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上古한자음으로 본 ‘개’ ‘돼지’의 어원 = The Origin of the words '개(dog)' and '돼지(pig)': an Archaic Chinese perspectiv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52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ccording to *****(2004),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Chinese - Altaic language, including Korean, quasi-cognative words by the collective and systematical correspondence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native words. we propose that the origin...

      According to *****(2004),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Chinese - Altaic language, including Korean, quasi-cognative words by the collective and systematical correspondence between Archaic Chinese and Korean native words.
      we propose that the origin of two Korean native words 'dog' and 'pig' is related to the Archaic Chinese. 'Dog' and 'pig' were common livestock for the ancient humankind and they appear 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They are first Chinese characters made by the Shang tribe of the Shang dynasty. According to the study of
      傅斯年(1935) and 신용하(2018), the Shang tribe is one part of the ancient the Easter barbarians. If so, the Easter barbarians language would leave some trace 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and the names of their common livestock 'dog' and 'pig' would be also related to the Archaic Chinese.
      The main theoretical streams which look for the origin of ‘dog(<가히)’ and 'pig(<돝) from the Chinese word consider their origins are ‘狗,猪’, but in this study, we propose they come from ‘犬,豚’. The reason is that‘狗,猪’and ‘개<가히, 돼지<돝’are not related etymologically. First, we couldn't find the word‘狗,猪’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Second, the Archaic Chinese‘[ko](狗)/[*tǐɑ](猪)’ of ‘狗,猪’are not similar with ‘가히(개),돝(돼지)’which are Korean native words.
      On the other hands, not only can we find the word‘犬,豚’in the oracle bone inscription, but also their pronunciations‘[kʻiwan](犬)/[*duən]](豚)’phonemically correspond to the Korean native words‘가히,돝’which mean 'dog, pig'.
      Under the same condition, free variations of the main vowel, [-t]:[-n]:[-i] are found in both the Korean dialect and the Archaic Chinese. It is called ‘YIN YANG RU DUI ZHUAN (陰陽入對轉)’in the Archaic Chinese.
      In sum, [*duən](豚-AC) would be replaced by [*duət][*duəi], and [kʻiwan](犬-AC) would be freely replaced by [kʻiwat][kʻiwai]. Thus, the words‘돝(돼지)’‘되+아지(접미사)」돼지’would be derived from the word [*duət][*duəi], and the word ‘가히(>개)’would be derived from the word [kʻiwai].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한자의 중국 상고음(AC)과 한국고유어간의 존재하는 체계적이며 집단적 대응 관계에 의해 이른바 ‘漢-알타이(한국어 포함)준동원어군’의 재구가 가능하다. ...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한자의 중국 상고음(AC)과 한국고유어간의 존재하는 체계적이며 집단적 대응 관계에 의해 이른바 ‘漢-알타이(한국어 포함)준동원어군’의 재구가 가능하다.
      우리는 한국어의 ‘개’와 ‘돼지’의 어원도 해당 한자의 상고음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 ‘개’와 ‘돼지’는 고대 인류의 기본 가축이기에 갑골문에도 등장한다. 최초의 한자인 갑골문은 殷나라 殷族들이 만든 문자인데, 傅斯年(1935)이나 신용하(2018)등의 연구에 의하면 은족은 고대 동이족의 일파인 것으로 확인된다. 그렇다면 그들이 만든 문자인 갑골문에는 고대 동이족 언어가 녹아 있을 수 있기에, 기초 가축명인 ‘개, 돼지’ 또한 해당 한자의 상고음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개(<가히)’와 ‘돼지(<돝)’의 어원을 한자에서 찾는 학설 중 주류는 그 어원을 ‘狗, 猪’에 있다고 보나, 본 논문에서는 ‘犬, 豚’으로 보고자 한다. ‘狗, 猪’와 ‘개<가히, 돼지<돝’가 각각 어원상 관련 없는 이유는 우선 갑골문에 ‘狗, 猪’자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고, 또 ‘狗, 猪’의 한어 상고음(왕력 1957)‘[ko](狗)/[*tǐɑ](猪)’도 한국 고어 ‘가히(개),돝(돼지)’와 유사하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犬, 豚’은 모두 갑골문에 보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음‘[kʻiwan](犬)/[*duən]](豚)’도 ‘개, 돼지’의 한국 고어 ‘가히, 돝’과 밀접한 음운 대응 관계가 있다.
      어휘의 주요모음이 같은 조건하에서 [-t]:[-n]:[-i]형의 자유로운 교체가 한국어 방언과 上古漢語에 공히 존재하는데, 상고 한어에서는 이를 ‘陰陽入對轉’이라 부른다.
      즉, [*duən](豚-AC)은 [*duət][*duəi]로 교체될 수 있고, [kʻiwan](犬-AC)은 [kʻiwat][kʻiwai]로 자유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duət][*duəi]에서 ‘돝(돼지)’‘되+아지(접미사)」돼지’가 파생될 수 있고, [kʻiwai]에서 ‘가히(>개)’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엄익상,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다시보기" 한국문화사 2015

      2 오세준, "한국어 祖語의 “秋聲”系 한자 창제론"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519-542, 2010

      3 金敏洙, "우리말語源辭典 (上下)" 太學社 1997

      4 金敏洙,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1997

      5 서정범, "새국어어원사전" 보고사 2018

      6 徐廷範, "새囯語語源辭典" 보고사 2018

      7 송정석, "살아 움직이는 어원이야기" 정인출판사 2009

      8 신용하,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18

      9 陳泰夏, "개와 돼지의 어원" (99) : 16-19, 2007

      10 司馬光, "類篇" 上海古籍出版社 1988

      1 엄익상, "한국한자음 중국식으로 다시보기" 한국문화사 2015

      2 오세준, "한국어 祖語의 “秋聲”系 한자 창제론" 한국국어교육학회 (85) : 519-542, 2010

      3 金敏洙, "우리말語源辭典 (上下)" 太學社 1997

      4 金敏洙, "우리말 어원사전" 태학사 1997

      5 서정범, "새국어어원사전" 보고사 2018

      6 徐廷範, "새囯語語源辭典" 보고사 2018

      7 송정석, "살아 움직이는 어원이야기" 정인출판사 2009

      8 신용하, "고조선문명의 사회사" 지식산업사 2018

      9 陳泰夏, "개와 돼지의 어원" (99) : 16-19, 2007

      10 司馬光, "類篇" 上海古籍出版社 1988

      11 丁度, "集韻" 學海出版社 1986

      12 陳初生, "金文常用字典" 復文圖書出版社 1992

      13 오세준, "部分上古祭部字“漢-阿對應”比較研究" 한국중국언어학회 (61) : 297-322, 2015

      14 오세준, "論“漢-阿爾泰語準同源詞”" 한국중어중문학회 36 : 1-25, 2005

      15 張舜徽, "說文解字約注" 木鐸出版社 1984

      16 許愼, "說文解字注" 黎明 1978

      17 湯可敬, "說文解字今釋 (上中下)" 岳麓書社 1997

      18 權少文, "說文古均二十八部聲系" 甘肅人民出版社 1987

      19 崔世珍, "訓蒙字會" 大提閣 1973

      20 오세준, "與重紐三等牙喉音字相關的“漢-韓準同源詞”" 중국어문연구회 (38) : 87-114, 2008

      21 龔煌城, "聲韻論叢 第9輯" 學生書局 323-352, 2000

      22 龔煌城, "聲韻論叢 第6輯" 學生書局 195-244, 1997

      23 龔煌城, "聲韻論叢 第1輯" 學生書局 73-96, 1994

      24 于省吾, "甲骨文字詁林 (1-4)" 中華書局 1996

      25 徐中舒, "甲骨文字典" 四川辭書出版社 1995

      26 오세준, "漢알타이 比較로 본 “圭、 奚、 聲”系의 語源" 한국중국언어학회 (33) : 57-112, 2010

      27 王力, "漢語史稿" 波文書局 1957

      28 高本漢, "漢文典" 上海辭書出版社 1997

      29 郭錫良, "漢字古音手冊" 北京大學出版社 1986

      30 金炯秀, "滿洲語蒙古語比較語彙辭典" 螢雪出版社 1995

      31 漢语大字典编辑委员会, "汉语大字典 (1-8冊)" 湖北辞书出版社 1988

      32 國立國語研究院, "標準國語大辭典 (上中下)" 두산동아 2000

      33 陳彭年, "新校正切宋本廣韻" 黎明 1984

      34 傅斯年, "慶祝蔡元培先生六十五嵗論文集" 1935

      35 오세준, "從韓語固有詞看上古漢語重紐脣音三等字" 중국어문연구회 (34) : 27-53, 2007

      36 沈兼士, "廣韻聲系" 中華書局 1985

      37 王延林, "常用古文字字典" 上海辭書出版社 1987

      38 梁柱東, "增訂 古歌硏究" 일조각 1980

      39 崔鶴根, "增補 韓國方言辭典" 明文堂 1990

      40 崔鶴根, "增補 韓國方言辭典" 明文堂 1990

      41 南廣祐, "古語辭典" 教學社 2002

      42 王輝, "古文字通假釋例" 藝文印書館 1993

      43 오세준, "也談上古漢語的音節結構與構擬" 한국중어중문학회 35 : 39-61, 2004

      44 金東昭, "中世韓國語概説" 한국문화사 2002

      45 權仁瀚, "中世韓國漢字音訓集成" 제이앤씨 2009

      46 鄭張尙芳, "上古音系" 上海教育出版社 2013

      47 李方桂, "上古音硏究" 商務印書館 1980

      48 龔煌城, "上古漢語與原始漢藏語帶 r 與 l 複聲母的構擬" (54) : 2001

      49 吳世畯, "『說文』諧聲으로 본‘上古漢語四等帶流音 l 說’" 16 : 283-298, 1998

      50 오세준, "≪說文≫“可聲”系所見的“漢‐阿準同源詞”" 한국중국언어학회 (55) : 21-45, 2014

      51 오세준, "“解聲”系字 漢-韓 비교로 본 한국어 祖語 漢字창제론" 한국국어교육학회 (83) : 539-582, 2009

      52 오세준, "‘旨聲’系相關的‘漢‐阿準同源詞’" 한국중국언어학회 (48) : 181-217, 2013

      53 Schuessler, A., "R and L in Archaic Chinese" 2 (2): 1974

      54 Schuessler, A., "Affixes in Proto-Chinese" 18 :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6 0.841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