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496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etermine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college life adjustment to establish the basis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healthy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urpose is to prepare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5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t S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Amirkhan's (1990) Coping Strategy Indicator (CSI), adapted and validated by Shin Hye-jin and Kim Chang-dae (2002), to measur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o measur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DMSES-SF (Betz, Klein & Taylor, 1996), a shortened version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CDMSES)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was used, adapted and validated by Lee Ki-hak and Lee Hak-ju (2000). The measurement tool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tool developed by Kim Bong-hwan (1997),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Yun-kyung and Kim Seong-hoe (2012),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life adaptation was the scale of Moon Eun-sik (2002).
      For the statistics of the fin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explanatory power between variables. Analysis, t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l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howed positive (+) significant correlation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re is some type of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y understanding this correlation, we can find ways to effectively change other scales by intervening in one scale. In addi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voidance had no correlation with some job-related factor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for all other variables.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wome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men in affective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and seeking social support, a sub-variabl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age, was 24 years old. It was higher in those aged 22 to 23 than in those aged 22-23 or older, and academic life adjustment, which is a sub-variabl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age, was higher in those aged 24 or older than in those aged under 21. The variable problem-solving focus was higher in the arts and physical sciences field than in the natural sciences field. Academic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humanities field than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ield. Social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humanities field than the science field. This appeared high. In self-evaluation and future planning,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the humanities majors were higher tha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lower-level 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variable that affects academic life adjustment was problem-solving focus among the lower-level 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i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followed by self-evalu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llowed by self-understanding behavior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inform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ppear.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relative explanatory power on social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be problem solving-oriented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followed by self-evalu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It is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nd lastly,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b ability improvement behavior and job world exploration behavior appeared in that order.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relative explanatory power on affective life adjustment was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followed by problem-solving focus among sub-variabl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and vocational ability among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in the order of improvement behavior.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coping strategy,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the sub-factors that have the mos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re problem-solving focus and seeking social support in stress coping strategies, job information and self-evaluation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understanding behavior and job ability improvement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in action and job world explo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us understand the stres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ciding their career path, how they cope with stress, and how they adapt to school life. Additionally,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support college student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help college students develop successful care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in the college counseling field to understand and provide counseling help to college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justing to college life.

      Keywords: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etermine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college life ad...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determines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college life adjustment to establish the basis for developing a program for healthy college life adjustment. The purpose is to prepare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65 second,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t S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easurement tool used was Amirkhan's (1990) Coping Strategy Indicator (CSI), adapted and validated by Shin Hye-jin and Kim Chang-dae (2002), to measure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to measur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DMSES-SF (Betz, Klein & Taylor, 1996), a shortened version of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 (CDMSES) developed by Taylor and Betz (1983), was used, adapted and validated by Lee Ki-hak and Lee Hak-ju (2000). The measurement tool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the tool developed by Kim Bong-hwan (1997),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oi Yun-kyung and Kim Seong-hoe (2012), and the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life adaptation was the scale of Moon Eun-sik (2002).
      For the statistics of the fin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using the SPSS 19.0 program, and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explanatory power between variables. Analysis, t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all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howed positive (+) significant correlations. These results confirm that there is some type of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by understanding this correlation, we can find ways to effectively change other scales by intervening in one scale. In addition, in the correlation between sub-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only avoidance had no correlation with some job-related factors,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confirmed for all other variables.
      Second, in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women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men in affective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and seeking social support, a sub-variable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age, was 24 years old. It was higher in those aged 22 to 23 than in those aged 22-23 or older, and academic life adjustment, which is a sub-variable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according to age, was higher in those aged 24 or older than in those aged under 21. The variable problem-solving focus was higher in the arts and physical sciences field than in the natural sciences field. Academic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humanities field than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field. Social life adjustment, a subvariable of college life adjustment, was higher in the humanities field than the science field. This appeared high. In self-evaluation and future planning, which ar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major, the humanities majors were higher tha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lower-level factors of college life adaptation, the variable that affects academic life adjustment was problem-solving focus among the lower-level 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i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explanatory power, followed by self-evalu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llowed by self-understanding behavior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inform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ppear.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relative explanatory power on social life adaptation was found to be problem solving-oriented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followed by self-evaluation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It is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nd lastly, among the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b ability improvement behavior and job world exploration behavior appeared in that order.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relative explanatory power on affective life adjustment was the pursuit of social support among the sub-variable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followed by problem-solving focus among sub-variables of stress-coping strategies, and vocational ability among sub-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in the order of improvement behavior.
      The abov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stress coping strategy,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addition, the sub-factors that have the most influence on adaptation to college life are problem-solving focus and seeking social support in stress coping strategies, job information and self-evaluation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understanding behavior and job ability improvement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appeared in action and job world explo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us understand the stres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 the process of deciding their career path, how they cope with stress, and how they adapt to school life. Additionally,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support college students can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to help college students develop successful care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pecific educational measures in the college counseling field to understand and provide counseling help to college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justing to college life.

      Keywords: College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daptation to college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 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S대학교 2, 3, 4학년 46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 다.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Amirkhan(1990)의 대처전략 질문지(Coping strategy Indicator, CSI)를 신혜진과 김창대(2002)가 번안 후 타당 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CDMSES)의 단축형인 CDMSES- SF(Betz, Klein & Taylor, 1996)을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 후 타당화한 것 을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의 측정도구는 김봉환(1997)이 개발한 도구를 최윤경, 김성회(2012)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의 측정도구는 문은식 (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최종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집단간 차이, 변인간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t검정 및 단계 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 응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변인 간에는 어떤 형태의 의미있는 관계가 있 음을 확인한 것이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한 척도에 개입함으로 다 른 척도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에서도 회피성만 일부 직업과 관련된 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없음이 확인 되었으며, 그 외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정의적 생활적응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스 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지지추구는 만 24세 이상보다 만 22~23세 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생활적응은 만 21세 미만보다 만 24세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 의 하위변인인 문제해결중심에서 자연계열보다 예체능계가 높았으며, 대학생활적 응 하위변인인 학업적 생활적응은 예체능계열보다 인문계열이 높게 나타났고, 대 학생활적응 하위변인인 사회적 생활적응은 자연계열보다 인문계열이 높게 나타났 다. 전공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변인인 자기평가, 미래계획에서 인문계 열이 예체능계열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이 대 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변인으로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제해결중심이 가장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평가이며, 그 다음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이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직업정보 순서로 나타났다. 사회적 생활적응에 미 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 제해결중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에서 자기평가이며,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지지추구이며, 마지막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서 직업능력향상과 직업세계탐색 순으 로 나타났다. 정의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스트레 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지지추구였으며,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대 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제해결중심이였으며,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 서 직업능력향상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학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스트레스 대처전략에서는 문제해결중심과 사회적지지추구이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직업정보와, 자기 평가이며,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자기이해, 직업능력향상과 직업세계탐색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 스를 이해하고, 그들이 어떻게 스트레스를 대처하며, 학교생활에 적응하는지를 파 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을 지원하는 교육기관에는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진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대학 상담 현장에서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이해 하고 상담적인 도움을 주는데 구체적인 교육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대학생,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대학생 활적응.
      번역하기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 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파악하여 건강한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S대학교 2, 3, 4학년 465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 다.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을 측정하기 위해 Amirkhan(1990)의 대처전략 질문지(Coping strategy Indicator, CSI)를 신혜진과 김창대(2002)가 번안 후 타당 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Taylor와 Betz(1983)가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CDMSES)의 단축형인 CDMSES- SF(Betz, Klein & Taylor, 1996)을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 후 타당화한 것 을 사용하였다. 진로준비행동의 측정도구는 김봉환(1997)이 개발한 도구를 최윤경, 김성회(2012)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의 측정도구는 문은식 (2002)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최종으로 수집된 자료의 통계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 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와 집단간 차이, 변인간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t검정 및 단계 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 응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 간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으로 유의한 상 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변인 간에는 어떤 형태의 의미있는 관계가 있 음을 확인한 것이며, 이러한 상관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한 척도에 개입함으로 다 른 척도를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또한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에서도 회피성만 일부 직업과 관련된 요인들과 상관관계가 없음이 확인 되었으며, 그 외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차이 분석에서 성별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정의적 생활적응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스 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지지추구는 만 24세 이상보다 만 22~23세 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학업적 생활적응은 만 21세 미만보다 만 24세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전공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 의 하위변인인 문제해결중심에서 자연계열보다 예체능계가 높았으며, 대학생활적 응 하위변인인 학업적 생활적응은 예체능계열보다 인문계열이 높게 나타났고, 대 학생활적응 하위변인인 사회적 생활적응은 자연계열보다 인문계열이 높게 나타났 다. 전공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하위변인인 자기평가, 미래계획에서 인문계 열이 예체능계열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이 대 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학업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변인으로는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제해결중심이 가장 설명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평가이며, 그 다음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이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직업정보 순서로 나타났다. 사회적 생활적응에 미 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 제해결중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 중 에서 자기평가이며,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지지추구이며, 마지막으로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서 직업능력향상과 직업세계탐색 순으 로 나타났다. 정의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이 가장 큰 변인은 스트레 스 대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사회적 지지추구였으며, 다음으로는 스트레스 대 처전략의 하위변인 중에서 문제해결중심이였으며, 진로준비행동의 하위변인 중에 서 직업능력향상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 학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스트레스 대처전략에서는 문제해결중심과 사회적지지추구이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는 직업정보와, 자기 평가이며, 진로준비행동에서는 자기이해, 직업능력향상과 직업세계탐색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겪는 스트레 스를 이해하고, 그들이 어떻게 스트레스를 대처하며, 학교생활에 적응하는지를 파 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대학생을 지원하는 교육기관에는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진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대학 상담 현장에서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이해 하고 상담적인 도움을 주는데 구체적인 교육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대학생,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대학생 활적응.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1) 대학생9
      • 제 1 장 서론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1) 대학생9
      • 2) 스트레스 대처전략9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0
      • 4) 진로준비행동 10
      • 5) 대학생활적응 10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2
      • 1. 스트레스 대처전략 12
      • 1)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개념 12
      • 2)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구성요인 16
      • 3)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연구 동향18
      •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20
      • 1)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개념 20
      •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23
      • 3)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연구 동향 25
      • 3. 진로준비행동 27
      • 1) 진로준비행동의 개념 27
      • 2) 진로준비행동의 구성요인30
      • 3) 진로준비행동의 연구 동향 32
      • 4. 대학생활적응 34
      • 1) 대학생활적응의 개념 34
      • 2) 대학생활적응의 구성요인37
      • 3) 대학생활적응의 연구 동향 39
      • 5. 변인 간의 관계40
      • 1)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 40
      • 2)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41
      • 3)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43
      • 4)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44
      • 5)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45
      • 6)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46
      • 제 3 장 연구방법 48
      • 1. 연구대상 48
      • 2. 측정도구48
      • 1)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측정도구 49
      • 2)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측정도구50
      • 3) 진로준비행동의 측정도구51
      • 4) 대학생활적응의 측정도구52
      • 3. 연구 절차 및 분석 방법 55
      • 1) 연구 절차 55
      • 2) 분석 방법 57
      • 제 4 장 연구결과 58
      • 1. 연구변인의 기초통계 분석 58
      •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58
      • 2) 기술 통계량 및 정규성 분석59
      • 2. 상관관계 분석 61
      • 1) 변인 간 상관관계61
      • 2) 하위변인 간 상관관계 62
      • 3.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적응간 집단별 차이검증 65
      • 1)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 65
      • 2) 연령에 따른 차이검증 68
      • 3) 학년에 따른 차이검증 71
      • 4) 전공에 따른 차이검증 74
      • 4.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77
      • 1)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학업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78
      • 2)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사회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81
      • 3)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정의적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84
      • 제 5 장 결론 및 제언86
      • 1. 요약 및 논의 86
      • 1)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및 하위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87
      • 2) 인구통계학적 변수(성별, 연령, 학년, 전공)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적응 간의 차이검증89
      • 3) 스트레스 대처전략,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91
      • 2. 의의 및 시사점94
      • 3. 제한점 및 제언95
      • 참고문헌96
      • Abstract1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