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정상인과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환자의 엉덩관절 굽힘근 길이,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 척추폄근 근지구력, 보상적 허리뼈 움직임의 비교 = Comparison of Hip Flexor Length,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Gluteus Maximus, Erector Spinae Muscle Endurance, Compensatory Lumbar Movement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73372

      • 저자
      • 발행사항

        창원 :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남대학교 대학원 , 건강과학과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경상남도

      • 형태사항

        58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신두철

      • UCI식별코드

        I804:48002-000000031375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군과 비 허리 통증군에서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 척추폄근 근지구력, 엉덩관절 폄 시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군 16명과 비 허리 통증군 17명 등 총 33명이 본 연구에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통증강도와 장애지수를 설문지를 통해 작성하여 측정하였고, 수정된 토마스 검사를 통해 좌우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엉덩관절 폄 시 무선 근전도 시스템(Delsys-Tringno Wireless EMG system)을 사용하여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자세에서 디지털 듀얼 경사계(Dualar IQ, itechM, USA)를 사용하여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을 측정하였다. 척추폄근 근 지구력은 베어링 소렌센 검사(Biering-sorensen test)를 실시하여 초시계로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데이터를 통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엉덩관절 굽힘근 길이의 단축은 우세측 및 비우세측 모두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5). 엉덩관절 폄 시 척추폄근의 근활성도는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05),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척추폄근의 근지구력은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은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엉덩관절 굽힘근의 단축으로 인해 허리뼈의 보상적 움직임이 증가되고 이는 허리뼈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함으로써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볼기근이 약화되어 척추폄근의 보상적 근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척추폄근의 근지구력 감소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 조절과 척추폄근의 근 지구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또한 허리-골반의 적절한 움직임과 근 수축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를 통하여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군과 비 허리 통증군에서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 척추폄근 근지구력, 엉덩관절 폄 시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의 차...

      본 연구는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군과 비 허리 통증군에서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 활성도, 척추폄근 근지구력, 엉덩관절 폄 시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군 16명과 비 허리 통증군 17명 등 총 33명이 본 연구에 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통증강도와 장애지수를 설문지를 통해 작성하여 측정하였고, 수정된 토마스 검사를 통해 좌우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엉덩관절 폄 시 무선 근전도 시스템(Delsys-Tringno Wireless EMG system)을 사용하여 척추폄근과 큰볼기근의 근활성도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자세에서 디지털 듀얼 경사계(Dualar IQ, itechM, USA)를 사용하여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을 측정하였다. 척추폄근 근 지구력은 베어링 소렌센 검사(Biering-sorensen test)를 실시하여 초시계로 시간을 측정하였다. 이후 수집된 데이터를 통하여 두 그룹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엉덩관절 굽힘근 길이의 단축은 우세측 및 비우세측 모두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p<.05). 엉덩관절 폄 시 척추폄근의 근활성도는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p<.05), 큰볼기근의 근활성도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척추폄근의 근지구력은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5). 보상적 허리뼈 폄과 회전은 허리 통증군에서 비 허리 통증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엉덩관절 굽힘근의 단축으로 인해 허리뼈의 보상적 움직임이 증가되고 이는 허리뼈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함으로써 통증을 유발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큰볼기근이 약화되어 척추폄근의 보상적 근수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척추폄근의 근지구력 감소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환자를 치료함에 있어서 엉덩관절 굽힘근의 길이 조절과 척추폄근의 근 지구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또한 허리-골반의 적절한 움직임과 근 수축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를 통하여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환자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hip flexor length,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the muscl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during the hip joint extension. The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with and without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Method : Thirty-six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hirty-thre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een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and seventeen without low back pain. Three were excluded for not meeting the criteria. Subjects measured pain intensity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through the survey. The hip flexor length was measured through the modified Thomas test.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during the hip joint extension was measured using Delsys-Trigno Wireless EMG System.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was measured by a digital dual inclinometer (Dualar IQ, itechM, USA) when the hip joint was extended. Biering-Sorensen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measuring item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Pain intensity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 (p<.05). Both hip flexor length i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 (p<.05). When the hip joint was extend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was much high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The muscl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and th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was remarkably high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shortening of the hip flexor length can cause pain due to increased level of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which overloads the lumbar spine. In addition, weakened gluteus maximus leads to the compensatory muscle contraction of the erector spinae and has an effect on diminished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Therefore, it is important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back pain need to have treatments not only that can adjust the hip flexor length and improve the muscl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but also control proper lumbar-to-pelvic movement and muscle contraction.
      번역하기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hip flexor length,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the muscl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hip flexor length,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the muscl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during the hip joint extension. The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of subjects with and without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Method : Thirty-six subjects were recruited, and thirty-thre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sixteen with non-specific chronic low back pain and seventeen without low back pain. Three were excluded for not meeting the criteria. Subjects measured pain intensity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through the survey. The hip flexor length was measured through the modified Thomas test.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and the gluteus maximus during the hip joint extension was measured using Delsys-Trigno Wireless EMG System.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was measured by a digital dual inclinometer (Dualar IQ, itechM, USA) when the hip joint was extended. Biering-Sorensen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measuring item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Pain intensity and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 (p<.05). Both hip flexor length in dominant and nondominant leg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 (p<.05). When the hip joint was extend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erector spinae was much high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The muscl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and th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was considerably low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and rotation was remarkably higher in the LBP group than Non-LBP group(p<.05).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the shortening of the hip flexor length can cause pain due to increased level of the compensatory lumbar extension which overloads the lumbar spine. In addition, weakened gluteus maximus leads to the compensatory muscle contraction of the erector spinae and has an effect on diminished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Therefore, it is important patients with non-specific chronic back pain need to have treatments not only that can adjust the hip flexor length and improve the muscle endurance of the erector spinae but also control proper lumbar-to-pelvic movement and muscle contra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v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 6
      • 1-3 연구의 가설 = 7
      • 국문요약 = v
      • 제1장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 1-2 연구의 목적 = 6
      • 1-3 연구의 가설 = 7
      • 제2장 문헌 고찰 = 8
      • 2-1 엉덩관절 굽힘근 길이와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 8
      • 2-2 척추폄근, 큰볼기근 근활성도와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 12
      • 2-3 척추폄근의 근지구력과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 16
      • 2-4 허리 보상적 움직임과 비특이적 만성 허리 통증 = 19
      • 제3장 연구방법 = 23
      • 3-1 연구 설계 = 23
      • 3-2 연구의 대상 및 절차 = 24
      • 3-3 측정 도구와 자료수집 과정 = 26
      • 3-4 변수의 선정 = 33
      • 3-5 분석 방법 = 34
      • 제4장 연구 결과 = 35
      • 4-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5
      • 4-2 연구 대상자의 엉덩관절 굽힘근 길이 비교 = 36
      • 4-3 연구 대상자의 근활성도 비교 = 37
      • 4-4 연구 대상자의 척추폄근 근지구력 비교 = 38
      • 4-5 연구 대상자의 보상적 허리뼈 움직임 비교 = 39
      • 제5장 논의 = 40
      • 제6장 결론 = 43
      • 참고문헌 = 44
      • 부록 1. 한국어 버전 Oswestry의 기능장애 척도 = 52
      • 부록 2. 숫자통증척도 = 53
      • 부록 3. 무선 근전도 시스템 = 54
      • 부록 4. 전극 부착 부위 = 55
      • 부록 5. 디지털 듀얼 경사계 = 56
      • ABSTRACT = 5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