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망률 전망 모형의 선택과 국민연금 재정효과 분석 = Selection of mortality projection models and analysis of financial effects on national pens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5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hows how to select appropriate mortality projection models and how the projected mortality generated by the selected models can influence the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The future mortality trends are influenced by not only ...

      This paper shows how to select appropriate mortality projection models and how the projected mortality generated by the selected models can influence the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The future mortality trends are influenced by not only the past mortality trends but also various outer factors which are not easy to apply because the application requires subjective decisions. Thus in this paper we choose the projection models based on how accurately the models can reflect past trends on the future. Accuracy tests are performed on 1-factor LC, 2-factor LC, LL, CBD, expanded CBD models and the models are selected based on SSE (Sum of Squares of Errors). The data used for the tests are 1983~2010 abridged life tables of Statistics Korea. Then life expectancies, population structure and financial status of the national pension produced by the selected models are compared with the ones produced by Statistics Korea. The results show that 2-factor LC and LL models are selected as the two best models for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and as of 2060 the life expectancies produced by the selected models are 3.3 years and 2.7 years longer than the ones produced by Statistics Korea, respectively. Therefore the accumulated fund of the national pension is depleted 2 years earlier than the result of the 3rd financial projection of the national pen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망률 전망을 위한 모형의 선택과 전망 결과에 기초한 국민연금의 재정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미래의 사망률 추세는 과거의 추세 외에도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

      본 연구는 사망률 전망을 위한 모형의 선택과 전망 결과에 기초한 국민연금의 재정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미래의 사망률 추세는 과거의 추세 외에도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좋은 전망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답은 아직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외부 요인의 적용은 주관적인 판단을 요구하므로 적용이 쉽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는과거의 추세를 미래에 얼마나 정확히 반영할 수 있는지를 사망률 전망의 기준으로 정하였다. 전망 모형의 선택은 1-요소 LC 모형, 2-요소 LC 모형, LL 모형, CBD 모형, 그리고 CBD 확장모형에대한 적합성 테스트를 통하여 전망 결과와 실제 사망률과의 차이가 가장 작은 모형으로 결정하였다. 테스트에 사용한 데이터는 1983~2010년 통계청 간이 생명표이고 측정은 오차제곱합을 사용하였다. 테스트 결과 남자는 2-요소 LC 모형, 여자는 LL 모형이 가장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두 모형을 각각 남자와 여자의 전망 모형으로 선택하였다. 선택된 모형을 통해 기대수명을 계산한 결과 2060년 기준으로 통계청에서 전망한 기대수명보다 남자는 약 3.3세, 여자는약 2.7세 더 늘어나고 국민연금의 적립기금은 제3차 재정추계 결과보다 2년 당겨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주호, "통계청 생명표에 기초한 100세 이상 사망률 연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379-393, 2016

      2 강중철, "장수리스크를 고려한 사망률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17 (17): 153-178, 2006

      3 백지선,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사망력 모형 연구" 통계청 2011

      4 김성용, "우리나라의 초고령 사망률의 확장에 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1-26, 2011

      5 박유성, "사망률 추계를 위한 오차수정 LC 모형"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9-47, 2013

      6 김세중, "극단치 이론을 이용한 고연령 사망률과 최대 생존연령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4 (24): 129-150, 2013

      7 재정추계분석실,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모형2011" 국민연금연구원 2012

      8 최장훈,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의 기대여명과 이를 적용한 수익비 산출" 한국통계학회 28 (28): 621-641, 2015

      9 Li, J. S. H., "Threshold life tables and their applications" 12 : 99-115, 2008

      10 Coale, Ansley J., "Revised Regional Model Life Tables at Very Low Levels of Mortality" 55 (55): 613-643, 1989

      1 성주호, "통계청 생명표에 기초한 100세 이상 사망률 연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379-393, 2016

      2 강중철, "장수리스크를 고려한 사망률 추정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17 (17): 153-178, 2006

      3 백지선, "장래인구추계를 위한 사망력 모형 연구" 통계청 2011

      4 김성용, "우리나라의 초고령 사망률의 확장에 대한 연구"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1-26, 2011

      5 박유성, "사망률 추계를 위한 오차수정 LC 모형" 한국조사연구학회 14 (14): 19-47, 2013

      6 김세중, "극단치 이론을 이용한 고연령 사망률과 최대 생존연령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리스크관리학회 24 (24): 129-150, 2013

      7 재정추계분석실, "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모형2011" 국민연금연구원 2012

      8 최장훈,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자의 기대여명과 이를 적용한 수익비 산출" 한국통계학회 28 (28): 621-641, 2015

      9 Li, J. S. H., "Threshold life tables and their applications" 12 : 99-115, 2008

      10 Coale, Ansley J., "Revised Regional Model Life Tables at Very Low Levels of Mortality" 55 (55): 613-643, 1989

      11 Gompertz, B., "On the Nature of the Function Expressive of the Law of Human Mortality and on a New Mode of Determining Life Contingencies" 115 : 513-585, 1825

      12 Makeham, W. M., "On the Law of Mortality and the Construction of Annuity Tables" 8 (8): 301-310, 1860

      13 Brass, W., "Mortality Models and Their Users in Demography" 33 (33): 123-142, 1971

      14 Lee, Ronald D., "Modeling and Forecasting U.S. Mortality" 87 (87): 659-671, 1992

      15 Waldron, Hilary, "Literature Review of Long-Term Mortality Projections" 66 (66): 16-30, 2005

      16 최장훈, "Lee-Carter 모형을 통한 데이터 적용 기간에 따른 사망률 추계 비교" 4 (4): 1-21, 2014

      17 백철, "Gompertz사망함수에 의한 고연령 사망률의 추정 절차" 4 (4): 59-77, 2012

      18 Lee, Ronald D.,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Lee-Carter Methods for Forecasting Mortality" 38 (38): 537-549, 2001

      19 Li, Nan, "Coherent mortality forecasts for a group of populations:An extension of the Lee-Carter method" 42 (42): 575-594, 2005

      20 Booth, H., "Applying Lee-Carter under conditions of variable mortality decline" 56 : 325-336, 2002

      21 Jeon, Y., "A gamma kernel density estimation for insurance loss data" 53 : 569-579, 2013

      22 Cairns, Andrew J.G., "A Two-Factor Model for Stochastic Mortality with Parameter Uncertainty: Theory and Calibration" 73 (73): 687-718, 2006

      23 Himes, Christine L., "A Relational Model of Mortality at Older Ages in Low Mortality Countries" 48 (48): 269-291, 1994

      24 국민연금재정추계위원회, "2013 국민연금재정계산-국민연금 장기재정추계"

      25 통계청, "2010~2060 장래인구추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6-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 Journal of the Korean Official Statistics KCI등재
      2020-06-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Sratistics Korea -> Statistics Kore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7-1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Official Statistics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981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