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년기 삶의 만족도와 소득 궤적에 관한 종단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1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소득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소득의 초기값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득과 삶의 ...

      본 연구는 노년기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소득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소득의 초기값이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소득과 삶의 만족도 궤적에 대한 건강상태와 생산적 활동 요인의 영향력을 파악하는 부가적인 목적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데이터 1~3차 자료의 5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삶의 만족도와 소득의 초기값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나, 두 변수의 초기값와 변화율의 종단적 관계는 상호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 초기값이 높을수록 소득의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며, 소득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 변화율이 천천히 증가하는 것이다. 또한 주관적 건강상태와 심리적 건강상태 모두 소득과 삶의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산적 활동의 중요성도 일부 확인되었다. 따라서 노년기 소득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는,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범위 안에서, 상호 주요한 기능을 발휘 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성공적이고 적극적인 노년을 위해 주관적, 심리적 건강상태와 생산적 활동이 중요하며, 이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slope of income and the effect of income o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It also reveals how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trajectory has been influenced b...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ongitudinally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slope of income and the effect of income o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It also reveals how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trajectory has been influenced by the factors of health condition and productive activitie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drawn from the aged older than 55 years old from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Data. We find that the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is positively correlated, however, life satisfaction has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income while income also has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life satisfaction. The health condition did explain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trajectory, and the productive activities also show some significant importa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fe satisfaction and income play important roles each othe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to provide appropriate jobs and wage for the elder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133-158, 2006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4 민기채,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323-341, 2010

      5 최현수,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6 김동배,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연구- 일반, 비수급빈곤, 수급빈곤 여성노인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38 (38): 339-358, 2007

      7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8 정재원, "손자녀 양육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288-296, 2010

      9 황여정, "빈곤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547-569, 2010

      10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9

      2 김진욱,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 1999년과 2004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5 (25): 133-158, 2006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 127-151, 2004

      4 민기채, "조손가족 조부모의 소득구성원과 총소득 결정요인" 한국노년학회 30 (30): 323-341, 2010

      5 최현수, "우리나라의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 23 (23): 143-160, 2003

      6 김동배, "여성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연구- 일반, 비수급빈곤, 수급빈곤 여성노인 집단 간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노인복지학회 38 (38): 339-358, 2007

      7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8 정재원, "손자녀 양육여부에 따른 조모의 생활만족도 및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 16 (16): 288-296, 2010

      9 황여정, "빈곤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분석" 547-569, 2010

      10 이호성, "도시노인의 사회적 유대와 생활만족도 연구" 한국노년학회 25 (25): 123-138, 2005

      11 윤명숙, "도시 및 농촌지역노인의 삶의 질, 문제음주 비교연구" (4) : 515-523, 2007

      12 배진희,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20): 197-216, 2004

      13 전지원, "노인의 직업활동 참여동기, 직업만족도 및 심리적 복지감에 관한 인과모형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4 임주영,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배우자 유ㆍ무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4 (24): 71-87, 2004

      15 박순미, "노인의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적 접근 ;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5 (25): 1-24, 2009

      16 권중돈,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17 백경숙, "노년기의 경제활동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5) : 87-106, 2007

      18 권미애,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089-1111, 2008

      19 김주환,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20 김현정, "고령은퇴남성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21 : 253-280, 2009

      21 Biswas-Diener, R.,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A literature review and guide to needed research" 57 : 119-169, 2002

      22 Smith, J, "Well-being and health from age 70 to 100: Findings from the Berlin Aging Study" 9 (9): 461-477, 2001

      23 Larson, L., "Thirty years of research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older Americans" 33 (33): 109-115, 1987

      24 Lachman, M.E., "The sense of control as a moderator of social class differences in health and well-bing" 74 : 763-773, 1998

      25 Schyns, P.,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changes in income and life satisfaction in west Germany and the Russian federation: Relative, absolute, or a combination of both?, In Advances in Quality of Life Theory and Research, Volume 1" Kluwer 83-109, 2000

      26 Diener, E.,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ive or absolute?" 28 : 195-223, 1993

      27 Campbell, A.,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Perception, evaluation and satisfaction" Russell Sage Foundation 1976

      28 Furnham, A, "The psychology of money" Routledge 1998

      29 Smyer, M. A., "The meanings of work for older workers" 31 (31): 23-30, 2007

      30 Sugisawa, H., "The impacts of social ties on depressive symptoms in U. S and Japanese elderly" 58 (58): 785-804, 2002

      31 Ann, J. J., "The impact of martial status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women in later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6

      32 Fitzpatrick, T. R., "The impact of husbands' retirement on wives' marital quality" 7 (7): 83-100, 2003

      33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 276-302, 1999

      34 Knight, J., "Subjective well-being and its determinants in rural China" 20 : 635-649, 2009

      35 Schwable, R.,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grandparents who a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New York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2004

      36 Krause, N, "Social class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35 (35): 498-508, 1995

      37 Pruchno, R., "Psychological well-being of black and white grandmothers raising grandchildren: Examination of a two-factor model" 57 : 444-452, 2002

      38 Kelley, S. J., "Psychological distress in grandmother kinship care providers : The pole of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physical health" 24 (24): 311-321, 2000

      39 Hao, Y. N., "Productive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63 (63): 64-72, 2008

      40 Kline, R. B.,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Guilford Press 2005

      41 Schafer, J. L., "Multiple imputation of multivariate missing-data problems: A data analyst's perspective" 33 : 545-571, 1998

      42 Thoits, P. A., "Multiple ident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reformulation and test of social isolation hypothesis" 48 : 174-187, 1983

      43 Diener, E,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I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lture" MIT Press 2000

      44 서은국,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pringer Verlag 40 (40): 189-216, 199701

      45 Biswas-Diener, R., "Making the best of a bad situation: Satisfaction in the slums of Calcutta" 55 : 329-352, 2000

      46 Sousa, L., "Life satisfaction, In Encylopedia of women and gender: Sex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nd the impact of society on gender" Academic Press 2001

      47 Mannell, R. C., "Life satisfaction, In Encyclopedia of gerontology" Pergamon Press 1996

      48 Kalish, R. A., "Late adulthood: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ole Publishing Co 1975

      49 Kim, J., "Is retirement good or bad for subjective well-being?" 10 (10): 83-86, 2001

      50 Marks, G. N, "Influences and consequences of well-being among Australian young people: 1980-1995" 46 : 301-323, 1999

      51 Johnson, W., "How money buys happiness: Genetic and environmental processes linking finances and life satisfaction" 90 (90): 680-691, 2006

      52 Musil, C. M, "Health of grandmothers: A comparison by caregiver status" 14 (14): 96-121, 2002

      53 Smith, J.,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58 (58): 715-732, 2002

      54 Zeng, Y., "Functional capacity and self-evaluation of health and life of oldest old in China" 55 (55): 733-748, 2002

      55 Sands, R. G, "Factors associated with stress among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49 : 97-105, 2000

      56 Szinovacz, M. E, "Effects of surrogate parenting on grandparents' well-being" 54 : 376-388, 1999

      57 Chatfield, W. F,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32 : 593-599, 1977

      58 Bosse, 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among retires and workers: Findings from the Normative Aging Study" 5 : 41-47, 1990

      59 Gwozdz, W, "Ageing,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oldest old: An analysis for Germany"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1-37, 2009

      60 Cavanaugh, J. C., "Adult development & Aging, (4th Ed)" Wadsworth Thomson Learning 2002

      61 Kasser, T,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65 : 410-422, 1993

      62 Kyriakos, S. M, "A causal model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34 (34): 86-93, 197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