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성영상 분류 기반 주암댐 유역 비점오염부하량 평가 =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Juam-Dam Basi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86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평가에서 기대평균농도 적용에 필요한 토지피복 클래스를 추출하기 위해 Landsat TM 영상의 근적외선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를 논과 밭으로 분류하였다. 환경...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평가에서 기대평균농도 적용에 필요한 토지피복 클래스를 추출하기 위해 Landsat TM 영상의 근적외선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를 논과 밭으로 분류하였다. 환경부의 대분류와 중분류자료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분류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각각 83.96%와 78.41%로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상분류를 통해 추출한 토지피복도를 기초로 하여 유출곡선지수와 직접유출을 평가한 결과 동복댐과 동복천 유역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유역별 기대평균농도 분석에서는 BOD, TN, TP 모두 겸백 수위표와 보성강 상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유출과의 조합을 통한 비점오염원 분석에서도 겸백 수위표와 보성강 상류 유역이 높게 분석되어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중점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gricultural area was classified into dry and paddy fields in this study using the near-infrared band of Landsat TM to extract land cover classes that need to the application of Expected Mean Concentration (EMC) in nonpoint source works. The accur...

      The agricultural area was classified into dry and paddy fields in this study using the near-infrared band of Landsat TM to extract land cover classes that need to the application of Expected Mean Concentration (EMC) in nonpoint source works.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of the land cover map from Landsat TM image showed 83.61% and 78.41% respectively by comparing with the large and middle scale land cover map of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 Curve Number (CN)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image classification, Dongbok dam and Dongbok stream basin were analyzed high, Also Geymbaek water-gage and Bosunggang up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EMC of BOD, TN, TP by basin, And also Geymbaek water-gage and Bosunggang up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non-point source through coupling with direct runoff, Therefore these basins were selected with the main area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효석,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401-431, 2002

      2 김만식,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부하량 분석" 6 (6): 411-421, 2000

      3 김이형, "주차장 및 고량지역의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및 동적EMCs" 21 (21): 248-255, 2005

      4 이상익,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분포지도제작과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결과분석" 대한토목학회 23 (23): 719-726, 2003

      5 윤태훈, "응용수문학" 청문각 1999

      6 이범연,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 (18): 281-291, 2009

      7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2008

      8 최지용,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위한 우수 유출수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9 한국수자원공사, "댐운영실무편람" 2011

      10 주진호, "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농학회 26 (26): 233-238, 2007

      1 채효석,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401-431, 2002

      2 김만식,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부하량 분석" 6 (6): 411-421, 2000

      3 김이형, "주차장 및 고량지역의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및 동적EMCs" 21 (21): 248-255, 2005

      4 이상익,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분포지도제작과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결과분석" 대한토목학회 23 (23): 719-726, 2003

      5 윤태훈, "응용수문학" 청문각 1999

      6 이범연,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8 (18): 281-291, 2009

      7 국립환경과학원,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2008

      8 최지용,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위한 우수 유출수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9 한국수자원공사, "댐운영실무편람" 2011

      10 주진호, "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농학회 26 (26): 233-238, 2007

      11 이근상,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임하호 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15, 2010

      12 박재홍,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한 실제토지이용에 따른 지목면적 및 부하량 산정" 한국물환경학회 25 (25): 193-204, 2009

      13 이범연, "경안천 유역 지적공부에 나타난 특정지목의 토지이용 특성 세분화를 통한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개선방안" 한국물환경학회 26 (26): 598-607, 2010

      14 Beránková, 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in the Morava River basin" 33 (33): 127-135, 1996

      15 León, L.F., "Nonpoint source pollution : a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ing approach" 35 (35): 997-1007, 2001

      16 Tonderski, A., "Landuse-based nonpoint source pollution. A threat to water resources in developing countries" 33 (33): 53-61, 1996

      17 전북발전연구원, "GIS를 활용한 오염총량 대비 전라북도 비점오염원 관리" 119-, 2007

      18 김철, "GIS를 이용한 주암호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모의" 한국지리정보학회 5 (5): 87-98, 2002

      19 함광준, "GIS를 이용한 유역별 오염부하량 산정시스템의 개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4 (14): 97-107, 2005

      20 이근상,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0 (10): 158-168, 2007

      21 조재현, "GIS를 이용한 동해안하천유역의 토양유실량과 오염부하량 평가" 22 (22): 1331-1343, 2000

      22 이근상, "GIS 기반 SWAT 모델을 이용한 동향⋅천천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82-98, 2009

      23 Ichiki, A., "Estimation of urba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Lake Biwa basin" 38 (38): 157-16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 0.98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