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 연구 :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 까지 = A Study on the Korean Church Music Vitalization in the Light of the England Church Music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0530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각 시대별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교회음악의 원리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한국 교회음악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첫째, 예배 주제의 통일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예배에 있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력에 따른 회중찬송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연구자는 영국 교회의 음악역사를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 이후 영국의 교회음악은 국교회인 성공회와 비국교회인 장로교 · 감리교 · 침례교 등 교회음악적 자산이 풍부하고 다채로웠기 때문에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다. 둘째, 한국 교회의 교회음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의 영향을 받아 문학적 · 예술적으로 일어난 예전 찬송가 운동은 그레고리안 찬트만을 고집하다 쇠퇴의 길을 걷게 된 당시의 가톨릭 교회와는 달리 예전음악의 틀을 지키면서 대중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교회력에 따라 회중 찬송가를 편집한 『고금 찬송가』(Hymns Ancient and Modern)는 예전(Liturgy)에 없었던 회중 찬송가의 모범을 보인 것으로써 이후 모든 개신교에서는『고금 찬송가』의 편집 방법에 따라 교회력에 따른 회중 찬송가를 모델로 삼게 되었다. 셋째, 오늘날 한국 교회음악이 신학과 어떻게 맥락을 같이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성과, 특히 예전과 비예전 음악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지향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과 연구범위에 대하여 언급했다. 제2장에서는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음악을 영국 국교회와 비국교회의 음악적 자산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7세기를 청교도 시대와 왕정복고시대로 나누어 비예전적이며 실용적인 음악과 예전적이며 예술적인 음악을 대비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18세기 복음주의 시대의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에 나타난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여기서는 개신교 찬송가집에 영향을 주었던『고금 찬송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영국 교회음악의 역사적 고찰에 따른 한국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예전 찬송의 확대와 비예전 찬송의 수용의 측면에서 회중찬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7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살펴 본 내용의 핵심들을 요약하고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영국 교회음악, 한국 교회음악, 고금 찬송가, 회중찬송,
      예전 음악, 비예전 음악
      번역하기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각 시대별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각 시대별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교회음악의 원리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한국 교회음악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첫째, 예배 주제의 통일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예배에 있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력에 따른 회중찬송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연구자는 영국 교회의 음악역사를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 이후 영국의 교회음악은 국교회인 성공회와 비국교회인 장로교 · 감리교 · 침례교 등 교회음악적 자산이 풍부하고 다채로웠기 때문에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다. 둘째, 한국 교회의 교회음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의 영향을 받아 문학적 · 예술적으로 일어난 예전 찬송가 운동은 그레고리안 찬트만을 고집하다 쇠퇴의 길을 걷게 된 당시의 가톨릭 교회와는 달리 예전음악의 틀을 지키면서 대중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교회력에 따라 회중 찬송가를 편집한 『고금 찬송가』(Hymns Ancient and Modern)는 예전(Liturgy)에 없었던 회중 찬송가의 모범을 보인 것으로써 이후 모든 개신교에서는『고금 찬송가』의 편집 방법에 따라 교회력에 따른 회중 찬송가를 모델로 삼게 되었다. 셋째, 오늘날 한국 교회음악이 신학과 어떻게 맥락을 같이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성과, 특히 예전과 비예전 음악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지향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과 연구범위에 대하여 언급했다. 제2장에서는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음악을 영국 국교회와 비국교회의 음악적 자산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7세기를 청교도 시대와 왕정복고시대로 나누어 비예전적이며 실용적인 음악과 예전적이며 예술적인 음악을 대비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18세기 복음주의 시대의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에 나타난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여기서는 개신교 찬송가집에 영향을 주었던『고금 찬송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영국 교회음악의 역사적 고찰에 따른 한국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예전 찬송의 확대와 비예전 찬송의 수용의 측면에서 회중찬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7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살펴 본 내용의 핵심들을 요약하고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영국 교회음악, 한국 교회음악, 고금 찬송가, 회중찬송,
      예전 음악, 비예전 음악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 목 차 -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6
      • - 목 차 -
      • 제1장 서론 1
      •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2절 선행연구 6
      • 제3절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7
      • 제2장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음악 9
      • 제1절 시대적 이해 9
      • 제2절 신학적 이해 14
      • 제3절 교회음악적 이해 21
      • 제3장 17세기 청교도 시대와 왕정복고 시대의 교회음악 36
      • 제1절 시대적 이해 36
      • 제2절 신학적 이해 39
      • 제3절 교회음악적 이해 43
      • 제4장 18세기 복음주의 시대의 교회음악 54
      • 제1절 시대적 이해 54
      • 제2절 신학적 이해 57
      • 제3절 교회음악적 이해 64
      • 제5장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의 교회음악 77
      • 제1절 시대적 이해 78
      • 제2절 신학적 이해 82
      • 제3절 교회음악적 이해 84
      • 제6장 한국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 모색 113
      • 제1절 예전 찬송의 확대 114
      • 1. 역사적인 전통찬송의 활성화 115
      • 2. 교회력에 따른 회중찬송의 활성화 123
      • 3. 21세기『새 찬송가』개선 방향 132
      • 제2절 비예전 찬송의 수용 139
      • 1. 비예전 찬송의 수용 가능성 139
      • 2. 비예전 찬송의 신학적 관점 153
      • 3. 비예전 찬송의 선곡사례 및 방향성 156
      • 제3절 회중찬송의 활성화 166
      • 1. 회중찬송 부르기 활성화 166
      • 2. 회중과 찬양대의 관계개선 178
      • 3. 음악목사 시행제도 정착화 185
      • 제7장 결론 195
      • 제1절 요약 195
      • 제2절 제언 202
      • 참고문헌 209
      • ABSTRACT 223
      • - 표 목 차 -
      • <표차례>
      • <표1> 74
      • <표2> 104-106
      • <악보차례>
      • <악보1> 25
      • <악보2> 30-31
      • <악보3> 33-34
      • <악보4> 117
      • <악보5> 118
      • <악보6> 1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