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용산구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79601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 행정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50U 판사항(4)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ii,81p : 삽도 ; 26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김혁
        참고문헌 : p.63-72

      • 소장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행정환경이 급변하면서 국민이나 주민들이 공공부문에 기대하는 행정수요는 갈수록 다양하고 까다롭게 제시되고 있어 시대에 맞는 가변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이러한 행정...

      행정환경이 급변하면서 국민이나 주민들이 공공부문에 기대하는 행정수요는 갈수록 다양하고 까다롭게 제시되고 있어 시대에 맞는 가변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이러한 행정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공무원들의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적이고도 현실적인 방안 가운데 하나는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높이는 일이다. 이에 따라 공무원 교육훈련의 중요성이 이슈화 되고 관련제도도 정비되면서 공무원의 교육훈련에 대한 관심은 증대되어 오고 있으나 교육훈련의 효과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며 타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중론이다.
      기존의 지적과 비판대로라면 공공부문의 경쟁력과 생산성 제고를 위해 공무원 교육훈련을 효과적으로 재설계하는 일은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먼저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아내어 반영하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교육훈련의 궁극적인 목적은 직무수행능력의 향상에 있으므로 본 연구는 효과성의 다차원적 정의 중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였고, 또한 선행연구의 이론적 바탕위에 지방직 공무원의 특성을 반영하는 전이 요인과 연구대상으로 삼은 용산구 공무원들에게 영향을 미칠만한 전이 요인을 반영하였다. 한편 교육훈련 전이의 자기보고방식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본인의 교육훈련 전이 뿐만 아니라 동료, 상 ․ 하위 직급자의 전이도 함께 응답하도록 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실증적 자료 확보를 위해 서울시 용산구 공무원 365명을 그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응답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자료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분석결과 추출된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근무경력을 제외한 모든 독립변수들이 교육훈련 전이에 대하여 정(正)의 인과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인 특성인 학습동기와 피훈련자의 교육훈련 전이가 유의한 관계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였으며,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성이 높은 피훈련자 일수록 교육훈련전이가 높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상황적 특성인 인센티브, 리더십 및 조직분위기, 재량권의 변수와 교육훈련 전이와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하여 교육훈련 전이를 높이기 위해 조직적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할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근무경력은 교육훈련 전이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ong with a radical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people's demands for public administration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Thus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flexible role as a public servant appropriate with the changing era. To e...

      Along with a radical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people's demands for public administration become increasingly diverse and complex. Thus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flexible role as a public servant appropriate with the changing era.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is one of the realistic and effective plans to respond the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and improve their ability. Accordingly the interest in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arises as the significance of the training of public servants is highlighted and related rules are newly amended. However the effect of such education training failed to meet the expected demand. A general concern is made on a relatively lower efficiency of the education training compared with other fields.
      According to the above critical points, it is urgent to redesign the current education training for public servants more effectively to enhance competitiveness and productivity in public sector. First and foremost, influence factors of the education training efficiency should be identified and reflected on the redesigning.
      An ultimate aim of education training is to enhance job performance. Accordingly influence factors for a 'training transfer' among multidimensional definitions of its efficiency are empirically identifi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servants in local government. Furthermore, built on the theoretical achievement of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raining transfer factors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servants in Korean local government and training transfer factors which might influence public servants in Yongsan-gu as the study subjects. Here, not only the training transfer of the author of this study but that of the colleagues', senior and subordinate co-workers' were recorded to complement the limit of the self-reporting of the training transfer. The results are compared and analyzed as follow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365 public servants in Yongsan-gu, Seoul to collect empirical data. By using SPSS 18.0 program,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istics and a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perceptions of the survey respondents. Moreover a factor analysis was made to evaluat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data,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verify hypothesis with a factor yielded from the factor analysis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ll in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work experience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Such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finding of the previous studies in which the motivation for learning as individual characteristic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of the trainee. When the trainees' self-efficiency and self-initiative were high, their training transfer was perceived to be high as well.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training transfer and circumstantial characteristics including incentives, leadership, atmosphere at workplace and discretionary power. Consequently, an effort should be made in the level of organization to enhance training transfer. On the other hand, work experience had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training transf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4
      • 제2장 공무원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5
      • 제1절 공무원 교육훈련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목적 1
      • 제2절 연구범위와 방법 4
      • 제2장 공무원 교육훈련의 효과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 5
      • 제1절 공무원 교육훈련 5
      • 1. 지방공무원 능력발전의 필요성 5
      • 2. 교육훈련의 개념 6
      • 3. 교육훈련의 목적 7
      • 4. 교육훈련의 필요성 8
      • 5. 교육훈련의 종류 10
      • 제2절 교육훈련 효과성 12
      • 1. 교육훈련 효과성의 개념 12
      • 2.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의 목적 12
      • 3. 교육훈련 효과성 평가방법 13
      • 제3절 교육훈련 전이 17
      • 1. 교육훈련 전이의 의의 17
      • 2. 교육훈련 전이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18
      • 3.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 제3장 연구설계 30
      •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30
      • 1. 연구모형의 설계 30
      • 2. 가설의 설정 31
      •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방법 32
      • 1. 종속변수: 교육훈련 전이 32
      • 2. 독립변수 33
      • 제3절 자료 수집방법 및 설문지 구성 37
      • 1. 자료 수집방법 37
      • 2. 설문지 구성 37
      • 제4절 자료 분석 방법 39
      • 제4장 연구결과 및 해석 40
      • 제1절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0
      • 제2절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44
      • 1. 독립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44
      • 2. 종속변수의 기술통계 분석 결과 47
      • 제3절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49
      • 제4절 교육훈련 전이에 대한 변수들의 영향력 분석 53
      • 1. 회귀분석 결과 53
      • 2. 분석결과의 논의 57
      • 제5장 결론 61
      • 참고문헌 63
      • 부록 73
      • Abstract 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