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초등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rimary School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95055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교사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부산광역시의 초등학교 교사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12.0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연령, 근무경력)에 따라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의 하위요인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낙관성과 심리적 안녕감,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양식 중 능동적 양식과 회피분산적 양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낙관성이며, 낙관성과 정서조절양식의 하위변인인 능동적 양식과 회피분산적 양식이 결합될수록 심리적 안녕감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 등에 대해 논의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340 primary school teachers in Busan with Optimism, 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data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340 primary school teachers in Busan with Optimism, 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each. T-test, one-way ANOVA,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ptimism,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gender, age, working experience) of primary school teachers. Second,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motional regulation style and optim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ctive styl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Third, Optimism had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re optimism and active and avoidance style (the subtype of emotional regulation style) were combined strongly, the better psychological well-being could be predicted.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abov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teachers would be improved if teachers` optimism was advanced, the plan for problem-solving was set, the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was used and the use of avoidance style was limited. As a result, when teachers` influence on students was considered, their optimism formed by interpretation style, linguistic habits and behaviors, active emotional regulation style for relieving negative emo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re essential factors for health school life and their life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offere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