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다양한 도시 사용자들을 위한 공공 공간의 적극적인 활용 제안 : 도시 사용자들-'pre user' = Proposal of public space for pre-users in the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9862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시에서 공공 공간은 다양한 사람들의 행위를 수용한다. 하지만, 사람의 신체에 의한 단순한 행위들-걷거나 앉는- 이외에도 공공공간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사용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

      도시에서 공공 공간은 다양한 사람들의 행위를 수용한다. 하지만, 사람의 신체에 의한 단순한 행위들-걷거나 앉는- 이외에도 공공공간을 필요로 하는 새로운 사용자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등장하였다. 그렇다면 무엇이 다양한 도시의 사용자들인가? 100년 전 사람과 말들이 다니던 길에 새롭게 등장한 자동차가 도시에 자동차만을 위한 공간인 '차도'를 형성한 경우에서처럼 자동차는 도시 사용자의 한 구성요소이다. 최근에는 그 사용자들의 다양성과 종류가 개인적 관심과, 문화의 발달에 의해 더욱 더 발전하게 되었다. 이런 도시의 다양한 사용자들을 '아직 정의되지 않은 사용자(pre-User)'라 정의하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정의되지 않은 사용자들은 어떠한 공간을 사용하는가? 다양한 정의되지 않은 사용자들은 각자가 지닌 성격에 의해 기존 공간의 성격을 변화 시키는 요소로서 작용한다. 정의되지 않은 요소들이 사용하는 공간은 주로 공공공간이다. 도시의 공공 공간 중에서 공원과 도로의 기존 사용현황을 기준으로 그곳의 성격을 분석, 다양한 성격으로의 변화 가능성을 찾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런 기본 작업을 바탕으로 이미 공원과 도로에 등장한 정의되지 않은 사용자들을 위한 적극적인 공공공간을 제안하는 시나리오가 주요 작업된 결과물이다.
      첫째로, 한강의 선유도 지구~난지지구 사이를 택하였다. 이곳은 가장 많은 공원이 모여 있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물리적 성격이 다른 '강'이라는 성격에 의해 그 소통과 같은 성격의 맥락이 끊어진 곳이다. 더욱 적극적인 물의 사용과, 공원의 성격을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를 통해 이곳에 새로운 적극적 공간을 제안한다.
      둘째, 도심의 가로변에 대한 간단한 'Floating city'를 제안한다. 다양한 사용자들을 위한 가장 극적인 제안이며 도시의 새로운 질서에 대한 디자인의 제안이다. Floating city는 다양한 사용자들의 성격으로부터 시작된 작업이며 단순한 흐름의 변화가 도시의 하부, 즉 건물의 저층 부에 대한 새로운 개념과 디자인의 제안이다.
      시나리오작업의 출발은, '아직 정의되지 않은 요소들(pre-user)'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력과 이용하는 공간에 대한 궁금증이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은 단순히 '정의되지 않은 요소'들을 위한 공간이 아닌 새로운 도시 질서를 제안하는 작업이다. 결과에 대한 이유는 간단하다. '정의되지 않은 요소'들의 사용 공간은 도시의 공공 공간이고, 이들을 수용하는 공간의 적극적 변화는 가장 기본적인 도시의 흐름과 소통에 관련된 도시질서를 바꾸는 작업이 된다.
      이 작업을 통해서, 도시에는 아직 도시의 흐름과 질서를 변화시킬 많은 요소들이 존재함을 증명하고, 이를 통해 더욱더 다양한 공간의 역할과 변화 가능성이 확인 된다. 건축적 이슈인 공간으로부터의 출발은 아니다. 하지만, 공간에 영향을 미칠 새로운 요소들과 다양한 접근방법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이러한 논문이 기존의 디자인 논문과 차별되는 점은 이미 도시 내에 존재하는 공공공간의 뚜렷한 성격을 분석하고 그것을 기초로 한 시나리오를 통해 필요한 디자인을 유출해 내는 방법인 점이다.
      하지만, 적극적인 방법의 제안이라는 생각으로부터의 출발은 작업에 어느 정도 한정된 결과물을 가져오는 결과를 낳았다. 이를 통해 더욱더 간단한 방법, 혹은 더욱 현실적인 문제의 해결에 대한 디자인 제한에 아쉬움이 남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blic space accommodates various people's act in a city. But the users who need new public space which is not just for simple act-walking or sitting, are has been already existed. Then, who is the user of this city? The easiest example is a car. 100...

      Public space accommodates various people's act in a city. But the users who need new public space which is not just for simple act-walking or sitting, are has been already existed.
      Then, who is the user of this city? The easiest example is a car. 100 years ago, car was a new element which appeared on the road among people and horses. But nowadays, car has occupied new space, its own road. Recently, diversity and variety of users are growing by cultural development. These various user of the city is defined 'Pre-user'.
      If that is the case, which space do these pre-user use? Pre-users act as an element which is changing existing space by their own character. Pre-users are usually use public space. I analyzed character of the space on the basis of present using condition among public spaces of the city, and tried to find possibilities of variations. On the basis of these works, the scenario proposal for the pre-users who already appeared in the park and on the road, is the main result.
      First scenario is proposed between river and park.(From Yang-wha to Nan-gi park) This place is crowded because there are many parks in here. But the relationship is broken by the river, with physical difference. I propose new park space on the basis of the scenario with active attitude of using water.
      For the second, I propose "Floating city" on the roadside. This is most drastic proposal. And this is a design proposal for a new order of the city. Floating city is started from the character of various users. Simple change of the flow is the main proposal of the concept and design in lower part of the city, the lower part of a building.
      The start point of scenario work was an interest in pre-user's influence and occupied space. However, the result propose a new order in the city, not a space for the pre-users. The reason is simple. Pre-user's occupation is a public space, and the most positive change to accommodate is changing city order which is related with the flow and communication.
      This work proves that there are a lot of elements which changes the flow and order of the city, shows various role and possibility of changes. This is not started from an architectural issue, space. However, It shows approaching method and new elements that can affect space. This work is distinguished in an aspect of design method, which is carrying out requiring design from a scenario in the basis of the analysis on noticeable character of public space in the city.
      However, positive proposal method induced limited results. It would be better to make an easier method, or a design proposal of realistic 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2 연구의 대상 = 3
      • 국문초록 = Ⅰ
      • 목차 = Ⅲ
      • 1.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
      • 1.2 연구의 대상 = 3
      •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 1.3.1. 연구의 범위 = 3
      • 1.3.2. 연구의 방법 = 4
      • 1.4 연구의 흐름 = 5
      • 2. 시나리오 작업을 위한 고찰 - Raoul Bunschoten의 방법을 중심으로 = 6
      • 2-1 시나리오 작업의 방법. = 6
      • 2.2 시나리오 작업의 사례 = 9
      • 2.2.1. Osaka station '느린공간과 빠른 공공공간의 독특한 정체성' = 9
      • 2.2.2. Kyoto : Stirring the city No.51 Locker girls = 12
      • 3. 시나리오 작업을 위한 기본 조사 및 정의 = 15
      • 3-1 시나리오를 위한 기본 리서치 = 15
      • 3.1.1. 공공 공간에 대한 조사. - 도시 공원을 중심으로 = 15
      • 3.1.2.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조사 = 18
      • 3.2 정의 되지 않은 사용자 (pre-user)에 대한 정의 = 19
      • 3.2.1. 정의 되지 않은 사용자 'pre-user' = 19
      • 3.2.2. 3rd user에 대한 정의 - 3rd user의 작업 사례를 통한 공간에 미칠 영향의 비교. (2004년 AD2과정의 김우일 스튜디오에서 작업된 결과물_ 이승연, 조용섭 공동작업) = 22
      • 4. 공공 영역 중 공원을 중심으로 한 첫 번째 시나리오 작업의 주제 및 제안 = 24
      • 4.1 시나리오 작업의 개요 및 목표 = 24
      • 4.2 첫 번째 주제 - '한강의 마주보는 공원을 중심으로 한 제안'의 기본 조사 = 25
      • 4.2.1. 시나리오작업을 위한 실질적 사이트의 조사 및 분석 = 25
      • 4.2.2. 분석을 통한 총 4가지 가능성 도출. = 27
      • 4.2.3. 4가지 가능성을 통한 시나리오 게임 공식 제안. = 31
      • 4.2.4. 제안 할 시뮬레이션의 도출 = 32
      • 5. 첫 번째 시나리오를 통한 시뮬레이션 = 34
      • 5.1 첫 번째 제안 시뮬레이션 - 강의 독재적 사용자의 적극적 변화 (Active change of a river dictatorial user) = 34
      • 5.2 두 번째 제안 시뮬레이션 - 떠있는 섬 / 적극적인 조건의 겁 없는 확장 (Floating island / Have the boldness to extension of act condition) = 39
      • 5.3 세 번째 제안 시뮬레이션 - 성장하는 섬 / 선유도를 중심으로 한 변화 (The island which grows) = 43
      • 6. 공공 영역 중 도시 길을 주제로 한 적극적 제안 다양한 사용자를 위한 가장 적극적인 도시로의 변화 제안 - Floating city / 길이라는 공공의 장소와 건물의 하부에 대한 적극적 제안. = 48
      • 7. 결론 = 52
      • English Abstract = 53
      • -참고문헌- = 55
      • -드리는 글 =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