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반도 통일 이후 북한 국영기업의 개혁 전략 = Strategies for Restructuring North Korea's State-owned Enterprises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2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stitutional design of state-owned Enterprise(SOE) system in North Korea is based on the '7・1 economic management reform action' in 2002. The 2002 reform indicates reduction in roles of the party and enhance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in the business sector. However, the management system of SOEs in North Korea is not still separated from the party politics, and management process is strongly controlled by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Therefore, social overhead capital in North Korea, such as electricity, railway and highway, suffers from the continuing lack of investment and in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 the meantime, the productivity of SOEs is very low due to the lack of both investment in production facilities and supply of resour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discusses strategies for the expans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alization by reforms of SOEs in North Korea. In doing so, it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SOEs by industrial sector in North Korea,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 countries. Also it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economic reforms in North Korea and diagnoses problem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outh Korea’s SOEs to integrate South and North Korea’s economy.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plans for the expans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the privatization and structural reform of SOEs in North Korea.
      번역하기

      The institutional design of state-owned Enterprise(SOE) system in North Korea is based on the '7・1 economic management reform action' in 2002. The 2002 reform indicates reduction in roles of the party and enhance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

      The institutional design of state-owned Enterprise(SOE) system in North Korea is based on the '7・1 economic management reform action' in 2002. The 2002 reform indicates reduction in roles of the party and enhancement of effective management systems in the business sector. However, the management system of SOEs in North Korea is not still separated from the party politics, and management process is strongly controlled by the party and the government. Therefore, social overhead capital in North Korea, such as electricity, railway and highway, suffers from the continuing lack of investment and inefficient management system. In the meantime, the productivity of SOEs is very low due to the lack of both investment in production facilities and supply of resourc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discusses strategies for the expans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the promotion of industrialization by reforms of SOEs in North Korea. In doing so, it analyses the current situat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and SOEs by industrial sector in North Korea, and draws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experiences of transition countries. Also it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economic reforms in North Korea and diagnoses problem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nd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outh Korea’s SOEs to integrate South and North Korea’s economy.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plans for the expansion of social overhead capital, the privatization and structural reform of SOEs in North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북한의 국영기업에 대한 현행 소유구조 및 관리체계는 2002년 발표된 ‘7・1경제관리개선조치’에 따른 기업소 운영방안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동 조치는 기업소 운영에서 당의 영향력 축소와 지배인의 역할 강화 등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표방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당조직과 기업경영조직이 미분리되어 있고, ‘대안의 사업체계’를 기반으로 북한 당국은 기업소에 대해 당과 행정조직을 통해 엄격히 통제・관리하고 있다. 북한 사회주의경제체제의 특성상 국영기업에는 일반산업분야의 기업소뿐 아니라 사회간접자본의 건설・관리를 담당하는 정부기업도 포함된다. 하지만 전력, 철도, 도로, 항만, 산업단지 등 산업기반시설에 대한 만성적 투자 부족과 비효율적 관리체계로 인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축적은 매우 열악하며, 또한 생산설비 투자와 자재 공급 부족 등으로 기업소들의 생산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통일 이후 남북경제통합을 위한 통일경제체제 구축을 향한 우선적 과제로서 북한 국영기업의 개혁을 통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및 기업소 사유화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 국영기업 현황으로서 북한의 사회간접자본과 산업별 기업소 실태에 대해 분석하고, 체제전환국가들의 국영기업 개혁사례를 통해 한반도 상황에 적합한 시사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북한의 최근 국영기업 관리체계 개편의 특징과 남북경제협력의 교착상태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북한 국영기업 개혁방안을 고찰한다. 결론에서는 이를 위한 한국 공기업들의 중추적 역할과 함께 남북교류 및 경제협력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검토한다.
      번역하기

      북한의 국영기업에 대한 현행 소유구조 및 관리체계는 2002년 발표된 ‘7・1경제관리개선조치’에 따른 기업소 운영방안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동 조치는 기업소 운영에서 당의 영향력 축...

      북한의 국영기업에 대한 현행 소유구조 및 관리체계는 2002년 발표된 ‘7・1경제관리개선조치’에 따른 기업소 운영방안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동 조치는 기업소 운영에서 당의 영향력 축소와 지배인의 역할 강화 등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표방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당조직과 기업경영조직이 미분리되어 있고, ‘대안의 사업체계’를 기반으로 북한 당국은 기업소에 대해 당과 행정조직을 통해 엄격히 통제・관리하고 있다. 북한 사회주의경제체제의 특성상 국영기업에는 일반산업분야의 기업소뿐 아니라 사회간접자본의 건설・관리를 담당하는 정부기업도 포함된다. 하지만 전력, 철도, 도로, 항만, 산업단지 등 산업기반시설에 대한 만성적 투자 부족과 비효율적 관리체계로 인해 북한의 사회간접자본 축적은 매우 열악하며, 또한 생산설비 투자와 자재 공급 부족 등으로 기업소들의 생산성은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통일 이후 남북경제통합을 위한 통일경제체제 구축을 향한 우선적 과제로서 북한 국영기업의 개혁을 통한 사회간접자본 확충 및 기업소 사유화 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 국영기업 현황으로서 북한의 사회간접자본과 산업별 기업소 실태에 대해 분석하고, 체제전환국가들의 국영기업 개혁사례를 통해 한반도 상황에 적합한 시사점을 확인한다. 이어서 북한의 최근 국영기업 관리체계 개편의 특징과 남북경제협력의 교착상태에 대한 논의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북한 국영기업 개혁방안을 고찰한다. 결론에서는 이를 위한 한국 공기업들의 중추적 역할과 함께 남북교류 및 경제협력 관련 법률의 개정 필요성을 검토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욱, "통일이후 북한 국유재산의 해체와 관련한 법적 고찰 - 부동산을 중심으로 -" 한국재산법학회 31 (31): 125-144, 2014

      2 북한산업경제연구소 편집부, "통일시대 가치창출이 기대되는 북한의 산업시설 공장 기업소"

      3 통일부, "통일백서" 2017

      4 송강, "통일 후 북한 기업 사유화에 관한 상사법적 검토 - 우리나라 귀속기업체 및 구동독 기업의 처리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 (6): 41-91, 2016

      5 김학민, "통일 후 북한 국영기업의 사유화 정책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4): 225-246, 1999

      6 한국교통연구원, "통일 준비 한반도 교통인프라 구축전략 기획 연구" 2013

      7 배진영, "통독 1년의 경제적 평가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8 이상준, "체제전환국가의 사유화와 기업소유 및 지배구조변화*- 러시아, 체크, 폴란드 비교-" 러시아연구소 19 (19): 117-141, 2003

      9 조규진, "체제전환국가들의 기업사유화 및 제품가격변환 과정에 대한 서술적 비교연구 - 러시아·중국·동독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4 (24): 113-136, 2009

      10 고정식, "중국의 계획가격과 시장화의 진전" 한국산업연구원 1997

      1 김성욱, "통일이후 북한 국유재산의 해체와 관련한 법적 고찰 - 부동산을 중심으로 -" 한국재산법학회 31 (31): 125-144, 2014

      2 북한산업경제연구소 편집부, "통일시대 가치창출이 기대되는 북한의 산업시설 공장 기업소"

      3 통일부, "통일백서" 2017

      4 송강, "통일 후 북한 기업 사유화에 관한 상사법적 검토 - 우리나라 귀속기업체 및 구동독 기업의 처리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6 (6): 41-91, 2016

      5 김학민, "통일 후 북한 국영기업의 사유화 정책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4): 225-246, 1999

      6 한국교통연구원, "통일 준비 한반도 교통인프라 구축전략 기획 연구" 2013

      7 배진영, "통독 1년의 경제적 평가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2

      8 이상준, "체제전환국가의 사유화와 기업소유 및 지배구조변화*- 러시아, 체크, 폴란드 비교-" 러시아연구소 19 (19): 117-141, 2003

      9 조규진, "체제전환국가들의 기업사유화 및 제품가격변환 과정에 대한 서술적 비교연구 - 러시아·중국·동독을 중심으로 -" 한국경영사학회 24 (24): 113-136, 2009

      10 고정식, "중국의 계획가격과 시장화의 진전" 한국산업연구원 1997

      11 이종영, "중국상업정책사연구" 삼영사 2002

      12 지만수, "중국대기업의 성장과 한계"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51-200, 2005

      13 에너지경제연구원, "중국 시진핑 정부의 국유기업 개혁과 에너지산업 영향 및 전망" 2015

      14 문익준, "중국 국유기업의 개혁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15 한홍석, "중국 국유기업 개혁의 특징과 금융개혁 과제"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75-106, 2000

      16 김시중, "중국 국영기업 개혁의 전개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3

      17 현영미, "이행기 사회주의 기업의 소유·지배구조 개혁에 관한 연구 : 북한의 기업개혁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2

      18 한국정책금융공사, "북한의 산업 제3장" 75-87, 2010

      19 한국산업은행, "북한의 산업"

      20 박찬홍, "북한의 법제 동향과 기업법제의 개편방향" 통일연구원 23 (23): 55-83, 2014

      21 이석기, "북한의 기업 : 제조업 및 에너지기업 편람" 산업연구원 2014

      22 이주철, "북한의 국영기업관리와 노동정책: 1946∼1948년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46 : 175-207, 1997

      23 권영경, "북한의 국영기업개혁내용과 성공의 가능성 탐색 :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경제학회 16 (16): 103-133, 2004

      24 박형중, "북한의 경제관리체계" 해남 2002

      25 양문수, "북한경제의 구조: 개발과 침체의 메커니즘" 서울대학교 출판부 344-384, 2011

      26 김두얼, "북한경제 발전전략, in 남북통합의 경제적 기초: 이론, 이슈, 정책" 한국개발연구원 72-104, 2013

      27 박영자, "북한 지방국가기관의 구조와 운영실태: 중앙권력의 이중통제 지속과 아래로부터의 변화" 한국정치학회 39 (39): 303-323, 2005

      28 양현모, "북한 중앙행정기관의 변화와 특징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회 18 (18): 103-136, 2008

      29 안석교, "북한 국영기업의 사유화 방안과 북한 경제의 활성화: 한국의 입장에서 본 독일의 사유화 및투자지원제도" 텔코경영연구원 1995

      30 양문수, "북한 국영기업의 관리·운영 실태와 평가" 1 (1): 40-85, 2014

      31 심완섭, "북한 공식매체를 통해 본 산업정책 및 주요 산업・기업 변화 실태" 산업연구원 2015

      32 정형곤, "동유럽 사회주의 경제체제의 개혁과 북한" 5 (5): 51-111, 2002

      33 김창권, "독일통일후 구동독지역 산업구조 변화와 한반도 통일시 정책적 시사점" 한독경상학회 29 (29): 27-50, 2011

      34 노중선, "남북한대화백서" 한울 2000

      35 통일준비위원회, "남북한 정세변화에 따른 다자간 경제협력 패러다임 전환 연구" 2016

      36 김근식, "남북정상회담과 6.15 공동선언: 분석과 평가" 북한연구학회 10 (10): 39-57, 2006

      37 김병대, "남북 경제협력 현황과 추진방향" 11 (11): 15-25, 2009

      38 "국가지식포털 북한지역정보넷(North Korean Human Geography) 인문지리정보관"

      39 배진영, "구동독의 가격체계와 시장경제체제로의 전환"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1

      40 Noland, M., "The Economics of Korean Unification" 3 (3): 255-299, 1999

      41 Noland, M., "Rigorous Speculation: the Collapse and Revival of the North Korean Economy" 28 (28): 1767-1787, 2000

      42 Haggard, S., "Reform from Below: Behavioral and Institutional Change in North Korea" 73 : 133-152, 2010

      43 Gray, K., "Following in China’ footsteps? The Political Economy of North Korean Reform" 30 (30): 51-73, 2017

      44 이석기, "2000년대 북한 기업의 실태 및 산업동향: 북한 공식매체 분석을 중심으로" KDI 3-24,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