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장로교회의 분열 진단과 일치추구 전망 -WCC 「신앙과 직제」의 일치추구에 조명한- = Denominationalism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nd Visions of Seeking Unity ― In Light of the Seeking Unity of WCC 「Faith and 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9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o be taken place in Busan, Republic of Korea, from 30 October to 8 November 2013, will mark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 in the sense that the remarkable growth and gospel-witness of the Korean churches will offer the wider ecumenical movement its unique ecumenical vision. As the Churches in the world are marching for a “genuinely universal ecumenical council,”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re also called to take part into the efforts of the seeking unity of the world Churches. With the assembly, whose theme is “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the separated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in particular, are challenged to respond to God’s callings to Christian unity, witness, living with people of other faiths, working for God’s justice, praying for peace, involving transformative spirituality of discipleship for the whole world. Above all,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have to repent of the past of conflicts and separations which were originating in both human and theological reasons, and together go to the fields and tables of seeking unity and cooperation, and, going further, learn the ways for unity from ecclesiological theological convergences which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works of the Faith and Order of WCC. In that vein, the Santiago Report,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1993)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on the prospective ways for the seeking un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While developing through the steps of Organic Unity as the historical goal of the Faith & Order movement (the New Delhi WCC Assembly, 1961), Conciliar fellowship (the Nairobi assembly, 1975), and Reconciled diversity (beginning with “the legitimacy of the present confessional differences and therefore the need to preserve them), the theological convergences in the Faith and Order have challenged the participants churches to bear witness together in their common allegiance to Jesus Christ, search for that unity which Christ wills for His one and only church, and co-operate in matters which require common statements and actions. Finally, the Canberra assembly (1991) turned to the more encompassing concept of Koinonia, describing the “church in its fullness”, which made it realized to prospect the ways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the Santiago, 1993). According to the Santiago Report, in relation to faith, the separated Korean churches must continue to explore how to confess our common faith in the context of the many cultures and religions, the many social and national conflicts in which we live. Of course, such confession emphasizes the ne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apostolic character in the light of the Holy Scriptures, because the separated Presbyterian denominations in Korea have to confirm the apostolic faith as the common ground for unity, and have to say where they are different. Next, in relation to life, the churches must dare concrete steps toward fuller koinonia, in particular doing all that is possible to achieve a common recognition of baptism, an agreement on a common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and a mutually recognized ministry. Finally, in relation to witness, the churches must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koinonia for a responsible care for creation, for a just sharing of the world's resources, for a special concern for the poor and outcast, and for a common and mutually respectful evangelism that invites everyone into communion with God in Christ. In truth, solidarity and organizations for solidarity and cooperation for mission and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should be enacted in the continuing mission of the churches. But beyond all particular challenges, the churches and the ecumenical movement itself are called to the conversion to Christ that true koinonia in our time demands.
      번역하기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o be taken place in Busan, Republic of Korea, from 30 October to 8 November 2013, will mark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 in the sense that the remarkable growth and gosp...

      The 10th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to be taken place in Busan, Republic of Korea, from 30 October to 8 November 2013, will mark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es, in the sense that the remarkable growth and gospel-witness of the Korean churches will offer the wider ecumenical movement its unique ecumenical vision. As the Churches in the world are marching for a “genuinely universal ecumenical council,”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are also called to take part into the efforts of the seeking unity of the world Churches. With the assembly, whose theme is “God of life, lead us to justice and peace,” the separated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in particular, are challenged to respond to God’s callings to Christian unity, witness, living with people of other faiths, working for God’s justice, praying for peace, involving transformative spirituality of discipleship for the whole world. Above all,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es have to repent of the past of conflicts and separations which were originating in both human and theological reasons, and together go to the fields and tables of seeking unity and cooperation, and, going further, learn the ways for unity from ecclesiological theological convergences which have been achieved through the works of the Faith and Order of WCC. In that vein, the Santiago Report,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1993) provides several suggestions on the prospective ways for the seeking unity of the Presbyterian Churches in Korea.
      While developing through the steps of Organic Unity as the historical goal of the Faith & Order movement (the New Delhi WCC Assembly, 1961), Conciliar fellowship (the Nairobi assembly, 1975), and Reconciled diversity (beginning with “the legitimacy of the present confessional differences and therefore the need to preserve them), the theological convergences in the Faith and Order have challenged the participants churches to bear witness together in their common allegiance to Jesus Christ, search for that unity which Christ wills for His one and only church, and co-operate in matters which require common statements and actions. Finally, the Canberra assembly (1991) turned to the more encompassing concept of Koinonia, describing the “church in its fullness”, which made it realized to prospect the ways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the Santiago, 1993). According to the Santiago Report, in relation to faith, the separated Korean churches must continue to explore how to confess our common faith in the context of the many cultures and religions, the many social and national conflicts in which we live. Of course, such confession emphasizes the need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its apostolic character in the light of the Holy Scriptures, because the separated Presbyterian denominations in Korea have to confirm the apostolic faith as the common ground for unity, and have to say where they are different. Next, in relation to life, the churches must dare concrete steps toward fuller koinonia, in particular doing all that is possible to achieve a common recognition of baptism, an agreement on a common participation in the eucharist, and a mutually recognized ministry. Finally, in relation to witness, the churches must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koinonia for a responsible care for creation, for a just sharing of the world's resources, for a special concern for the poor and outcast, and for a common and mutually respectful evangelism that invites everyone into communion with God in Christ. In truth, solidarity and organizations for solidarity and cooperation for mission and justice, peace, and integrity of creation should be enacted in the continuing mission of the churches. But beyond all particular challenges, the churches and the ecumenical movement itself are called to the conversion to Christ that true koinonia in our time deman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분열된 교회는 교회의 참 본질에서 벗어난 실재이다. 2013년 10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10차 WCC 총회를 통해 세계교회가 다시 한 번“진정으로 보편적인 에큐메니칼 협의회”를 통한 교회일치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이 때, 한국 장로교회도 이러한 세계교회의 일치추구 노력에 동참하도록 요청받고 있다. 분열된 한국 장로교회는 그 갈등과 분열의 역사가 교권적(인간적) 신학적 이유 모두와 관련되어 있음을 인정하고 하나님 앞에 그 분열의 과거를 회개하는 동시에 협력과 일치를 위한 노력의 장(場)으로 함께 나아가야 하며, 이 때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로서의 WCC 「신앙과 직제」의 활동을 통해 성취된 교회론적 신학적 수렴들로부터 일치추구의 길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앙과 직제」 제5차 산티아고 대회(1993)의 보고서 「신앙, 삶, 그리고 증거에 있어서 코이노니아를 향하여」는 한국 장로교회의 일치 운동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한국 장로교회의 모든 교단들은 일치를 위한 공통분모로서의“사도적 신앙”을 확인하고, 어떤 점에서 서로 같은지를 적극적으로 말해야 한다. 즉, 각 교단은 개혁교회의 신앙고백보다 더 중요한 초기 에큐메니칼 협의회의 신조(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를 중심으로 신앙표현의 다양성의 인정과 그 한계를 명백하게 하고, 가깝게는 장로교회의 일치를 위해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기독교회의 일치를 위한 신앙적 토대를 새롭게 확인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회의 삶에 있어서 한국 장로교회는 교단을 넘어서는 성만찬적 교제와 직제의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한국 장로교회는 일치의 확인과 선교를 위한 헌신을 가장 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자리인 성례전적 교제의 측면에서 진보와 보수를 초월한 교단간 대화와 교류를 확대,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분열의 결과로 초래된 교단간 직제의 교류 금기시를 극복하고 일치 운동의 기초로서 서로 다른 교단들의 목회자들의 강단교류와 신학자들의 교류를 더욱 활발하게 전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한국 장로교회는 선교와 정의, 평화, 그리고 창조의 보전(JPIC)을 위한 연대의 경험을 보다 실체적인 협력기구의 실현들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교회 일치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선교와 JPIC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민족사적 과제인 이데올로기적 왜곡을 극복한 정치적 발전과 통일의 실현, 그리고 최근 민족의 생존문제로 부상한 생태계 파괴의 문제는 모든 교단들의 공통된 관심사이어야 하며, 교단들이 함께 코이노니아와 일치를 통해 대처하고 풀어가야 할 공동과제이어야 한다.
      번역하기

      분열된 교회는 교회의 참 본질에서 벗어난 실재이다. 2013년 10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10차 WCC 총회를 통해 세계교회가 다시 한 번“진정으로 보편적인 에큐메니칼 협의회”를 통한 교회일...

      분열된 교회는 교회의 참 본질에서 벗어난 실재이다. 2013년 10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제10차 WCC 총회를 통해 세계교회가 다시 한 번“진정으로 보편적인 에큐메니칼 협의회”를 통한 교회일치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이 때, 한국 장로교회도 이러한 세계교회의 일치추구 노력에 동참하도록 요청받고 있다. 분열된 한국 장로교회는 그 갈등과 분열의 역사가 교권적(인간적) 신학적 이유 모두와 관련되어 있음을 인정하고 하나님 앞에 그 분열의 과거를 회개하는 동시에 협력과 일치를 위한 노력의 장(場)으로 함께 나아가야 하며, 이 때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로서의 WCC 「신앙과 직제」의 활동을 통해 성취된 교회론적 신학적 수렴들로부터 일치추구의 길들을 배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신앙과 직제」 제5차 산티아고 대회(1993)의 보고서 「신앙, 삶, 그리고 증거에 있어서 코이노니아를 향하여」는 한국 장로교회의 일치 운동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먼저, 한국 장로교회의 모든 교단들은 일치를 위한 공통분모로서의“사도적 신앙”을 확인하고, 어떤 점에서 서로 같은지를 적극적으로 말해야 한다. 즉, 각 교단은 개혁교회의 신앙고백보다 더 중요한 초기 에큐메니칼 협의회의 신조(니케아-콘스탄티노플 신조)를 중심으로 신앙표현의 다양성의 인정과 그 한계를 명백하게 하고, 가깝게는 장로교회의 일치를 위해서,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모든 기독교회의 일치를 위한 신앙적 토대를 새롭게 확인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교회의 삶에 있어서 한국 장로교회는 교단을 넘어서는 성만찬적 교제와 직제의 교류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야 한다. 한국 장로교회는 일치의 확인과 선교를 위한 헌신을 가장 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자리인 성례전적 교제의 측면에서 진보와 보수를 초월한 교단간 대화와 교류를 확대,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분열의 결과로 초래된 교단간 직제의 교류 금기시를 극복하고 일치 운동의 기초로서 서로 다른 교단들의 목회자들의 강단교류와 신학자들의 교류를 더욱 활발하게 전개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한국 장로교회는 선교와 정의, 평화, 그리고 창조의 보전(JPIC)을 위한 연대의 경험을 보다 실체적인 협력기구의 실현들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교회 일치의 목적은 궁극적으로 선교와 JPIC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민족사적 과제인 이데올로기적 왜곡을 극복한 정치적 발전과 통일의 실현, 그리고 최근 민족의 생존문제로 부상한 생태계 파괴의 문제는 모든 교단들의 공통된 관심사이어야 하며, 교단들이 함께 코이노니아와 일치를 통해 대처하고 풀어가야 할 공동과제이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광현, "한국의 개신교 부패 현상에 대한 고찰 -교회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103-137, 2012

      2 김성건, "한국 개신교계 최근 변화의 동향과 그 의미 종교사회학적 관점"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4 (24): 158-183, 2011

      3 이경숙, "제5차 신앙과 직제 세계대회의 배경과 의의" 416 : 10-18, 1993

      4 이형기, "에큐메니칼운동사: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창립될 때까지" 대한기독교서회 1994

      5 이형기, "신앙과 직제 제5차 세계대회의 분과보고서" 26 : 257-295, 1994

      6 이형기, "세계교회의 분열과 일치추구의 역사" 장로회신학대학교

      7 이승갑, "「신앙과 직제」(Faith & Order), 그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의 역사와 미래 전망" 한국기독교학회 (76) : 119-148, 2011

      8 Müller-Fahrenholz, Geiko, "UNITY IN TODAY’S WORLD The Faith and Order Studies on: Unity of the Church-Unity of Humankind" WCC 1978

      9 WCC,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 1993

      10 Best, Thomas F., "On the Way to Fuller Koinonia" WCC 1994

      1 안광현, "한국의 개신교 부패 현상에 대한 고찰 -교회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103-137, 2012

      2 김성건, "한국 개신교계 최근 변화의 동향과 그 의미 종교사회학적 관점"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4 (24): 158-183, 2011

      3 이경숙, "제5차 신앙과 직제 세계대회의 배경과 의의" 416 : 10-18, 1993

      4 이형기, "에큐메니칼운동사: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창립될 때까지" 대한기독교서회 1994

      5 이형기, "신앙과 직제 제5차 세계대회의 분과보고서" 26 : 257-295, 1994

      6 이형기, "세계교회의 분열과 일치추구의 역사" 장로회신학대학교

      7 이승갑, "「신앙과 직제」(Faith & Order), 그 지속적인 신학적 대화의 역사와 미래 전망" 한국기독교학회 (76) : 119-148, 2011

      8 Müller-Fahrenholz, Geiko, "UNITY IN TODAY’S WORLD The Faith and Order Studies on: Unity of the Church-Unity of Humankind" WCC 1978

      9 WCC,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 1993

      10 Best, Thomas F., "On the Way to Fuller Koinonia" WCC 1994

      11 WCC.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1982-1990: Report on the Process and Responses" WCC 1990

      12 Gassmann, Günter, "Documentary History of Faith and Order 1963-1993" WCC 1993

      13 WCC, "Confessing the One Faith: An Ecumenical Explication of the Apostolic Faith as it is Confessed in the Nicene-Constantinopolitan Creed(381)" WCC 1991

      14 임희국, "21세기 한국 교회의 에큐메니칼 운동" 대한기독교서회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6 0.55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