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보천교의 고천제와 ‘교단 공개’ = The Gocheon-je (Service to Profess to the Heaven) of Bocheonism (普 天敎) and Unveiling of the Religious 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6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ocheonism (Poch’ŏn’gyo; 普天敎) engaged in rituals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both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and Mt. Hwangseok-san i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19 based on the lunar calendar, Gochun-je, a service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was held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24 Bangjooje system into the 60 Bangjooje system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in Deokam-ri, Jigok-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21 based on the lunar calendar , the country name of ‘Si (時)’ and the religious name of ‘Bohwa’ were declared to the heavens at Mt. Hwangseok-san that encompasses Seoha-myeon and Anui-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From that time, the ‘Chonja-deunggeuk-seol,’ a story in which Cha Wol-gok was crowned as an emperor, was disseminated.
      Around the time when Gocheon service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 persistently requested Bocheonism to be opened up to the public with the intention of controlling it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ligions were to be managed and guided.
      Unless the religious society opened itself up, it could not be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as a core element in the project of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for the paradise of the Later Day would be held. At that time, Cha Wol-gok chose both to open the religious organization up to the public and to hold the Gocheon service.
      Carefully looking into this matter, the choice to open the religious society up to the public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could be held. The rumor that the ‘Gocheon service was a ceremony for the emperor to be crowned’ gave people hope that a new dynasty or a new government would be founded. That is, the Gocheon service was reproduced into a prophecy or rumor empowered with the new potential of Bocheonism. The rumor referred to a religious doctrine based on the Jeonggam-rok and the ‘prophecy of Kang Jeungsan.’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or the Japanese government looked upon the establishing project of a new government as a manifestation of a desire for Korea's independence 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There were two external views regarding Bocheonism that appeared based on it’s opening up and the Gocheon service itself: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ress and intellectuals outside of the Order considered Bocheonism to be a pseudo religion.
      In particular, even nationalists as well as newspapers and magazines criticized it. It was a unusual situation whereby nationalists were against Bocheonism that intended to lead the project for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in Korea that was characterized by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Second, unlike the promise at the time when there was some kind of reconcil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chemed and plotted to divide Bocheonism. In additio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blatantly oppress it.
      Eventually, Bocheonism was spilt into conservative and reformist wings, which caused another spilt, and it became enfeebled. The struggle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reformist factions became serious in a dispute over ownership of a newspaper, the Sidaeilbo, but the fundamental reason why Bocheonism became divided and emasculated was the opening up of this religious organization .
      번역하기

      Bocheonism (Poch’ŏn’gyo; 普天敎) engaged in rituals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both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and Mt. Hwangseok-san i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19 based on the lunar calendar, Gochun-je,...

      Bocheonism (Poch’ŏn’gyo; 普天敎) engaged in rituals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both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and Mt. Hwangseok-san i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19 based on the lunar calendar, Gochun-je, a service whereby avowals were made to the heavens, was held to expand and reorganize the 24 Bangjooje system into the 60 Bangjooje system at the foot of Mt. Daehwang-san in Deokam-ri, Jigok-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In September 1921 based on the lunar calendar , the country name of ‘Si (時)’ and the religious name of ‘Bohwa’ were declared to the heavens at Mt. Hwangseok-san that encompasses Seoha-myeon and Anui-myeon, Hamyang-gun, Gyeongsang-namdo.
      From that time, the ‘Chonja-deunggeuk-seol,’ a story in which Cha Wol-gok was crowned as an emperor, was disseminated.
      Around the time when Gocheon services were held, the Japanese government persistently requested Bocheonism to be opened up to the public with the intention of controlling it based on the principle that religions were to be managed and guided.
      Unless the religious society opened itself up, it could not be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as a core element in the project of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for the paradise of the Later Day would be held. At that time, Cha Wol-gok chose both to open the religious organization up to the public and to hold the Gocheon service.
      Carefully looking into this matter, the choice to open the religious society up to the public guaranteed that the Gocheon service could be held. The rumor that the ‘Gocheon service was a ceremony for the emperor to be crowned’ gave people hope that a new dynasty or a new government would be founded. That is, the Gocheon service was reproduced into a prophecy or rumor empowered with the new potential of Bocheonism. The rumor referred to a religious doctrine based on the Jeonggam-rok and the ‘prophecy of Kang Jeungsan.’ However, at that time, the public or the Japanese government looked upon the establishing project of a new government as a manifestation of a desire for Korea's independence or the establishment of a new government.
      There were two external views regarding Bocheonism that appeared based on it’s opening up and the Gocheon service itself: First, the Japanese government, the press and intellectuals outside of the Order considered Bocheonism to be a pseudo religion.
      In particular, even nationalists as well as newspapers and magazines criticized it. It was a unusual situation whereby nationalists were against Bocheonism that intended to lead the project for establishing a new government in Korea that was characterized by a strong sense of nationalism. Second, unlike the promise at the time when there was some kind of reconciliation, the Japanese government schemed and plotted to divide Bocheonism. In addition, the government attempted to blatantly oppress it.
      Eventually, Bocheonism was spilt into conservative and reformist wings, which caused another spilt, and it became enfeebled. The struggle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reformist factions became serious in a dispute over ownership of a newspaper, the Sidaeilbo, but the fundamental reason why Bocheonism became divided and emasculated was the opening up of this religious organization .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보천교(普天敎)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대황산록(大皇山麓)과 황석산(黃石山)에서각각 하늘에 고(告)하는 제(祭)를 지냈다. 1919년 음력 9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덕암리(德庵里)의 대황산록에서 24방주제를 60방주제로 확대, 개편하는 고천제를 지냈다. 1921년 음력 9월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西下面)과안의면(安義面)에 걸쳐있는 황석산(黃石山)에서 ‘시(時)’라는 국호(國號)와 ‘보화(普化)’라는 교명(敎名)을 고천(告天)하였다. 이때부터 차월곡이 천자(天子)로 등극하였다는 ‘천자등극설’이 널리 퍼졌다.
      고천제 즈음해서 일제는 종교선도주의(宗敎善導主義)에 입각하여 비밀결사적인보천교를 세간에 드러나게 해 통제하겠다는 취지에서 보천교의 공개를 집요하게요구하였다. 교단 공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탄압은 물론이고, 후천선경 신정부건설운동의 정점이 되는 고천제(告天祭)의 개최도 장담할 수가 없었다. 이때 차월곡은 교조직의 공개와 고천제 모두를 선택하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조직의 공개라는 선택에는 고천제의 개최가 담보돼 있었다.
      ‘고천제는 천자 등극식’이라는 풍설은 당시 민중의 새 왕조 개창 또는 후천선경신정부 건설이라는 염원을 갖게 하였다. 즉 고천제는 보천교라는 새로운 가능성에 힘입은 채 예언이나 풍설로 재생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풍설은 『정감록』과‘강증산의 예언’이 바탕이 되어 만들어진 종교적 교의(敎義)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당시의 민중이나 일제는 후천선경의 신정부 건설운동을 한국의 독립과 새로운 정부 수립 등의 민족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다보았다.
      고천제와 보천교의 공개로 인해 나타난 보천교에 대한 대외적인 인식은 다음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일제와 언론, 그리고 교단 밖 지식인들에게 보천교는 ‘유사종교 또는 사이비종교’로 각인되었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물론이고, 당시 민족주의자들까지 보천교 비난에 가세하였다. 이는 가장 민족주의적인 방법으로 한국에서의 새로운 정부 수립 운동을 기도한 보천교를 민족주의자들이 부정한, 특이한사건이다. 둘째, 회유 당시의 약속과는 달리, 일제는 보천교의 분열을 획책하였다. 아울러 노골적인 강경 일변도의 탄압도 늦추지 않았다. 급기야 보천교는 보수와 혁신으로 갈라서게 되었고, 이러한 분란은 또 다른 분란을 야기하면서 보천교는 무력화돼 갔다. 보수와 혁신 세력 간의 다툼이 본격화된 것은 《시대일보》 인수로 인한 분란이었지만, 그 분란의 배경에는 ‘보천교 공개’가 있었다.
      번역하기

      보천교(普天敎)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대황산록(大皇山麓)과 황석산(黃石山)에서각각 하늘에 고(告)하는 제(祭)를 지냈다. 1919년 음력 9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덕암리(德庵里)의...

      보천교(普天敎)는 경상남도 함양군의 대황산록(大皇山麓)과 황석산(黃石山)에서각각 하늘에 고(告)하는 제(祭)를 지냈다. 1919년 음력 9월에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덕암리(德庵里)의 대황산록에서 24방주제를 60방주제로 확대, 개편하는 고천제를 지냈다. 1921년 음력 9월에는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西下面)과안의면(安義面)에 걸쳐있는 황석산(黃石山)에서 ‘시(時)’라는 국호(國號)와 ‘보화(普化)’라는 교명(敎名)을 고천(告天)하였다. 이때부터 차월곡이 천자(天子)로 등극하였다는 ‘천자등극설’이 널리 퍼졌다.
      고천제 즈음해서 일제는 종교선도주의(宗敎善導主義)에 입각하여 비밀결사적인보천교를 세간에 드러나게 해 통제하겠다는 취지에서 보천교의 공개를 집요하게요구하였다. 교단 공개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탄압은 물론이고, 후천선경 신정부건설운동의 정점이 되는 고천제(告天祭)의 개최도 장담할 수가 없었다. 이때 차월곡은 교조직의 공개와 고천제 모두를 선택하였다. 그런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교조직의 공개라는 선택에는 고천제의 개최가 담보돼 있었다.
      ‘고천제는 천자 등극식’이라는 풍설은 당시 민중의 새 왕조 개창 또는 후천선경신정부 건설이라는 염원을 갖게 하였다. 즉 고천제는 보천교라는 새로운 가능성에 힘입은 채 예언이나 풍설로 재생산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풍설은 『정감록』과‘강증산의 예언’이 바탕이 되어 만들어진 종교적 교의(敎義)이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당시의 민중이나 일제는 후천선경의 신정부 건설운동을 한국의 독립과 새로운 정부 수립 등의 민족운동의 관점에서 바라다보았다.
      고천제와 보천교의 공개로 인해 나타난 보천교에 대한 대외적인 인식은 다음두 가지가 있다. 첫째, 일제와 언론, 그리고 교단 밖 지식인들에게 보천교는 ‘유사종교 또는 사이비종교’로 각인되었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물론이고, 당시 민족주의자들까지 보천교 비난에 가세하였다. 이는 가장 민족주의적인 방법으로 한국에서의 새로운 정부 수립 운동을 기도한 보천교를 민족주의자들이 부정한, 특이한사건이다. 둘째, 회유 당시의 약속과는 달리, 일제는 보천교의 분열을 획책하였다. 아울러 노골적인 강경 일변도의 탄압도 늦추지 않았다. 급기야 보천교는 보수와 혁신으로 갈라서게 되었고, 이러한 분란은 또 다른 분란을 야기하면서 보천교는 무력화돼 갔다. 보수와 혁신 세력 간의 다툼이 본격화된 것은 《시대일보》 인수로 인한 분란이었지만, 그 분란의 배경에는 ‘보천교 공개’가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崔公燁, "林圭. 3․1運動 民族代表 48인중의 한 분" 사단법인 전북애향운동본부 1984

      2 안후상, "황극교의 신국가 건설운동" 정읍학연구회 2018

      3 이강오, "한국의 신흥종교. 자료편 제1부. 증산교계 총론. 그 연혁과 교리의 개요" 전북대문리과대학 7 : 1966

      4 이강호, "한국신흥종교총람" 대흥기획 1922

      5 태극도편찬원, "태극도주 조정산 전기" 태극도출판부 1992

      6 김정인,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9

      7 윤해동,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도서출판 책과 함께 2013

      8 "조선일보"

      9 김탁, "조선의 예언사상(상․하)" 북코리아 2016

      10 황선명, "잃어버린 코뮌" 한국신종교학회 2 : 2000

      1 崔公燁, "林圭. 3․1運動 民族代表 48인중의 한 분" 사단법인 전북애향운동본부 1984

      2 안후상, "황극교의 신국가 건설운동" 정읍학연구회 2018

      3 이강오, "한국의 신흥종교. 자료편 제1부. 증산교계 총론. 그 연혁과 교리의 개요" 전북대문리과대학 7 : 1966

      4 이강호, "한국신흥종교총람" 대흥기획 1922

      5 태극도편찬원, "태극도주 조정산 전기" 태극도출판부 1992

      6 김정인, "천도교 근대 민족운동 연구" 한울아카데미 2009

      7 윤해동, "종교와 식민지 근대-한국 종교의 내면화. 정치화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도서출판 책과 함께 2013

      8 "조선일보"

      9 김탁, "조선의 예언사상(상․하)" 북코리아 2016

      10 황선명, "잃어버린 코뮌" 한국신종교학회 2 : 2000

      11 김정인,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과 종교" 국학자료원 2002

      12 성주현,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과 종교" 국학자료원 2002

      13 안후상, "일제강점기 태인 무극대도의 민족운동 연구" 정읍학연구회 4 : 2018

      14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자료집 편찬위원회,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자료집(Ⅱ)"

      15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자료집 편찬위원회,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자료집(Ⅰ)"

      16 김방룡,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도서출판기역 2017

      17 안후상,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도서출판 기역 2017

      18 안후상,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도서출판 기역 2017

      19 안후상,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민족운동" 도서출판 기역 2017

      20 안후상, "일제강점기 보천교의 독립운동 - 온라인 국가기록원의 ‘독립운동관련판결문’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연구원 (70) : 431-476, 2016

      21 안후상, "유토피아를 꿈꾸다. 정읍의 민족종교" 정읍시립박물관 2018

      22 박광수,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자료집총서 『사상휘보』 민족종교 관련기사-조선총독부 고등법원(1934~43년-" 집문당 2016

      23 안후상, "식민지시기 보천교의 ‘공개’와 공개 배경" 한국신종교학회 26 (26): 145-181, 2012

      24 "시대일보"

      25 안후상, "보천교의 반일성 연구’를 위한 연구사적 검토"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39 : 2016

      26 김재영, "보천교와 한국의 신종교" 신아출판사 2010

      27 안후상, "보천교와 물산장려운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19 : 1989

      28 "보광(普光)"

      29 조경달, "민중과 유토피아" 역사비평사 2009

      30 안후상, "미륵불교의 ‘신인동맹 사건’" 정읍학연구회 (창간) : 2014

      31 안후상, "무오년 제주법정사 항일항쟁 연구"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15 : 1996

      32 "매일신보"

      33 "동아일보"

      34 "독립운동관련판결문" 국가기록원

      35 김철수, "김철수 친필유고" 역사문제연구소 (5) : 1989

      36 "국가보훈처 유공자 정보(공훈전자사료관)"

      37 윤선자, "韓國近代史와 宗敎" 국학자료원 2002

      38 南山太郞, "秘密結社の解剖(四)" 10 (10): 1922

      39 "産業界 창간호"

      40 李正立, "甑山敎史" 甑山敎本部 1977

      41 "洋村及外人事情一覽"

      42 "正義府ト普天敎トノ軍資金募集計劃ニ關スル件"

      43 "朝鮮重大思想事件經過表"

      44 "朝鮮重大思想事件經過表"

      45 村山智順, "朝鮮の類似宗敎" 朝鮮總督府中樞院 1935

      46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 -韶和八年․十三年"

      47 김재영, "普天敎의 天子登極說의 實體" 한국종교사학회 9 : 2001

      48 "普天敎沿革史(上·下)"

      49 "普天敎一般"

      50 이강오, "普天敎" 전북대학교 8 : 1966

      51 윤이흠, "日帝의 韓國 民族宗敎 抹殺策 -그 정책의 실상과 자료" 고려한림원 1997

      52 김홍철, "日帝下 甑山敎의 民族運動에 관한 연구" 증산사상연구회 14 : 1988

      53 안후상, "日帝下 普天敎運動 -교주 차경석을 중심으로(하)" 서해문집 5 : 1995

      54 안후상, "日帝下 普天敎運動 -교주 차경석을 중심으로(상)" 서해문집 4 : 1992

      55 노길명, "崇山朴吉眞博士古稀記念論集 韓國近代宗敎思想史" 원광대출판국 1984

      56 김탁, "宗敎的 豫言은 실현될 것인가-증산교를 중심으로-" 13 : 1988

      57 "大正十一年 公州地方法院 豫審判決文"

      58 "大正7年度 刑事事件簿"

      59 "受刑人名簿"

      60 "刑事事件簿, 第29號"

      61 안후상, "仙道系列의 豫言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한국신종교학회 6 : 2002

      62 백원철, "19세기 사상의 거처-근대 민중종교운동과 고창" 도서출판 기역 2013

      63 김재영, "1920년대 보천교의 민족운동에 대한 경향성" 전북사학회 (31) : 139-163, 2007

      64 안후상, "1920년대 보천교의 ‘권총단 사건’ 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