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ㆍ경기지역의 삼국시대 연구 현황과 과제 = Status of Research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Future Tas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2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울 경기지역은 삼국이 일정기간 동안 영토적으로 점유했던 지역이므로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다양한 遺蹟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삼국의 정치적ㆍ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발견되는 삼국시대의 유적ㆍ유물은 한국고대사와 고고학의 많은 의문들을 해결하고 삼국시대의 풍부한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서울ㆍ경기지역에서의 삼국시대 연구는 이러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아직 개별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에 치중하고 있을 뿐 삼국시대의 유적이나 유물에 대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는 말할 것도 없고, 유적의 분포현황조차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태이다.
      서울ㆍ경기지역의 삼국시대 연구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삼국시대의 유적에 대한 충실한 기초조사와 발굴유적에 대한 연구자간의 활발한 정보교류와 토론, 조사보고서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와 비판, 기존의 역사적 통설에 대한 선입견 배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서울 경기지역은 삼국이 일정기간 동안 영토적으로 점유했던 지역이므로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다양한 遺蹟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삼국의 정치적ㆍ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

      서울 경기지역은 삼국이 일정기간 동안 영토적으로 점유했던 지역이므로 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다양한 遺蹟이 분포되어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삼국의 정치적ㆍ군사적 요충지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발견되는 삼국시대의 유적ㆍ유물은 한국고대사와 고고학의 많은 의문들을 해결하고 삼국시대의 풍부한 생활문화를 이해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서울ㆍ경기지역에서의 삼국시대 연구는 이러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아직 개별 유적에 대한 발굴조사에 치중하고 있을 뿐 삼국시대의 유적이나 유물에 대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는 말할 것도 없고, 유적의 분포현황조차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태이다.
      서울ㆍ경기지역의 삼국시대 연구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삼국시대의 유적에 대한 충실한 기초조사와 발굴유적에 대한 연구자간의 활발한 정보교류와 토론, 조사보고서에 대한 집중적인 검토와 비판, 기존의 역사적 통설에 대한 선입견 배제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historical rel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till remain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it was once occupied by the three kingdom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is area was a place of political and military importance, the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found in this area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finding answers for many unanswered questions related to ancient Korean history and archeology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and culture of the period. But the research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have not come up to our expectations. Currently, the efforts are limited to the excavation of individual sites and the distribution status of historical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yet not to mention any systematic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those.
      To vitalize the research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mplete and basic survey of historical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discussion between researchers, intensive review and criticism on research reports, and elimination of preconceived ideas about existing popular historical views.
      번역하기

      Many historical rel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till remain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it was once occupied by the three kingdom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is area was a place of political and military importance, the site...

      Many historical relic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still remain in Seoul and Gyeonggi area as it was once occupied by the three kingdom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addition, this area was a place of political and military importance, the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found in this area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ward finding answers for many unanswered questions related to ancient Korean history and archeology and understanding everyday life and culture of the period. But the research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have not come up to our expectations. Currently, the efforts are limited to the excavation of individual sites and the distribution status of historical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has not been fully understood yet not to mention any systematic and analytical researches on those.
      To vitalize the research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complete and basic survey of historical sites and relic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active information exchange and discussion between researchers, intensive review and criticism on research reports, and elimination of preconceived ideas about existing popular historical view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서울ㆍ경기지역 지표조사 현황
      • Ⅲ. 서울ㆍ경기지역 발굴조사 현황
      • Ⅳ. 서울ㆍ경기지역 삼국시대 연구성과와 향후의 과제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서울ㆍ경기지역 지표조사 현황
      • Ⅲ. 서울ㆍ경기지역 발굴조사 현황
      • Ⅳ. 서울ㆍ경기지역 삼국시대 연구성과와 향후의 과제
      • Ⅴ. 맺음말
      • 參考文獻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