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대국어 한자음 ‘吐’에 관해서 = A Study of Sino-korean ‘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61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a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the sound value of ‘吐’ used in ancient languages. The ‘吐’ used for place names was claimed by scholars as Goguryeo-language or gaya-language. However, such a view is what was mentioned only by ...

      This paper is a discussion on the meaning and the sound value of ‘吐’ used in ancient languages. The ‘吐’ used for place names was claimed by scholars as Goguryeo-language or gaya-language. However, such a view is what was mentioned only by looking at the fragmentary aspect. It is possible to confirm that Sino-korean ‘吐’ is used for place names, person names, official names, etc.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e as reflecting the language of a particular country. First of all, the phonetic value of ‘吐’ can be confirmed from the fact that ‘脫解’ is recorded as ‘吐解’. In this way,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Sino-korean of ‘吐’ in ancient-Korean was reconstructed at / ta / which was influenced by the ancient chinese character. In the place name, you can learn its meaning through other notation ‘堤, 提’. It is difficult to confirm due to restrictions on the material to discuss whether the structure used for the place name and the person's name are the same. However, it can be seen that ‘吐’ that appeared in place names and person names does not reflect the language of a specific coun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고대국어에 사용된 ‘吐’에 관한 것이다. 지명에 사용된‘吐’는 학자에 따라 고구려어 또는 가야어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견해는 단편적인 측면만을 보고 언급된 내용...

      이 논문은 고대국어에 사용된 ‘吐’에 관한 것이다. 지명에 사용된‘吐’는 학자에 따라 고구려어 또는 가야어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견해는 단편적인 측면만을 보고 언급된 내용이 대부분이다. 한자 ‘吐’는 지명, 인명, 관직명 등에 두루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정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 우선, ‘吐’의 음가를 재구할 수 있는것은 ‘脫解’를 ‘吐解’라고 기록한 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대국어에서 ‘吐’의 한자음이 상고음의 영향을 받은 /ta/로 재구되었음을 확인할 수있다. 지명에서는 ‘吐’의 이표기인 ‘堤, 提’를 통해 그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지명과 인명에 사용된 구조가 동일한 것인가를 논하기는 자료의 제약상 확인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지명과 인명을 통해 나타난 ‘吐’는 특정 국가의 언어를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운, "서기 2세기 경 신라의 영역확대" 6 : 17-51, 1982

      2 최중호, "고려시대 거센소리 연구 -고려대장경 각성인 표기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4) : 209-231, 2008

      3 김무림, "고대국어한자음" 한국문화사 2015

      4 최남희, "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연구" 박이정 1999

      5 이인영, "고대 가야지역의 지명어미 ‘吐’에 대하여" 일본연구소 (49) : 259-276, 2011

      6 최남희, "고구려어 연구" 박이정 2005

      7 윤성환, "고구려 후기 ‘대인(大人)’의 실체와 대대로(大對盧)"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5) : 231-279, 2015

      8 이규호, "고구려 對盧의 성격과 역할" 한국사학회 (127) : 137-170, 2017

      9 "韻典網"

      10 이병도, "譯註三國史記(국역편)" 을유문화사 1977

      1 최병운, "서기 2세기 경 신라의 영역확대" 6 : 17-51, 1982

      2 최중호, "고려시대 거센소리 연구 -고려대장경 각성인 표기를 중심으로-" 한국중세사학회 (24) : 209-231, 2008

      3 김무림, "고대국어한자음" 한국문화사 2015

      4 최남희, "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연구" 박이정 1999

      5 이인영, "고대 가야지역의 지명어미 ‘吐’에 대하여" 일본연구소 (49) : 259-276, 2011

      6 최남희, "고구려어 연구" 박이정 2005

      7 윤성환, "고구려 후기 ‘대인(大人)’의 실체와 대대로(大對盧)"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95) : 231-279, 2015

      8 이규호, "고구려 對盧의 성격과 역할" 한국사학회 (127) : 137-170, 2017

      9 "韻典網"

      10 이병도, "譯註三國史記(국역편)" 을유문화사 1977

      11 도동열, "新羅疆域" 8 : 19-29, 1982

      12 정중환, "慶尙南道史(上卷)" 경상남도사편찬원회 1988

      13 이정용, "吐含山 지명에 대하여" 한국지명학회 21 : 293-325, 2014

      14 박승홍, "于尸山國考" 한국지명학회 16 : 157-191, 2010

      15 權仁瀚, "中世國語漢字音訓集成" 제이앤씨 2005

      16 최중호, "≪계림유사≫의 유기음에 대해서" 우리말학회 (18)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2007-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Dong Nam Eo-Mun-Hak-Hoi -> The Society of the Dongnam Language & Literature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2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