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통적 개복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선호하는 과체중 직장암 환자를 위한 수술방법 선택의 의사결정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9월부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333044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전남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 간호학과 , 2008. 2
2008
한국어
610.73 판사항(22)
광주
An outcome index related with the recovery after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for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48 p: 삽도;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적 개복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선호하는 과체중 직장암 환자를 위한 수술방법 선택의 의사결정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9월부터...
본 연구는 전통적 개복수술 보다 복강경 수술을 선호하는 과체중 직장암 환자를 위한 수술방법 선택의 의사결정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9월부터 2007년 3월까지 화순군 소재 C대학교 H병원에서 복강경 수술(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을 받은 76명(과체중군: 27명, 정상체중군: 49명)의 환자 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수술 및 수술 후 회복관련성과 지표를 비교하였다.
수술관련 성과지표는 수술 소요시간, 수술 중 출혈량이었으며 수술 후 회복관련 성과지표는 회복실 체류시간, 장운동 회복 시기, 수술 후 입원기간, 합병증 발생률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동질성 검증은 빈도, 백분율, test를, 성과지표 비교는 test,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정상체중군의 경우 42.9%가 여성이었고, 50-60대의 연령 군은 52.1%이었고 과체중군의 경우 63.0%가 여성이었으며 50-60대가 85.1%였다. 질병관련 특성에 있어서는 과체중군의 경우 59.2%가 3기 직장암이었으며 63.0%가 고혈압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갖고 있었고 정상체중군의 경우 대상자의 57.2%가 3기 직장암이었으며 34.7%가 고혈압이나 당뇨 등 기저질환을 갖고 있어 기저질환에서는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나머지 일반적 ● 질병관련 특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자의 수술관련 성과지표를 비교해 본 결과 수술소요시간(정상체중군: 303.4±50.3분, 과체중군: 314.3±65.6분, t=-0.81, P=0.421)과 수술 중 출혈량(정상체중군: 373.5±275.0ml, 과체중군: 385.2±214.3ml, t=-0.19, P=0.849)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수술 후 회복관련 성과지표인 회복실 체류시간(정상체중군: 66.0±20.8분, 과체중군: 73.5±30.0분, t=-1.17, P=0.248), 장운동 회복시기(정상체중군: 4.6±2.1일, 과체중군: 5.0±2.0일, t=-0.70, P=0.484), 수술 후 입원기간(정상체중군: 9.5±2.4일, 과체중군: 9.5±3.6일, t=-0.10, P=0.920), 합병증 발생률(정상체중군: 18.4%, 과체중군: 25.9%, x²=3.05, P=0.217)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복강경 수술 및 수술 후 회복성과지표는 과체중 환자와 정상체중환자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과체중 환자에게 복강경 수술은 안전한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임상간호사는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복강경 수술 전 과체중 환자의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related outcome index between the normal and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to offer the development of decision guideline for the overweigh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related outcome index between the normal and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to offer the development of decision guideline for the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A retrospective review of data from 76 people’s medical records who received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in the H Hospital of C University during from September 2004 to March 2007.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the operation were operation time,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the operation.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condition of recovery after the operation were the length of recovery-room stay, first bowel movement, the length of hospital stay, complication rate.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recovery after operation was compared classifying normal weighted group(BMI<25) with overweighted group(BMI.25).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Win SPSS 12.0.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patients, 35.5% of patients were overweighted group, and 63.0% were female and 85.1% were in their fifties or sixties. In the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diseases, although 59.2% of patients were the third stage of rectal cancer and 63.0% had the underlying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diabetes and etc. The 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doe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in comparison with normal and overweighted group.
The outcome index related with the recovery in terms of BMI(Body Mass Index, Kg/㎡) were as follows(normal weighted group vs overweighted group); operation time(303.4±50.3minutes vs 314.3±65.6minutes, t=-0.81, P=0.421), the amount of bleeding during operation(373.5±275.0ml vs 385.2±214.3ml, t=-0.19, P=0.849), the length of recovery-room stay(66.0±20.8minutes vs 73.5±30.0minutes, t=-1.17, P=0.248), first bowel movement(4.6±2.1days vs 5.0±2.0days, t=-0.70, P=0.484), the length of hospital stay(9.5±2.4days vs 9.5±3.6days, t=-0.10, P=0.920), complication rate(18.4% vs 25.9%, χ2=3.05, P=0.217). The outcome index were statistically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ltogether.
In conclusion, The recovery of overweighted patients who had a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does not seem to be different from normal patients in terms of the outcome index. Foundation-oriented nursing information for the recovery and convalescence after operation can be offered to help the effective decision before the operation of the overweighted rectal cancer patients who are faced with laparoscopic low anterior resec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