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현대 미술의 반(半)투명한 문맥에 대한 고찰 : 전환기에 중국 현대회화의 작품연구와 시대 배경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ranslucent contextually of Chinese contemporary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7385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bout the big trend of Chinese society's open, the value of art toward in diversified change exist of haven't open and get around of the direction of a certain boundary and its turned problem, with painting in the translucent for contain is central of research.

      The key word in this thesis is "translucent", use it to the parable since the end of 70's, the Chinese society opens processed. Chinese contemporary art of development current, The Chinese society is descend by the big tide of the facing market economy of the socialism system the system rapid change, formation of present in the complicated condition of lack definition feature.

      Used "translucent" to record background of the rapid variety by Chinese contemporary painting, which is similar to descend the change condition of painting history.

      The chapter 3 is center of this thesis, at chapter 2, first record to say the relevant modern trend leads into the introduction of background circumstance after China in 80's open, and secondly lay particular emphasis on Chinese painters a research to after the mimicry of western surface form across experience and practice to the western and contemporary art current.

      Research of about of China contemporary art the thing square culture and the antinomy of principle in 20 centuries, democracy and despotism, the culture is imperialistic and colonize the system problem of doctrine, the art academic system and market, various antinomy of sharp opposition condition in, continuously with conflict, cater to, fabricate, compromise etc. method existed Chinese contemporary art condition.

      The modern Chinese cultural of the change is come from west culture, the western art is also the important object of Chinese contemporary art reference. The western art leads to go in to also by all means urge the Chinese art from the tradition change to contemporary, but this kind of process seem to be very difficulties.

      Chapter 3 of thesis is mention to researched in chapter 2, first is'85 art tide, secondly is new expressionism, new realism, pop art...etc. the of analysis of the modern art current, the end is to depiction diverse art form and phenomenon of investigation in nowadays.

      Across this investigation, carry on a research to the representative's painter and the work in chapter 4. Recently famos "Chinese advanced art" in the world begin from the end of 1970's, in the painting, photograph, move art vedio, performance...etc., until still keep encountering a government an interference and inhibitting in mid 90's, along with the arrival in modern era also acquired gradually more open of social milieu.

      World's understanding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is about the artist who passes to experience affairs in"Tienanemen", that generation, with political pop to reflect of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 Included Zhang Xiao Gang just at inside of 1 and 2 era advanced artists in China, but recent with its difference obvious of the new generation has already shown up gradually.

      Quickly develop along with the Chinese economy with political democratization progress of thorough, the need of the public to cultural also immediately and gradually strengthens.

      This thesis in China of investigation contemporary artists, for acquiring to more extensively focus attention, develop utmost performance dint, this in with basic political setup, law, ethics, customs etc. produced various conflict. I would intend to come to in brief comb the mixed but lack definition history condition that the Chinese painting become to the research of grain with this.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bout the big trend of Chinese society's open, the value of art toward in diversified change exist of haven't open and get around of the direction of a certain boundary and its turned problem, with painting in the translucent for contai...

      This thesis is about the big trend of Chinese society's open, the value of art toward in diversified change exist of haven't open and get around of the direction of a certain boundary and its turned problem, with painting in the translucent for contain is central of research.

      The key word in this thesis is "translucent", use it to the parable since the end of 70's, the Chinese society opens processed. Chinese contemporary art of development current, The Chinese society is descend by the big tide of the facing market economy of the socialism system the system rapid change, formation of present in the complicated condition of lack definition feature.

      Used "translucent" to record background of the rapid variety by Chinese contemporary painting, which is similar to descend the change condition of painting history.

      The chapter 3 is center of this thesis, at chapter 2, first record to say the relevant modern trend leads into the introduction of background circumstance after China in 80's open, and secondly lay particular emphasis on Chinese painters a research to after the mimicry of western surface form across experience and practice to the western and contemporary art current.

      Research of about of China contemporary art the thing square culture and the antinomy of principle in 20 centuries, democracy and despotism, the culture is imperialistic and colonize the system problem of doctrine, the art academic system and market, various antinomy of sharp opposition condition in, continuously with conflict, cater to, fabricate, compromise etc. method existed Chinese contemporary art condition.

      The modern Chinese cultural of the change is come from west culture, the western art is also the important object of Chinese contemporary art reference. The western art leads to go in to also by all means urge the Chinese art from the tradition change to contemporary, but this kind of process seem to be very difficulties.

      Chapter 3 of thesis is mention to researched in chapter 2, first is'85 art tide, secondly is new expressionism, new realism, pop art...etc. the of analysis of the modern art current, the end is to depiction diverse art form and phenomenon of investigation in nowadays.

      Across this investigation, carry on a research to the representative's painter and the work in chapter 4. Recently famos "Chinese advanced art" in the world begin from the end of 1970's, in the painting, photograph, move art vedio, performance...etc., until still keep encountering a government an interference and inhibitting in mid 90's, along with the arrival in modern era also acquired gradually more open of social milieu.

      World's understanding the Chinese contemporary art is about the artist who passes to experience affairs in"Tienanemen", that generation, with political pop to reflect of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 Included Zhang Xiao Gang just at inside of 1 and 2 era advanced artists in China, but recent with its difference obvious of the new generation has already shown up gradually.

      Quickly develop along with the Chinese economy with political democratization progress of thorough, the need of the public to cultural also immediately and gradually strengthens.

      This thesis in China of investigation contemporary artists, for acquiring to more extensively focus attention, develop utmost performance dint, this in with basic political setup, law, ethics, customs etc. produced various conflict. I would intend to come to in brief comb the mixed but lack definition history condition that the Chinese painting become to the research of grain with th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중국사회가 개방을 향한 전환기의 상황에서, 예술적 가치관 또한 다원적으로 변환되는 속에서, 아직 개방하지 않은 것이나 회피한 것의 한계와 그 변환의 방향이 어디에 있는지 등의 문제를 반투명성을 중심으로 회화적 맥락에서 연구한다.
      본 논문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반(半)투명’1) 이라고 하는 용어는 70년대말부터 진행된 중국사회의 개방과정에 따른 중국현대미술의 흐름을 비유하고자 차용하였다. 즉, 중국 사회가 사회주의 체제로부터 자본제적 시장경제체제로 급격히 변모하는 가운데, 개방개혁시대의 복잡한 상황에 의해 이루어진 불명확한 면목의 뜻으로 사용한 것이다.
      중국 현대회화의 불확실성으로서의 ‘반(半)투명’을 언급하기에 앞서 선행연구로는 이와 같은 급속한 변화에 대한 배경으로서의 역사적 연구와 회화적 변천상황을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체계는 < 제3장 >을 중심으로 하되 < 제2장 >에서는 첫째, 중국의 80년대 개방 후, 새로운 조류의 급속한 유입에 대한 배경상황 소개를 하였으며, 둘째 , 서양미술 표면 형식을 모방한 상황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미술가들이 서양 현대미술 조류의 체험과 실천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데 주력하였다.
      그 것은 곧 20세기 동•서양 문화와 이념의 갈등, 민주와 독재, 문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미술 제도권과 시장의 권력 문제 등 갖가지 모순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투쟁, 영합, 조작, 타협, 화해 등의 방법으로 살아남은 중국 현•당대 미술 상황에 대한 연구이다.
      근•현대 중국 문화의 모든 변혁은 서양 문화가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미술을 포함한 서구 예술은 중국 현대예술의 발전에 중요한 참조대상이 되었다. 서구 미술의 도입과 이를 통한 자극으로 중국 미술이 전통적인 것에서 근•현대적인 것으로 변화, 발전한 것은 필연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길은 대단히 어렵고 곡절이 많았으며 험난하였다.
      논문의 < 제3장 > 에서는 < 제2장 > 에서 성립된 급속한 유입에 대한 연구로서, 첫째 ‘85년 이후 새로운 미술 조류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둘째 신표현주의, 신사실주의, 팝아트 등 현대미술 조류를 쫓아가는 활동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셋째, 오늘날 다양한 미술 양식이 현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 제4장 > 에서는 대표적인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중국 현대미술이 조명을 받고 있는. 소위 ‘중국 급진미술’(Radical Chinese Art) 혹은 ‘중국 아방가르드’(China's Avant Garde) 2) 로 불리는 이 중국현대미술은 1970년대 후반부터 그 싹이 트기 시작하였다. 회화, 필름,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등으로 전개된 이 중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상당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중국 당국으로부터 탄압과 박해를 받았지만, 새로운 시대에 와서 중국은 이들의 표현활동을 더 개방된 사회 환경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국 현대미술을 세계에 알린 작가들은 천안문(天安門)사태를 겪은 세대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실은 ‘차이나 팝’을 선보여 왔다. 장샤오강을 포함한 ‘차이나 아방가르드’ 1,2세대들이3) 바로 그들이다. 하지만 최근 이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지닌 새로운 세대들이 등장하고 있다.
      중국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정치가 민주화 방향으로 진행되어짐에 따라 대중문화적인 요구가 증가하며, 이에 대중들의 예술적 관심이 높아 진 것은 경제순환의 전형적인 패턴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고찰해 온 중국 현 • 당대 아티스트들은 세인의 주목을 끌기 위해 최대한 표현의 자유를 확장하고자 했으며 그러한 가운데 기존 정치체제, 법률, 윤리, 관습 등과 종종 충돌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아래 필자의 연구내용은 난해한 중국 현대회화에 형성된 혼잡한 맥락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어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중국사회가 개방을 향한 전환기의 상황에서, 예술적 가치관 또한 다원적으로 변환되는 속에서, 아직 개방하지 않은 것이나 회피한 것의 한계와 그 변환의 방향이 어디에 있는지 ...

      이 논문은 중국사회가 개방을 향한 전환기의 상황에서, 예술적 가치관 또한 다원적으로 변환되는 속에서, 아직 개방하지 않은 것이나 회피한 것의 한계와 그 변환의 방향이 어디에 있는지 등의 문제를 반투명성을 중심으로 회화적 맥락에서 연구한다.
      본 논문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사용된 ‘반(半)투명’1) 이라고 하는 용어는 70년대말부터 진행된 중국사회의 개방과정에 따른 중국현대미술의 흐름을 비유하고자 차용하였다. 즉, 중국 사회가 사회주의 체제로부터 자본제적 시장경제체제로 급격히 변모하는 가운데, 개방개혁시대의 복잡한 상황에 의해 이루어진 불명확한 면목의 뜻으로 사용한 것이다.
      중국 현대회화의 불확실성으로서의 ‘반(半)투명’을 언급하기에 앞서 선행연구로는 이와 같은 급속한 변화에 대한 배경으로서의 역사적 연구와 회화적 변천상황을 기술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체계는 < 제3장 >을 중심으로 하되 < 제2장 >에서는 첫째, 중국의 80년대 개방 후, 새로운 조류의 급속한 유입에 대한 배경상황 소개를 하였으며, 둘째 , 서양미술 표면 형식을 모방한 상황을 연구함으로써, 중국 미술가들이 서양 현대미술 조류의 체험과 실천을 어떻게 하고 있는가를 연구하는데 주력하였다.
      그 것은 곧 20세기 동•서양 문화와 이념의 갈등, 민주와 독재, 문화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미술 제도권과 시장의 권력 문제 등 갖가지 모순이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 투쟁, 영합, 조작, 타협, 화해 등의 방법으로 살아남은 중국 현•당대 미술 상황에 대한 연구이다.
      근•현대 중국 문화의 모든 변혁은 서양 문화가 들어오면서 시작되었다. 미술을 포함한 서구 예술은 중국 현대예술의 발전에 중요한 참조대상이 되었다. 서구 미술의 도입과 이를 통한 자극으로 중국 미술이 전통적인 것에서 근•현대적인 것으로 변화, 발전한 것은 필연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길은 대단히 어렵고 곡절이 많았으며 험난하였다.
      논문의 < 제3장 > 에서는 < 제2장 > 에서 성립된 급속한 유입에 대한 연구로서, 첫째 ‘85년 이후 새로운 미술 조류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둘째 신표현주의, 신사실주의, 팝아트 등 현대미술 조류를 쫓아가는 활동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셋째, 오늘날 다양한 미술 양식이 현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 제4장 > 에서는 대표적인 작가의 작품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중국 현대미술이 조명을 받고 있는. 소위 ‘중국 급진미술’(Radical Chinese Art) 혹은 ‘중국 아방가르드’(China's Avant Garde) 2) 로 불리는 이 중국현대미술은 1970년대 후반부터 그 싹이 트기 시작하였다. 회화, 필름, 비디오, 사진, 퍼포먼스 등으로 전개된 이 중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상당수는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중국 당국으로부터 탄압과 박해를 받았지만, 새로운 시대에 와서 중국은 이들의 표현활동을 더 개방된 사회 환경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중국 현대미술을 세계에 알린 작가들은 천안문(天安門)사태를 겪은 세대로 정치,사회적 메시지를 실은 ‘차이나 팝’을 선보여 왔다. 장샤오강을 포함한 ‘차이나 아방가르드’ 1,2세대들이3) 바로 그들이다. 하지만 최근 이들과는 확연한 차이를 지닌 새로운 세대들이 등장하고 있다.
      중국경제가 급속히 발전하고, 정치가 민주화 방향으로 진행되어짐에 따라 대중문화적인 요구가 증가하며, 이에 대중들의 예술적 관심이 높아 진 것은 경제순환의 전형적인 패턴이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 고찰해 온 중국 현 • 당대 아티스트들은 세인의 주목을 끌기 위해 최대한 표현의 자유를 확장하고자 했으며 그러한 가운데 기존 정치체제, 법률, 윤리, 관습 등과 종종 충돌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아래 필자의 연구내용은 난해한 중국 현대회화에 형성된 혼잡한 맥락을 이해하는데 중점을 두어 성찰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1
      • 2. 중국 1978년 개혁개방 이래 급속한 변화와 시대 상황 5
      • 2.1 초기 1978-1989 6
      • 2.2 중기 1989-1996 6
      • 1. 서론 1
      • 2. 중국 1978년 개혁개방 이래 급속한 변화와 시대 상황 5
      • 2.1 초기 1978-1989 6
      • 2.2 중기 1989-1996 6
      • 2.3 후기 1996-현재 8
      • 3. 중국 80년대 개방 후, 반투명 문맥의 형성 10
      • 3.1 개념의 배경 10
      • 3.1.1 동•서양 의식형태와 가치관념의 상호대항성 11
      • 3.1.2 제약된 배경 속에 나타난 미술 형식으로서의 반투명성 13
      • 3.2 서양 현대 미술 조류의 체험과 적용 17
      • 3.3 중국의 새로운 미술의 등장 23
      • 3.3.1 ’85년 새로운 미술 조류 23
      • 3.3.2 신 표현주의, 신 사실주의,팝아트 등 26
      • 3.3.3 다양한 오늘날 미술 양식 33
      • 4. 현대 중국의 대표적 작가의 사례 37
      • 4.1 왕광이[王廣義] 37
      • 4.2 팡리쥔[方力鈞] 38
      • 4.3 위에민쥔[岳敏均] 39
      • 4.4 조우춘야[周春芽] 40
      • 4.5 마오쉬휘[毛旭辉] 41
      • 4.6 예용칭[叶永青] 41
      • 4.7 쩡판즈[曾梵志] 42
      • 4.8 장시아오깡[張曉剛] 43
      • 5. 결론 45
      • 참고문헌 48
      • 도판목록 49
      • 참고도판 51
      • ABSTRACT 6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