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쓰기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글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 쓰기 수행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글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23861
2016
-
373
KCI등재
학술저널
1-29(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쓰기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글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 쓰기 수행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글에 ...
이 연구는 쓰기 평가의 대상이 되는 글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분석하고 쓰기 수행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글 특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글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글에 적용한 의미망 연결 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작성한 글에서 어떤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지 요인을 탐색하고 탐색된 요인을 객관화함으로써 쓰기 수행에 따라 나타나는 글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글의 구성 요소인 단어가 지닌 개별적 속성과 내부적 결속력을 통계적, 시각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상 수준의 글이 사용된 단어의 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결의 긴밀함을 설명하는 연결 밀도, 군집화를 설명하는 이행성 지표에서는 상 수준이 더 낮았다. (2) 또한 개별 단어들이 글의 구성에서 갖는 위계성인 연결정도 중심성에서는 상, 하 수준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네트워크의 크기를 가중치로 부여한 매개중심성에서는 상 수준의 단어 위계성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개별적, 전체적 특징을 (3) 시각적으로 제시한 연결 패턴에서는 상 수준의 글이 의미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 명확히 밀집되어 있으며 부수적 의미가 핵심 의미로부터 점차 확장되는 양상, 그리고 사용된 단어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동학습과 협력학습에서 팀 구성원의 특성, 팀 멘탈 모델, 팀 효과성 관계 분석
블렌디드 학습 환경에서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 협력학습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집단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