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朝鮮時代 以後 韓國 傳統 旗(깃발) 硏究 = (A) study on Korean traditional flags since the Chosu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89756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 회화전공 , 2003. 8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408 판사항(4)

      • DDC

        759.951929.920951 판사항(20)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73p. : 삽도,도판 ; 26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60-62

      • 소장기관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문정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문화란 인류가 생활을 영위하면서 장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쌓아 온 한 민족의 독특한 집체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문화는 그 민족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냄과 동시에 그 민족의 원형...

      문화란 인류가 생활을 영위하면서 장구한 세월을 거치면서 쌓아 온 한 민족의 독특한 집체현상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문화는 그 민족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냄과 동시에 그 민족의 원형적 특질 또한 가장 잘 간직하고 있다. 예술 또한 민족의 전통적 사상과 문화가 융합하여 발전했으며 미의식의 바탕에는 민족의 생활에 저변을 이루고 있는 민족성과 사상인 것이다. 우리의 전통깃발은 전통사회의 생활저변 곳곳에 자리 잡고 있었으며 쓰임새 역시 다양했다.
      깃발은 전통사회에서 다양한 목적과 기능으로 사용되어왔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깃발은 예로부터 전해 내려온 뿌리 깊은 민족적인 신앙이나 미의식의 반영이라 할 수 있으며 상고시대로부터 오늘에 이르는 동안 실생활의 필요성과 함께 발달하여 온 것이다.
      오늘날 우리는 도처에서 깃발의 사용을 목격한다. 각 국가별 국기, 올림픽을 상징하는 오륜기, 유엔기 등에서 볼 수 있으며, 위험의 표지, 각종 알림, 거리광고 등 전 세계적으로 각 민족의 나름대로의 깃발문화를 가지고 있다.
      또한 깃발은 현재 한국미술에서 대규모 깃발의 군락을 이루는 야외 깃발 전시의 형태로 제시되며 새로운 예술의 형태로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기원 및 유형과 발달', '소재별 분류와 상징', '조형적 특성과 계승'등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전통깃발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예술적 자치를 확인하며 전통과 창조라는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전통의 재발견으로 새로운 예술의 창조적 기틀로써 현대미술에서의 돌파구 찾아야 하며 깃발문화의 올바른 정착과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전통의 올바른 이해를 통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lture represents a unique intensive phenomenon of a race, which has been accumulated by the human ra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culture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ce very clearly but also preserves original features...

      Culture represents a unique intensive phenomenon of a race, which has been accumulated by the human race for a long period of time. Accordingly, a culture not onl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ce very clearly but also preserves original features of the race perfectly. Art has also been developed by a combination of traditional ideology and the culture of a race. On the basis of aesthetic sense, there are racial traits and ideologies that compose the lowest stratum of racial life. Our traditional flag took many places in various stratum of life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was used in various ways, too.
      Flags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Therefore, our traditional flag can be the reflection of ingrained racial faith or aesthetic sense that has succeeded since early times. Flags have been developed along with the need in a daily life since ancient times.
      Nowadays we witness that flags are in use anywhere. We can see them in the national flags of each country, the flag bearing the five-ringed Olympic emblem, the flag of the UN, and so forth. They are also in the signs of danger, various notices, advertisements on the street, etc. Each race has its own flag culture all over the world.
      Moreover, flags are presented as a form of outdoor flag exhibition constituting a large group of flags in Korea art now, and they are currently in progress as a new form of art.
      At this point, through the studies on 'origin, form, and development',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aterials and symbol', and 'formative features and succession',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the traditional flag has to be identified and a breakthrough for modern art should be found as a creative foundation of new art by rediscovery of tradition in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 and cre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problems regarding the right settlement of flag culture and its identification can be solved through clear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목차
      • 서론 = 1
      • Ⅰ. 전통깃발의 기원 및 유형과 발달 = 4
      • 1. 깃발의 기원 = 4
      • 국문초록
      • 목차
      • 서론 = 1
      • Ⅰ. 전통깃발의 기원 및 유형과 발달 = 4
      • 1. 깃발의 기원 = 4
      • 2. 유형과 발달 = 11
      • 1) 조선시대 이전 = 11
      • 2) 조선시대 이후 = 14
      • 3. 전통깃발의 사상적 배경 = 18
      • Ⅱ. 전통깃발의 소재별 분류와 상징 = 22
      • 1. 동물문 (動物紋) = 23
      • 2. 사신문 (四神紋) = 31
      • 3. 태극문 또는 인봉문 (人封紋) = 32
      • 4. 천상문 (天象紋) = 33
      • 5. 산수문 (山水紋) = 35
      • 6. 신인문(神人紋), 부적문(符籍紋), 문자(文字) = 36
      • 7. 구름문양 = 37
      • Ⅲ. 전통깃발의 조형적 특성과 계승 = 39
      • 1. 형태 = 39
      • 2. 색채 = 45
      • 1) 음양오행과 색채 = 45
      • 2) 색채와 채료의 표현형식 = 49
      • ① 안료의 종류 = 50
      • ② 배색과 색채의 전개 = 52
      • 3. 현대미술에 나타난 깃발의 계승과 특성 = 54
      • 결론 = 58
      • 참고문헌 = 60
      • 도판 = 63
      • Abstract = 7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