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공연예술계에 그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한 이래 공연예술축제들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던 거리예술은 그 공공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점차 축제 이외의 영역으로도 그 활동 영역을 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688909
서울 :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학위논문(예술전문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 예술경영과 예술경영전공 , 2018. 2
2018
한국어
서울
v, 89장 ; 26 cm
지도교수: 이승엽
I804:11068-20000001221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의 공연예술계에 그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한 이래 공연예술축제들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던 거리예술은 그 공공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점차 축제 이외의 영역으로도 그 활동 영역을 확...
국내의 공연예술계에 그 개념이 확산되기 시작한 이래 공연예술축제들을 중심으로 성장해왔던 거리예술은 그 공공성과 다양성을 기반으로 점차 축제 이외의 영역으로도 그 활동 영역을 확장해왔다. 거리예술 창작단체들이 늘어나고 거리예술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거리예술 관련 사업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거리예술 관련 조례와 정책들이 수립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거리예술 제작소, 연구, 비평 등의 분야의 역할이 강화되고 있으며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거리예술의 창작지원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거리예술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확산되고, 하나의 예술 형태로서 거리예술의 기능과 역할이 강조되는 동향에 발맞추어, 국내의 거리예술 정책 및 사업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거리예술을 왜 지원하는가에 대한 배경과 담론의 이해를 바탕으로, 주로 축제를 중심으로 설명되었던 거리예술의 흐름을 관련 정책과 사업의 실행 현황의 분석을 통하여 확장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거리예술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의 필요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거리예술의 특성을 공간과 대상, 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거리예술협회의 ‘거리예술 실태조사’를 분석함으로써, 거리예술 관련 정책 수립 및 사업 설계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으며, 현재 진행 중인 거리예술 사업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실효성 있는 거리예술 정책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의 거리예술의 실태를 파악하고, 향후 국내 거리예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it have been introduced to performing arts sector in Korea, Street Arts have been growing its capacities and broadening its realm based on its pursuit of public interests and diversity. As there have been more creative approaches from street art...
Since it have been introduced to performing arts sector in Korea, Street Arts have been growing its capacities and broadening its realm based on its pursuit of public interests and diversity. As there have been more creative approaches from street artists and companies, the number of projects and policies on street arts has been increasing accordingly. Recently, many of local governments have shown their interests in enacting local laws and ordinances on street arts so as to support the sector and make effective policies for it.
For this, the thesis aims to study and research the current street arts policies and businesses in Korea and review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s and backgrounds of street arts, this research tries to broaden its perspectives on street arts, and find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realistic street arts policies.
This research analyses the street arts based on its spaces, publics, and aesthetics, while reviewing the factual survey on street arts in Korea from Korea Street Arts Association, and expecting to be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street arts in the futu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