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심주완,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9 (259): 5-40, 2008
2 손영문, "조각승 인균파 불상조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53-82, 2006
3 임영애,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방위문제와 조성시기. in: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자료의 종합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27-150, 2006
4 문명대, "선운사 대웅보전 무염(無染)작 비로자나삼불상(毘盧遮那三佛像)"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353-378, 2008
5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동악미술사학회 (9) : 91-118, 2008
6 文明大, "무염파(無染派) 목불상의 조성과 설악산 신흥사 목아미타 삼존불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 : 63-82, 2003
7 陳淸香, "齋明寺舊藏卷軸佛畵-以三寶佛畵爲例" 中華佛學硏究所 16 : 325-346, 2003
8 賀世哲, "關于敦煌莫高窟的三世佛與三佛造像" 39 : 67-88, 1994
9 "金山寺誌"
10 宋殷碩, "通度寺聖寶博物館 所藏金銀製阿彌陀三尊佛坐像 硏究" 3 : 105-109, 2005
1 심주완, "조선시대 三世佛像의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59 (259): 5-40, 2008
2 손영문, "조각승 인균파 불상조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6) : 53-82, 2006
3 임영애,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방위문제와 조성시기. in: 송광사 사천왕상 발굴자료의 종합적 연구" 아세아문화사 127-150, 2006
4 문명대, "선운사 대웅보전 무염(無染)작 비로자나삼불상(毘盧遮那三佛像)" 한국불교미술사학회 (30) : 353-378, 2008
5 이용윤, "삼세불의 형식과 개념 변화" 동악미술사학회 (9) : 91-118, 2008
6 文明大, "무염파(無染派) 목불상의 조성과 설악산 신흥사 목아미타 삼존불상의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 : 63-82, 2003
7 陳淸香, "齋明寺舊藏卷軸佛畵-以三寶佛畵爲例" 中華佛學硏究所 16 : 325-346, 2003
8 賀世哲, "關于敦煌莫高窟的三世佛與三佛造像" 39 : 67-88, 1994
9 "金山寺誌"
10 宋殷碩, "通度寺聖寶博物館 所藏金銀製阿彌陀三尊佛坐像 硏究" 3 : 105-109, 2005
11 李樹濤, "河北赤城發現鎏金銅造像窯藏" 51 : 33-38, 2000
12 문명대, "毘盧遮那三身佛圖像의 形式과 祇林寺三身佛像 및 佛畵의 硏究" 15 : 77-99, 1998
13 崔宣一, "朝鮮後期 彫刻僧의 활동과 佛像 硏究" 弘益大學校 2006
14 宋殷碩, "朝鮮後期 佛菩薩像의 着衣法. in: 새로운 발견-조선 후기조각전" 호암미술관 102-109, 2001
15 崔宣一, "朝鮮 後期 全羅道 彫刻僧 色難과 그 系譜" 14 : 35-62, 2000
16 韓國學文獻硏究所, "曹溪山松廣寺史庫. in: 韓國寺志叢書, 第二輯" 亞細亞文化社 1977
17 綺山錫珎, "曹溪山松廣寺史庫 下"
18 林錫珍, "曹溪山 松廣寺誌" 松廣寺 2001
19 정은우, "敬天寺址10層石塔과 三世佛會考" 미술사연구회 (19) : 31-58, 2005
20 劉慧達, "北魏石窟中的'三佛'" 22 : 91-101, 1958
21 문명대, "三身佛의 圖像特徵과 朝鮮時代 三身佛會圖의 硏究. in: 韓國의 佛畵 12-仙巖寺篇" 207-226, 1998
22 송은석, "17세기 전반 曹溪山 松廣寺와 彫刻僧: 覺敏, 應元, 印均" 보조사상연구원 (29) : 295-333, 2008
23 宋殷碩, "17세기 朝鮮王朝의 彫刻僧과 佛像" 서울대학교 2007
24 김광희, "16세기 菩薩像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14 (14): 103-136, 2008
25 문화재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전라남도Ⅲ"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