종효,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01-128, 2013

      4 김난수, "텔레비전 시청과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7

      5 송영경,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19, 2011

      6 금지헌,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26, 2012

      7 소연희,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03-220, 2011

      8 홍국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25-143, 2014

      9 정혜정,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5 (5): 773-791, 2004

      10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1 김용래, "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 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0

      2 교육과학기술부, "학생 발달단계에 따른"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마련"

      3 박종효, "학교 환경과 학교 적응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01-128, 2013

      4 김난수, "텔레비전 시청과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2007

      5 송영경,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0 (20): 1-19, 2011

      6 금지헌,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애착, 진로성숙도의 인과적 관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5-26, 2012

      7 소연희,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0 (30): 203-220, 2011

      8 홍국진,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 (25): 125-143, 2014

      9 정혜정,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갈등과 심리적 적응 및 진로태도성숙도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학회 5 (5): 773-791, 2004

      10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219-241, 2002

      11 이미라,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지지체계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12 강란혜,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지지" 한국생활과학회 20 (20): 941-953, 2011

      13 김현옥,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 建國大學校 大學院 1989

      14 이지연, "청소년의 진로개발 성과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129-150, 2007

      15 이기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와 학습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9 (9): 95-114, 2010

      16 이경희, "청소년의 부모요인, 친구애착 및 자아존중감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한국가족복지학회 16 (16): 175-199, 2011

      17 황문영, "청소년 진로태도성숙의 영향요인 : 빈곤과 사회적 지지 영향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1

      18 김희수, "진로성숙의 변인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0 (20): 57-68, 2007

      19 최윤미, "진로성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19 (19): 171-187, 2011

      20 한국고용정보원, "진로발달검사 개발 연구보고서" 2008

      21 구혜선,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및 진로성숙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2 함승연,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성취 목표, 학습 태도 및 학업성취도 실증적 고찰:교과연계 진로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616-626, 2012

      23 김혜래, "중학생의 진로결정 실태와 진로성숙도의 생태체계적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3 : 51-74, 2007

      24 김나래, "중학생의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를 통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 한국상담학회 13 (13): 1799-1818, 2012

      25 엄선영, "중학교 진학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환경지각과 학교적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89-100, 2012

      26 최수정, "중등단계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사회경제적 수준 및 학업성적과 진로성숙변화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변화모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31-57, 2007

      27 황매향, "중고등학생들의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177-191, 2004

      28 손희권, "자유학기제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대한교육법학회 25 (25): 151-180, 2013

      29 성동제, "위기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과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30 한수현,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미결정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31 이지연, "부모지지가 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19-241, 2013

      32 안미경, "부모의 진로지지와 자율성지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33 박영신,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63-92, 2002

      34 김종운, "도시와 농촌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직업관 비교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19 (19): 25-38, 2006

      35 이현진,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6 구혜영, "농촌청소년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5 : 57-82, 2013

      37 이채식, "농촌청소년의 직업능력분석" 13 (13): 251-264, 2006

      38 김경준, "농촌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분석" 13 (13): 85-97, 2006

      39 임형백, "농촌사회의 환경과 기능" 서울대 출판부 2005

      40 정유순, "농촌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43-68, 2010

      41 노상우, "농촌 청소년의 진로성향 분석" 9 (9): 53-73, 2001

      42 나승일, "농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의식 성숙과 관련변인" 19 (19): 1-11, 1987

      43 서우석, "농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생활지도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4 (34): 173-192, 2002

      44 최윤영, "노인복지시설 거주자의 서비스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4 (24): 153-173, 2008

      45 조미형, "남녀 청소년의 부모·친구·교사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5 : 81-97, 2006

      46 민영순, "교육심리학" 교육출판사 1978

      47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격차의 실태 및 해소방안 연구" 2004

      48 오정아, "관계적 및 학교적응 요인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촌지도학회 21 (21): 185-209, 2014

      49 김도연,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와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9 (19): 71-91, 2012

      50 이기학,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심리적 변인들과의 관계 : 자아존중감, 직업가치, 내외통제성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51 박은주, "고등학생의 삶의 의미와 진로장벽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7 (7): 37-55, 2012

      52 조수연,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 4 (4): 33-47, 2012

      53 노혁,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청소년의 진로성숙수준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305-327, 2006

      54 李鉉周, "進路意思決定에 影響을 미치는 變因 分析"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8

      55 Osipow, S. H.,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 35 : 71-76, 1996

      56 Crites, J. O., "The maturity of vocational attitudes in adolescence" American Personnel and Guidence Association 1971

      57 Birghous, H., "School choice and social justice" Oxford Universty Press 2000

      58 Farmer, H., "Model of career and achievement motivation for woman and men" 32 (32): 363-390, 1985

      59 Betz, N. E., "Implications of the Null Environment Hypothesis for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for Counseling Psychology" 17 : 136-144, 1989

      60 Rooney, G,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life roles of worker, student, and homemaker for young adults" 22 (22): 324-342, 1983

      61 Super, D. 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57 (57): 151-163, 1955

      62 Nolten, P, W.,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ocia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student social support scal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in 1994

      63 Gottfredson, G. D.,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 A development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28 : 545-579, 1981

      64 Lynch, M.,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adults and peers : An examination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t school students" 35 (35): 81-99, 1997

      65 Super, D. E., "A theory of vocational development" 8 (8): 185-190, 195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