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자력 수용성에 관한 실험 연구: 원자력 정보원, 원자력 지식과 거주지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A Experimental Study of Acceptance on Nuclear Energy: Moderating Effects of Types of Massagers, Nuclear Energy Knowledge, and the Proximity of Living around a Nuclear Fac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52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수용 태도에 대한 이해증진과 효율적인 소통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 정보제공자(또는 정보원)가 제공하는 원자력 메시지를 네 종류(①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②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③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 그리고 ④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로 조작하고 각 각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각 원자력 지식 전달 메시지의 영향도는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전반에 대한 지식의 수준(높음 vs. 낮음) 그리고 거주지의 원자력 시설 근접정도(근거리 vs. 원거리)에 따라 조절(moderation)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4 X 2 X 2 모형형식(factorial design)의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y)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보원 주체와 상관없이 부정적 메시지는 이해관계자의 원자력 수용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긍정적 메시지의 영향력은 미비하였다. 또한 같은 정보와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원자력 지식정도에 따라 그 영향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근접정도는 수용도에 주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메시지의 영향과 이원적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에, 수용성 증진을 위한 다차원적 대안과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수용 태도에 대한 이해증진과 효율적인 소통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 정보제공자(또는 정보...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정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수용 태도에 대한 이해증진과 효율적인 소통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원자력 정보제공자(또는 정보원)가 제공하는 원자력 메시지를 네 종류(①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②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부정적인 메시지, ③ 사회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 그리고 ④ 자연과학자가 제공하는 긍정적인 메시지)로 조작하고 각 각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각 원자력 지식 전달 메시지의 영향도는 이해관계자들의 원자력 전반에 대한 지식의 수준(높음 vs. 낮음) 그리고 거주지의 원자력 시설 근접정도(근거리 vs. 원거리)에 따라 조절(moderation)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검정하기 위하여 4 X 2 X 2 모형형식(factorial design)의 실험연구(experimental study)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정보원 주체와 상관없이 부정적 메시지는 이해관계자의 원자력 수용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반면에, 긍정적 메시지의 영향력은 미비하였다. 또한 같은 정보와 메시지를 수신하였다 하더라도 원자력 지식정도에 따라 그 영향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근접정도는 수용도에 주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메시지의 영향과 이원적 조절 효과를 보였다. 이에, 수용성 증진을 위한 다차원적 대안과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mpliance of publics on nuclear energy policy by combining the 3-way interactive roles of different types of messages, nuclear energy knowledge and the proximity of living around a nuclear facility. For the end,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approach by using 1,037 participants in a 4 (messages: a nega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a nega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a posi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or a posi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 2 (nuclear knowledge: high vs. low) × 2 (long vs. short distance of living)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message types, publics were less likely to accept the nuclear energy policy while they received negative messages while the nuclear knowledge has a main impact on the compliance.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of the messages and proximity on the complianc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mpliance of publics on nuclear energy policy by combining the 3-way interactive roles of different types of messages, nuclear energy knowledge and the proximity of living a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mpliance of publics on nuclear energy policy by combining the 3-way interactive roles of different types of messages, nuclear energy knowledge and the proximity of living around a nuclear facility. For the end,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approach by using 1,037 participants in a 4 (messages: a nega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a nega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a positive message of natural scientists, or a positive message of social scientists,) × 2 (nuclear knowledge: high vs. low) × 2 (long vs. short distance of living) 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message types, publics were less likely to accept the nuclear energy policy while they received negative messages while the nuclear knowledge has a main impact on the compliance. And, there was an interactive effect of the messages and proximity on the complianc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th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한 위험판단 분석: 위험지각패러다임과 위험소통모형의 통합 적용을 통해"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13-143, 2014

      2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인의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3 (23): 57-90, 2014

      3 정주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변화" 2011

      4 이태준, "효과적인 원자력 정책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한국광고학회 26 (26): 299-323, 2015

      5 김준홍,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원자력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비개인적 영향가설 검증" 한국언론학회 55 (55): 253-276, 2011

      6 김대중, "인지 및 감정 요인이원자력발전의 개인적ㆍ사회적 수용성에 미치는영향력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원전 홍보방안 수립에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214-238, 2013

      7 목진휴, "위험인식과 정책수용 - 원자력 지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419-448, 2017

      8 오미영,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467-500, 2008

      9 송해룡,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8-248, 2012

      10 임채홍, "원전비리 사건의 부정적 효과와 신뢰기제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31-159, 2014

      1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원전사고와 원자력에 대한 위험판단 분석: 위험지각패러다임과 위험소통모형의 통합 적용을 통해"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13-143, 2014

      2 김서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세계인의 원자력 수용성 태도변화 분석" 한국정책학회 23 (23): 57-90, 2014

      3 정주용,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대국민 원자력 수용성 변화" 2011

      4 이태준, "효과적인 원자력 정책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한국광고학회 26 (26): 299-323, 2015

      5 김준홍, "커뮤니케이션 채널이 원자력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비개인적 영향가설 검증" 한국언론학회 55 (55): 253-276, 2011

      6 김대중, "인지 및 감정 요인이원자력발전의 개인적ㆍ사회적 수용성에 미치는영향력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원전 홍보방안 수립에 주는 시사점 탐색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214-238, 2013

      7 목진휴, "위험인식과 정책수용 - 원자력 지식수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정책학회 26 (26): 419-448, 2017

      8 오미영, "위험을 수반한 과학기술의 낙인효과 :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이 방사선기술 이용 생산물에 대한위험인식과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467-500, 2008

      9 송해룡, "원전주변 지역주민의 위험지각이 위험태도와 위험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38-248, 2012

      10 임채홍, "원전비리 사건의 부정적 효과와 신뢰기제 분석" 한국행정연구원 23 (23): 131-159, 2014

      11 목진휴, "원자력 에너지 정책 요소 만족도와 정책 전반 만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비보상형・비선형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5 (25): 29-55, 2015

      12 강동완, "원자력 수용성 증진방안 : 정부와 언론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191-211, 2008

      13 목진휴, "원자력 수용성 제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증진 활동" 미래창조과학부 2014

      14 박천희, "원자력 수용성 결정에서 지식의 효과와 기능: 객관적 지식과 주관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53 (53): 117-150, 2015

      15 이민재, "원자력 발전의 위험인식, 효용인식, 투명성이 사회적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업경영학회 21 (21): 253-279, 2014

      16 유승엽, "원자력 발전에 대한 국민 신뢰감 회복 PR 정책방안"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287-294, 2013

      17 김영곤, "원자력 갈등해결을 위한 수용성 확보에 관한 연구: 수용성 측정지표를 중심으로" 분쟁해결연구센터 13 (13): 41-76, 2015

      18 정주용,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의 다차원성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행정학회 48 (48): 51-78, 2014

      19 왕재선, "신뢰와 원자력 수용성" 한국정책학회 22 (22): 235-266, 2013

      20 김영욱, "미디어 레퍼토리, 위험특성과 위험커뮤니케이션 인식이 원자력 수용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1-25, 2014

      21 염정윤, "메시지 측면성에 따른 정보원의 설득 효과 연구설득의도의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334-363, 2014

      22 Beck, K. H.,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Arousal upon Attitudes, Belief Acceptance,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107 (107): 239-251, 1979

      23 Fujita, K., "Spatial Distance and Mental Construal of Social Events" 17 (17): 278-282, 2006

      24 Slovic, P., "Perception of risk" 236 : 280-285, 1987

      25 Kahan, D., "Cultural cognition of scientific consensus" 14 (14): 147-174, 2011

      26 Trope, Y., "Construal-level theory of psychological distance" 117 (117): 440-463, 2010

      27 Wildavsky, A., "Choosing Preferences by Constructing Institutions : A Cultural Theory of Preference Formation" 81 : 4-21, 1987

      28 Kanouse, D. 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1"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9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18 1.41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