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주력하고 있는 교육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및 키워드 분석 = Educational Goal Content Analyse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ork on and Keyword Analy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962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et goals and to evaluate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goals so as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a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pecifi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97 special educators and 26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examined thre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analyzing goal contents and categor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examining student demographic variables that impacted the goals that teachers and students listed; and Research Question 3: identifying the primary key words in teachers’ and students’ goals).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First, the goal contents (social vs. academic vs. non-academic goals) and goal categories (outcome- vs. process-orient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severity of disability was the only factor that impacted specified goal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 the key words from specified goal contents varied between two groups, indicating the word cloud configuration of center and peripheral areas was distin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ut goals from both groups primarily focused on non-academic goa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번역하기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et goals and to evaluate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goals so as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a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t...

      It is essentia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set goals and to evaluate the process of achieving their goals so as to promote their self-deter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al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pecified. Using data collected from 197 special educators and 265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examined three research questions (Research question 1: analyzing goal contents and categor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Research Question 2: examining student demographic variables that impacted the goals that teachers and students listed; and Research Question 3: identifying the primary key words in teachers’ and students’ goals).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First, the goal contents (social vs. academic vs. non-academic goals) and goal categories (outcome- vs. process-oriente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the severity of disability was the only factor that impacted specified goal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ird, the key words from specified goal contents varied between two groups, indicating the word cloud configuration of center and peripheral areas was distinc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ut goals from both groups primarily focused on non-academic goal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vi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학생이 스스로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하는 일련의 과정은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 197명과 특수교사가 지도하는 265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3가지의연구문제(연구문제 1: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연구문제 2: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변인 탐색, 연구문제 3: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진술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 파악)를 살펴보았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는 목표 내용(사회적 vs. 학업적 vs. 비학업적 목표)와 목표 범주(결과 중심 vs. 처리 중심)간에 차이가 나타나 각 목표 내용 및 목표 범주의 비율이 두 집단 간에다르게 보고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개인적 변인(학년, 교육배치 환경, 장애정도) 중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은 장애학생의 장애정도(경도 vs. 중등도 vs. 중도 + 최중도)로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진술한 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는 중심부와 주변부를 이루는 단어들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키워드는 대부분 비학업적 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장애학생이 스스로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하는 일련의 과정은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 197명과 특수교사가 지도하는 265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이 스스로 목표를 수립하고 달성하는 일련의 과정은 학생의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해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특수교사 197명과 특수교사가 지도하는 265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3가지의연구문제(연구문제 1: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의 내용과 범주 비교, 연구문제 2: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변인 탐색, 연구문제 3: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의 진술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 파악)를 살펴보았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는 목표 내용(사회적 vs. 학업적 vs. 비학업적 목표)와 목표 범주(결과 중심 vs. 처리 중심)간에 차이가 나타나 각 목표 내용 및 목표 범주의 비율이 두 집단 간에다르게 보고되었다. 둘째, 장애학생의 개인적 변인(학년, 교육배치 환경, 장애정도) 중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기술한 목표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은 장애학생의 장애정도(경도 vs. 중등도 vs. 중도 + 최중도)로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와 장애학생이 진술한 목표 내용에서 나타난 키워드는 중심부와 주변부를 이루는 단어들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으나, 키워드는 대부분 비학업적 목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옥,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구현: 특수교사 연구회 구성원의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15-142, 2016

      2 태원성,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1-281, 2007

      3 박선미,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부산지역 초등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67-189, 2008

      4 김은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실행의 진전방향성에 대한 고찰: 개인중심접근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24, 2015

      5 김은하, "지적장애 중학생 부모와 교사의 개인중심계획 회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2 (12): 5-34, 2013

      6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259-282, 2011

      7 박재국,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5-47, 2014

      8 김동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57-276, 2009

      9 박윤정, "장애학생이 중심이 되는 IEP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299-315, 2016

      10 이숙향,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전환을 위한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효과적 중재방안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3-263, 2008

      1 박경옥, "학교 교육과정과 연계한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및 구현: 특수교사 연구회 구성원의 인식 및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115-142, 2016

      2 태원성,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261-281, 2007

      3 박선미, "초등 특수학급 교사의 개별화교육계획(IEP) 운영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부산지역 초등 특수학급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67-189, 2008

      4 김은하,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과 실행의 진전방향성에 대한 고찰: 개인중심접근 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1-24, 2015

      5 김은하, "지적장애 중학생 부모와 교사의 개인중심계획 회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특수교육연구소 12 (12): 5-34, 2013

      6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어려움과 운영 방향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국립특수교육원 18 (18): 259-282, 2011

      7 박재국,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7 (57): 25-47, 2014

      8 김동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개별화교육운영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 실태"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57-276, 2009

      9 박윤정, "장애학생이 중심이 되는 IEP 참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실태" 한국특수교육학회 51 (51): 299-315, 2016

      10 이숙향, "장애학생의 일반교육과정 접근과 전환을 위한 자기결정 증진의 영향 및 효과적 중재방안 고찰"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3-263, 2008

      11 서효정, "장애학생의 개별화교육계획(IEP) 협의 과정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미국 중재연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435-464, 2015

      12 정덕영, "워드클라우드를 이용한 기술트렌드 분석" 26 (26): 17-18, 2016

      13 노형남, "워드 클라우드에 의한 환대 경영 전략" 대한관광경영학회 29 (29): 335-353, 2014

      14 신종호, "생애목표유형이 학업적 자기개념, 학업노력,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 -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 27 (27): 161-180, 2013

      15 노진아,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개별화된 교육 계획안의 장기 목적과 단기 목표의 현황 및 향후방향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01-118, 2008

      16 김양화, "미국과 한국의 IEP 변화과정 고찰 및 지적장애학생 IEP 운영의 발전 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48 (48): 55-79, 2014

      17 박수진, "농촌개발 연구동향에 관한 사회연결망분석 : 주제어 중심 구조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 32 (32): 29-43, 2016

      18 박은정, "남녀 고등학생의 생애목표 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차이"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27, 2016

      19 이숙향,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39-369, 2010

      20 박윤정, "국내 장애학생의 IEP 참여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를 위한 문항 개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8 (18): 25-48, 2016

      21 정주영, "교육 내용의 특성에 따른개별화교육계획 교육 목표 개발 방법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171-194, 2008

      22 김정삼, "개별화교육계획의 실제 및 교사 요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22, 2011

      23 송수일, "개별화교육계획(IEP) 참여에 대한 정신지체학생 부모의 인식 분석과 개선 방안"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9-43, 2007

      24 Johnson, L. J., "Using content analysis to examine the verbal or written communication of stakeholders within early intervention" 17 : 73-79, 1993

      25 Landis, J. R.,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33 : 159-174, 1977

      26 Gabrielsen, L. E., "The adolescent life goal profile scale :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ements of life goals among young people" 13 (13): 1053-1072, 2012

      27 Test, D. W., "Student involvement in 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meetings" 70 (70): 391-412, 2004

      28 박서연, "SN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맛집의 요약적 키워드를 시각화시킨 워드클라우드 제공 서비스" 한국통신학회 268-269, 2015

      29 Bronk, K. C., "Purpose in life among high ability adolescents" 21 (21): 133-145, 2010

      30 Agran, M., "Promoting transition goals and selfdetermination through student-directed learning : The Self-Determined Learning Model of Instruction" 35 : 351-364, 2000

      31 Wehmeyer, M. L., "Promoting Self-determination i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uildford Press 2007

      32 Pellegrini, A., "Observing children in their natural worlds: A methodological primer" Lawrence Erlbaum 1996

      33 Wehmeyer, M. L., "Mental retard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Teaching students using innovative and research-based strategies" Pearson 2005

      34 Sands, D., "Mental retardation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Teaching students using innovative and research-based strategies"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273-296, 2005

      35 Martin, J., "Increasing student participation in IEP meetings : Establishing the self-directed IEP as an evidenced-based practice" 72 : 299-316, 2006

      36 Williams-Diehm, K., "Goal content analysis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33 (33): 132-142, 2010

      37 Konard, M.,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interventions on the academic skills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30 : 89-113, 2007

      38 Copeland, S. R., "Effects of goal setting on task performance of persons with mental retardation" 37 : 40-54, 2002

      39 Zimmerman, B. J., "Developmental phases in self-regulation : Shifting from process goals to outcome goals" 89 : 29-36, 1997

      40 Kish, M., "Counseling adolescents with LD" 27 : 20-24, 1991

      41 National Secondary Transition Technical Assistance Center, "College and career ready standards and secondary transition plan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42 Shogren, K. A., "Causal Agency Theory : Reconceptualizing a functional model of self-determination" 50 (50): 251-263, 2015

      43 Urdan, T. C., "Beyond a two-goal theory of motivation and achievement : A case for social goals" 65 : 213-243, 1995

      44 Wehmeyer, M. L., "Advances in Learning and Behavioral Disabilities" Emerald Books 173-79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학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nr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5-01-2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pecial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3 1.3 1.503 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