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동아시아 서비스산업의 수출경쟁력 비교 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282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비스업은 ICT 기술 발전과 디지털 전환, 고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며,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무역 경쟁력을 평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경제 구조의 변화 속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서비스 무역 경쟁력을 분석하고, 제조업 중심 경제 발전을 설명하는 안행형 성장 모델(Flying Geese Model)이 서비스업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MF의 서비스 무역 통계와 RSCA 지수를 활용하여 동아시아 12개국의 서비스 수출 경쟁력과 산업별 동태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ICT, 금융,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등 첨단 서비스 산업에서 일부 국가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가 간 격차와 발전 단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기타사업, 운송, 지적재산 권 서비스 등 일부 산업에서 안행형 성장 모델의 단계적 발전 패턴이 확인되었으나, ICT, 금융 등 첨단 산업에서는 이 같은 양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산업과 국가별 특수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전환과 첨단 서비스 산업 육성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둘째,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이 필수적이다. 셋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활용한 지역 내 협력 강화가 중요하다. 국가 간 규제 장벽을 완화하여 서비스 산업의 상호 보완적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서비스업은 ICT 기술 발전과 디지털 전환, 고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며,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무역 경쟁력을 평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

      서비스업은 ICT 기술 발전과 디지털 전환, 고부가가치 창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며, 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성장과 무역 경쟁력을 평가하는 핵심 요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글로벌 경제 구조의 변화 속에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서비스 무역 경쟁력을 분석하고, 제조업 중심 경제 발전을 설명하는 안행형 성장 모델(Flying Geese Model)이 서비스업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검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IMF의 서비스 무역 통계와 RSCA 지수를 활용하여 동아시아 12개국의 서비스 수출 경쟁력과 산업별 동태적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ICT, 금융, 기타 비즈니스 서비스 등 첨단 서비스 산업에서 일부 국가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국가 간 격차와 발전 단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기타사업, 운송, 지적재산 권 서비스 등 일부 산업에서 안행형 성장 모델의 단계적 발전 패턴이 확인되었으나, ICT, 금융 등 첨단 산업에서는 이 같은 양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산업과 국가별 특수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 서비스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디지털 전환과 첨단 서비스 산업 육성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둘째, 서비스업 중심의 경제 구조 전환이 필수적이다. 셋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활용한 지역 내 협력 강화가 중요하다. 국가 간 규제 장벽을 완화하여 서비스 산업의 상호 보완적 발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rvice sector has emerged as a central axis of value creation, driven by advancements in ICT technolo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becoming a critical factor in assessing the economic growth and trade competitiveness of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sector in East Asian countries amidst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 structure and examines whether the Flying Geese Model, traditionally used to explain manufacturing-driven economic development, is applicable to the service sector. This study utilized IMF service trade statistics and the RSCA index to compare the service export competitiveness and sectoral dynamics of 12 East Asian countr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me countries have strengthened their competitiveness in high-value-added sectors such as ICT, finance, and other business services, with clear disparities in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stages among countries. While the Flying Geese Model’s sequential development pattern was observed in industries such as other business services, transport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this pattern was not evident in advanced industries like ICT and finance. Industry- and country-specific factors are presu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s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sever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East Asia’s service sector. First,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fostering high-value-added service industries is emphasized. Second, transitioning to a service-oriented economic structure is imperative. Third, leveraging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to strengthen regional cooperation is crucial. Reducing regulatory barriers between countries will be essential to promoting the complementary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번역하기

      The service sector has emerged as a central axis of value creation, driven by advancements in ICT technolo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becoming a critical factor in assessing the economic growth and trade competitiveness of East Asian countrie...

      The service sector has emerged as a central axis of value creation, driven by advancements in ICT technology and digital transformation. It is becoming a critical factor in assessing the economic growth and trade competitiveness of East Asian countrie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sector in East Asian countries amidst changes in the global economic structure and examines whether the Flying Geese Model, traditionally used to explain manufacturing-driven economic development, is applicable to the service sector. This study utilized IMF service trade statistics and the RSCA index to compare the service export competitiveness and sectoral dynamics of 12 East Asian countri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ome countries have strengthened their competitiveness in high-value-added sectors such as ICT, finance, and other business services, with clear disparities in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stages among countries. While the Flying Geese Model’s sequential development pattern was observed in industries such as other business services, transportation, and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this pattern was not evident in advanced industries like ICT and finance. Industry- and country-specific factors are presumed t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se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sever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East Asia’s service sector. First,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fostering high-value-added service industries is emphasized. Second, transitioning to a service-oriented economic structure is imperative. Third, leveraging the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RCEP) to strengthen regional cooperation is crucial. Reducing regulatory barriers between countries will be essential to promoting the complementary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 Ⅲ. 서비스 수출의 추세와 특징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및 가설 설정
      • Ⅲ. 서비스 수출의 추세와 특징
      • Ⅳ. 실증분석
      • Ⅴ.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