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GM 유채에 도입된 β-glucosidase 1 (AtBG1)의 단회투여독성시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8765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β-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

      유채는 십자화과로 분류되는 유지작물로써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다. 이전 연구결과에서 가뭄저항성을 증대시키는 것으로 보고된 애기장대의 β-glucosidase 1 (AtBG1) 유전자를 도입함으로써 가뭄저항성 형질전환 유채를 개발하였다. 새로 개발된 형질전환 작물들은 그 이용에 대한 안전성에 대하여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작물의 안정성에 대한 증명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안정성 평가는 작물의 역사적 사용과 과학적 증거를 기초로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AtBG1이 도입된 형질전환 유채의 급성투여독성시험을 통하여 암수 마우스 각각에서 한계투여 용량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OECD의 급성독성의 권고안에 따라 AtBG1 단백질을 암수 각각 5마리의 ICR 마우스에 몸무게 1 kg 당 2,000 mg을 부형제에 녹여 강제구강투여 하였다. 투여일부터 14일 동안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를 측정하였고 마지막 14일에는 안락사 후에 부검을 통해 AtBG1 투여군과 비투여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실험을 통하여 AtBG1 단백질이 운동성, 병리학적 이상, 몸무게 및 부검 결과에서 대조구와 실험구, 두 그룹간의 특이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tBG1 단백질은 급성독성의 측면에서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며, 한계허용치 용량이 2,000 mg을 상회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는 차후 AtBG1 도입 유채의 인체위해성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peseed (Brassica napus L.) is an oil crop classified as Brassicaceae, and it is widely grown worldwide. To develop a drought-resistant rapeseed, the β-glucosidase 1 (AtBG1) gene was introduced into rapeseed because drought- and salt-resistance phen...

      Rapeseed (Brassica napus L.) is an oil crop classified as Brassicaceae, and it is widely grown worldwide. To develop a drought-resistant rapeseed, the β-glucosidase 1 (AtBG1) gene was introduced into rapeseed because drought- and salt-resistance phenotypes were observed when the AtBG1 gene was overexpressed in arabidopsis. Newly developed genetically modified crop must be proved to be safe. Safety assessments are based on the historical usage and scientific reports of a crop.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otential acute oral toxicity of AtBG1 protein expressed in genetically modified (GM) rapeseed and calculated the minimum lethal dose at 6 weeks in both male and female ICR mice. AtBG1 protein was fed at a dose of 2,000 mg/kg body weight in five male and five female mice according to the marginal capacity concentration of OECD, 2,000 mg/15 ml/kg. Mortalities, clinical finding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14 days after dosing, and postmortem necropsy was performed on day 14. This study showed that no deaths occurred in the test group, and AtBG1 protein did not result in variations in common symptoms, body weight, and postmortem finding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showed that the minimum lethal dose of AtBG1 protein expressed in transgenic rapeseed exceed 2,000 mg/kg body weight in both sex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References
      • 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Pandolfo, C. E., "Transgenic glyphosate-resistant oilseed rape (Brassica napus) as an invasive weed in Argentina: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alternatives" 23 : 24081-24091, 2016

      2 OECD Publishing, P., "Test No. 420: Acute Oral Toxicity - Fixed Dose Procedure,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4"

      3 Schmutzer, T., "Species-wide genome sequence and nucleotide polymorphisms from the model allopolyploid plant Brassica napus" 2 : 150072-, 2015

      4 KFDA, "Partial amendment official announcement about toxicity test for Drug"

      5 Han, Y. J., "Overexpression of an Arabidopsis beta-glucosidase gene enhances drought resistance with dwarf phenotype in creeping bentgrass" 31 : 1677-1686, 2012

      6 Weselake, R. J., "Increasing the flow of carbon into seed oil" 27 : 866-878, 2009

      7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8 Bouchet, A. S., "Genetic basis of nitrogen use efficiency and yield stability across environments in winter rapeseed" 17 : 131-, 2016

      9 Hunter, J., "GM crops-lessons from medicine" 353 : 1187-, 2016

      10 Lee, K. H., "Activation of glucosidase via stress-induced polymerization rapidly increases active pools of abscisic acid" 126 : 1109-1120, 2006

      1 Pandolfo, C. E., "Transgenic glyphosate-resistant oilseed rape (Brassica napus) as an invasive weed in Argentina: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control alternatives" 23 : 24081-24091, 2016

      2 OECD Publishing, P., "Test No. 420: Acute Oral Toxicity - Fixed Dose Procedure,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Section 4"

      3 Schmutzer, T., "Species-wide genome sequence and nucleotide polymorphisms from the model allopolyploid plant Brassica napus" 2 : 150072-, 2015

      4 KFDA, "Partial amendment official announcement about toxicity test for Drug"

      5 Han, Y. J., "Overexpression of an Arabidopsis beta-glucosidase gene enhances drought resistance with dwarf phenotype in creeping bentgrass" 31 : 1677-1686, 2012

      6 Weselake, R. J., "Increasing the flow of carbon into seed oil" 27 : 866-878, 2009

      7 OECD, "Guideline for Testing of Chemicals"

      8 Bouchet, A. S., "Genetic basis of nitrogen use efficiency and yield stability across environments in winter rapeseed" 17 : 131-, 2016

      9 Hunter, J., "GM crops-lessons from medicine" 353 : 1187-, 2016

      10 Lee, K. H., "Activation of glucosidase via stress-induced polymerization rapidly increases active pools of abscisic acid" 126 : 1109-112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3 0.7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