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RCEP 시대 한․중․일 3국의 경제제재 이행현황과 대응방안 - 대북 경제제재를 중심으로 - =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Implementing Economic Sanctions of Three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RCEP Era - Focusing o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907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간 경제제재 조치는 제재당사국과 주변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RCEP 일원이 된 한․중․일 3국의 대북 경제제재 이행이 동북아 무역흐름에...

      국가간 경제제재 조치는 제재당사국과 주변국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있다. 본 연구는 RCEP 일원이 된 한․중․일 3국의 대북 경제제재 이행이 동북아 무역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중․일 3국의 대북제재 실시로 인한 북한의 각 제재당사국 대상 직접 수출규모가 대폭 감소한 반면, 주변국으로의 대체수출이 크게 증가했다는 결과를 확인하였고, 경제제재 도입․이행시의 시사점과 대응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국가 간 경제제재 이행체계의 차이가 제재효과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한 상황별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독자제재 추진시 무엇보다 해당 조치로 파급될 수 있는 제반 영향에 대해 체계적인 검토와 관련국들과의 유기적인 국제협력 체계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현행 한․중․일 대북제재 공조의 지속성 및 변동가능성 등을 포함한 기존 제재 이행체계의 문제점과 방향성에 대한 재점검 필요하다. 넷째, RCEP 체제하의 한․중․일 3국간 섬유․의류 경쟁력 분석을 실시하여 중장기적으로 북한지역과 연계한 한․중․일-북한 간 협력모델 개발이 요구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일본, 중국, 북한무역통계)"

      2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시스템 남북교역통계"

      3 주재우,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배경과 원인의담론"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4 : 2016

      4 전략물자관리원, "전략물자관리원 2019 연례보고서" 2020

      5 미무라 미쯔히로, "일본의 대북한 경제제재의경제적 효과 분석" KIEF 2005

      6 박명희, "일본의 대북제재 현황과 주요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1839) : 2021

      7 이동은, "일방적 경제제재 조치의 국제법적 타당성 및 대북제재 관련 시사점 - 미국의 2차 제재를 중심으로" 대한국제법학회 65 (65): 191-226, 2020

      8 이표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의 현주소와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49-173, 2016

      9 이경령,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결의 2397호 분석" 전략물자관리원 (1) : 2018

      10 이일한, "수출입 제조업체의 글로벌 아웃소싱 결정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활용부문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한국국제상학회 36 (36): 341-363, 2021

      1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일본, 중국, 북한무역통계)"

      2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시스템 남북교역통계"

      3 주재우, "중국의 대북제재 참여배경과 원인의담론"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4 : 2016

      4 전략물자관리원, "전략물자관리원 2019 연례보고서" 2020

      5 미무라 미쯔히로, "일본의 대북한 경제제재의경제적 효과 분석" KIEF 2005

      6 박명희, "일본의 대북제재 현황과 주요 쟁점" 국회입법조사처 (1839) : 2021

      7 이동은, "일방적 경제제재 조치의 국제법적 타당성 및 대북제재 관련 시사점 - 미국의 2차 제재를 중심으로" 대한국제법학회 65 (65): 191-226, 2020

      8 이표규, "유엔안보리 대북제재의 현주소와 효과 제고를 위한 연구: 중국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49-173, 2016

      9 이경령,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결의 2397호 분석" 전략물자관리원 (1) : 2018

      10 이일한, "수출입 제조업체의 글로벌 아웃소싱 결정요인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활용부문의 다중매개효과 분석" 한국국제상학회 36 (36): 341-363, 2021

      11 박훈, "섬유산업의 글로벌 메가트렌드 변화와대응전략" 산업연구원 2021

      12 KOTRA, "북한의 대외무역동향, 각 연도자료"

      13 최장호, "북한 주변국의 대북제재와 무역대체 효과" KIEF 2016

      14 정연하, "북한 수출구조의 질적 변화에 관한연구 : 대중 수출비중 증대의 효과를중심으로" 10 : 2020

      15 이웅규 ; 박영민, "북한 개별관광의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위반 여부와 추진방안" 한국호텔리조트학회 19 (19): 141-165, 2020

      16 이종민, "북중무역의 분해와 이를 통한 대북제재 효과의 재평가" KDI 22 (22): 2020

      17 김수정, "북중 무역을 통해 본 북한산업의 변화와 시사점" 산업연구원 2021

      18 고재길 ; 함영진, "미국의 섬유․의류 원산지검증 분석을 통한 대응방안 연구" 한국국제상학회 35 (35): 65-89, 2020

      19 조남훈, "미국의 대북제재 강화와 우리의 대응" KDI 2015

      20 정민정, "미국 대북제재의 역외적용과 한국에의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13 (13): 121-148, 2021

      21 김민성, "대이란 경제제재 효과성 검토와 북한에의 함의"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5 (25): 77-124, 2020

      22 임수호, "대북제재 해제 단계별 남북경협 추진방향" KDI 20 (20): 2018

      23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대북제재 톺아보기" 2020

      24 이석, "대북 경제제재와 북한무역 - 2000년대 일본 대북제재의 영향력 추정" 한국개발연구원 32 (32): 93-143, 2010

      25 고재길, "대북 경제제재 하의 교역물품 반출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관세학회 22 (22): 27-49, 2021

      26 장형수, "대북 경제제재 : 현황과 전망" KDI 2013

      27 김화진, "국제법 집행수단으로서의 경제제재와 금융제재" 한국법학원 154 : 213-239, 2016

      28 日本 外務省, "我が国独自の対北朝鮮措置について"

      29 日本 経済産業省, "外国為替及び外国貿易法に基づく北朝鮮に係る対応措置について, 令和3年4月6日閣議決定"

      30 Compliance and Capacity Publishing International, "United Nations Non-Proliferation Sanctions on Iran and North Korea" CCPI 2015

      31 백상미, "UN 안전보장이사회 제재결의의 국내적 이행에 관한 한국의 법체계와 실행" 서울국제법연구원 21 (21): 117-154, 2014

      32 조성택, "UN 대북제재가 북중무역에 미치는영향" KDI 22 (22): 2020

      33 Hufbauer, G. C., "Economic Sanctions Reconsidered"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07

      34 Schreiber, A. P., "Economic Coercion as an Instrument of Foreign Policy" 25 (25): 1973

      35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2019 대북제재 참고자료집"

      36 정형곤, "2017년 북한의 대외무역 평가와 전망" KDI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6 0.526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